$\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들의 욕창예방에 대한 태도, 욕창예방실무지식, 욕창예방실무 미준수 위험, 수행도 간의 상관성
Correlations among Attitude toward Pressure Ulcer Prevention, Knowledge and Non-compliance Risk for Pressure Ulcer Prevention Practice and Degree of Nursing Performanc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9, 2018년, pp.408 - 419  

강명자 (부산대학교병원) ,  김명수 (부경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욕창예방에 대한 태도와 지식, 욕창예방실무의 미준수 위험과 욕창예방실무 수행도를 파악하고 변수들 간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4개의 병원에서 3개월 이상의 경력을 가지고 근무중인 397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욕창예방에 대한 태도, 욕창예방실무에 대한 지식과 지식에 대한 확실성, 욕창예방실무 수행도를 조사하였다. 욕창예방실무 지식과 지식에 대한 확실성 간의 차이값을 욕창예방실무의 미준수 위험으로 정의하여 변수로 활용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3월부터 6월까지 였다. 자료분석을 위해서는 서술적 통계, independent t-test, ANOVA, partial Pearson correlation을 활용하였다. 욕창예방실무지식의 정답율은 79% 이었고, 욕창예방실무수행도는 $2.46{\pm}0.31$점이었다. 욕창예방실무의 미준수 위험이 가장 높은 문항은 (실금기저귀는 실금피부염을 예방한다) 이었다. 욕창예방실무 미준수 위험은 욕창예방실무지식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25, p<.001)가 있었고, 욕창예방간호수행도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성(r=-.13, p=.009)이 있었다. 욕창예방실무 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교육과 욕창예방 실무가이드의 비치가 수행되어 욕창예방실무에 대한 지식과 확실성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cribe the attitude toward pressure ulcer prevention, knowledge and non-compliance risk for pressure ulcer prevention practice and degrees of nursing performance, as well 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variables. To accomplish this, we invited 397 nurses f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들의 욕창예방실무태도와 지식, 욕창예방실무 미준수 위험과 실제 수행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욕창이란? 욕창은 응전력이나 마찰력 등을 포함한 지속적 압력이 뼈 돌출부위나 의료기기를 사용한 부위에 순환장애를 일으켜 피부와 기저조직이 국소적으로 손상된 상처로 정의된다[1]. 욕창의 특성 상 취약집단으로 분류되는 중환자의 경우 발생률은 국내의 경우 17%에 달하고[2], 외국의 경우 유병률은 7.
욕창의 문제점은? 1% [3]로 보고되나 변동율은 꽤 범위가 넓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지하다시피, 욕창은 재원기간을 늘리고 합병증을 증가시켜 사망에 까지 이르게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환자와 의료기관이 떠안게 될 경제적 손실은 적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한해에 약 300억원에 달하는 비용이 소요되는 것으로 추산되고[4], 특히 4단계 욕창 환자에게 드는 비용은 2단계 욕창을 치유하는 비용의 두 배가 넘는 것으로 보고된다[5].
욕창발생의 예방이 필수적인 이유는? 1% [3]로 보고되나 변동율은 꽤 범위가 넓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지하다시피, 욕창은 재원기간을 늘리고 합병증을 증가시켜 사망에 까지 이르게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환자와 의료기관이 떠안게 될 경제적 손실은 적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한해에 약 300억원에 달하는 비용이 소요되는 것으로 추산되고[4], 특히 4단계 욕창 환자에게 드는 비용은 2단계 욕창을 치유하는 비용의 두 배가 넘는 것으로 보고된다[5]. 이에 욕창발생의 예방 뿐만 아니라 진전되지 않은 상태의 욕창발견이 중요하며 예방적 간호수행이나 표준적 간호행위 준수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The National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 National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 (NPUAP) announces a change in terminology from pressure ulcer to pressure injury and updates the stages of pressure injury. 2016) 

  2. Y. J. Jung, Y. H. Chung, S. J. Oh, S. H. Lee, Y. H. Kim, T. H. Kim TH, "Risk factors for pressure ulcer in severe trauma patients", Journal of Acute Care Surgery, Vol.5, No.1 pp.19-27, 2015. DOI: https://dx.doi.org/10.17479/jacs.2015.5.1.19 

  3. M. I. Gonzalez-Mendez, M. Lima-Serrano, C. Martin-Castano, I. Alonso-Araujo, J. S. Lima-Rodriguez, "Incidence an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pressure ulcers in an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27, No.5-6, pp.1028-1037, 2018. DOI: https://dx.doi.org/10.1111/jocn.14091 

  4.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Disease statistics [Internet]. Seoul: Author; 2014 [cited 2018 May 02]. Available from: http://hira.or.kr 

  5. B. Chan, L. Ieraci, N. Mitsakakis, B. Pham, M. Krahn, "Net costs of hospital-acquired and pre-admission PUs among older people hospitalised in Ontario", Journal of Wound Care, Vol.22, No.7, pp.341-346, 2013. DOI: https://dx.doi.org/10.12968/jowc.2013.22.7.341 

  6. A. J. Kim, I. S. Jeong, "Performance of evidence-based pressure ulcer prevention practices among hospital nurses", Global Health and Nursing, Vol.8, No.1, pp.8-16, 2018 

  7. Registered Nurses' Association of Ontario(RNAO).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pressure injuries for the interprofessional team. 3rd ed. [Internet]. Ontario: Author; 2016 [cited 2017 September 11]. Available from: http://rnao.ca 

  8. I. S. Jeong, S. M. Kim, J. S. Jeong, E. Y. Hong, E. Y. Lim, H. J. Seo, K. H. Park, Y. E. Hong, J. H. Hwang, "Development of pressure ulcer management guideline by adaptation proces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20, pp.40-52, 2014. 

  9. A. L. Barker, J. Kamar, T. J. Tyndall, L. White, A. Hutchinson, N, Klopfer, C. Weller, "Implementation of pressure ulcer prevention best practice recommendations in acute care: an observational study", International Wound Journal, Vol.10, No.3, pp.313-320, 2013. DOI: https://dx.doi.org/10.1111/j.1742-481X.2012.00979.x 

  10. S. Park, N. Y. Yang, J. S. Choi, "Factors Affecting Attitudes and Preventive Practice of Pressure Ulcer among Nurses", Th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ol.20, No.1, pp.43-51, 2013. DOI: https://dx.doi.org/10.5953/JMJH.2013.20.1.43 

  11. E. J. Lee, S. O. Yang, "Clinical knowledge and actual performance of pressure ulcer care by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17, No.2, pp.251-261, 2011. 

  12. K. Usher, C. Woods, J. Brown, T. Power, J. Lea, M. Hutchinson, C. Mather, A. Miller, A. Saunders, J. Mills, L. Zhao, K. Yates, M. Bodak, J. Southern, D. Jackson, "Australian nursing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s pressure injury prevention: a cross-sectio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81, pp.14-20, 2018. DOI: https://dx.doi.org/10.1016/j.ijnurstu.2018.01.015 

  13. M. Y. N. Saleh, M. Al-Hussami, D. Anthony, "Pressure ulcer prevention and treatment knowledge and Jordanian nurses", Journal of Tissue Viability, Vol.22, No.1, pp.1-11, 2013. DOI: https://dx.doi.org/10.1016/j.jtv.2013.01.003 

  14. N. Y. Yang, S. Y. Moon, "Perceived importance, educational needs, knowledge and performance concerning pressure ulcer care by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21, No.1, pp.95-104, 2009. 

  15. B. O. Simonsen, I. Johansson, G. K. Daehlin, L. M. Osvik, P. G. Farup, "Medication knowledge, certainty, and risk of errors in health care: A cross-sectional study", BMC Health Service Research, Vol.11, No.1, Article ID 175, 2011. DOI: https://dx.doi.org/10.1186/1472-6963-11-175 

  16. A. Wells, "Meta-Cognition and Worry: A Cognitive Model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Behavioural and Cognitive Psychotherapy, Vol.23, No.3, pp.301-320, 1995. DOI: https://dx.doi.org/10.1017/S1352465800015897 

  17. J. Y. Lee,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confidence-based assessment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Busan, 2017 

  18. L. W. Schuwirth, C. P. M. Van Der Vleuten, "Different written assessment methods: What can be said about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Medical Education, Vol.38, No.9, pp.974-979, 2004. DOI: https://dx.doi.org/10.1111/j.1365-2929.2004.01916.x 

  19. D. Bruttomesso, S. Costa, M. Dal Pos, D. Crazzolara, G. Realdi, A. Tiengo, A. Baritussio, R. Gagnayre, "Educating diabetic patients about insulin use: changes over time in certainty and correctness of knowledge", Diabetes & Metabolism, Vol.32, No.3, pp.256-261, 2006. DOI: https://dx.doi.org/10.1016/S1262-3636(07)70277-X 

  20. D. F. Polit, "Data analysis and statistics for nursing research, 2nd edition", Humanalysis Incorporation, New York, 2010. 

  21. Z. Moore, P. Price, "Nurses' attitudes, behaviours and perceived barriers towards pressure ulcer prevention", Journal of Clinical Nurse, Vol.13, No.8, pp.942-951, 2004. DOI: https://dx.doi.org/10.1111/j.1365-2702.2004.00972.x 

  22. K. S. Seo, "Nurses' knowledge, attitudes, and preventive care for pressure ulcers in nursing hom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10. 

  23. A. J. Kim. "Knowledge and practice of pressure ulcer care among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2016. 

  24. Z. Tulek, C. Polat, I. Ozkan, D. Theofanidis, R. E. Togrol,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urkish version of the pressure ulcer prevention knowledge assessment instrument", Journal of Tissue Viability, Vol.25, No.4, pp.201-208, 2016. DOI: https://dx.doi.org/10.1016/j.jtv.2016.09.001 

  25. M. Gray, K. K. Giuliano, "Incontinence-Associated Dermatitis,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 to Pressure Injury: A Multisite Epidemiologic Analysis", Journal of Wound, Ostomy and Continence Nursing, Vol.45, No.1, pp.63-67, 2018. DOI: https://dx.doi.org/10.1097/WON.0000000000000390 

  26. A. Jo, "Prevalence, incidence and affecting factors of pressure ulcer for elderly patients admitted through emergency department of one tertiary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17. 

  27. N. Tayyib, F. Coyer, P. Lewis, "Pressure injury prevention in a Saudi Arabian intensive care unit: registered nurse attitudes toward prevention strategies and perceived facilitators and barriers to evidence implementation", Journal of Wound, Ostomy and Continence Nursing, Vol.43, No.4, pp.369-374, 2016. DOI: https://dx.doi.org/10.1097/WON.0000000000000245 

  28. K. R. Shin, M. Kim, Y. Kang, D. Jung, C. Cha, E. Lee, Y. J. Kim, Y. R. Kweon, "Facility and Nursing Factors Influence on Pressure Ulcer Occurrence among Patients at Risk for Pressure Ulcer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14, No.1, pp.29-38, 2012. 

  29. S. Graham, "A Study of Students' Metacognitive Beliefs About Foreign Language Study and Their Impact on Learning", Foreign Language Annals, Vol.39, No.2, pp.296-309, 2006. DOI: https://dx.doi.org/10.1111/j.1944-9720.2006.tb02267.x 

  30. J. Park, M. Park, "Knowledge, Attitude, and Confidence on Patient Safety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20, No.1, pp.5-14, 2014. DOI: https://dx.doi.org/10.5977/jkasne.2014.20.1.5 

  31. M. Barakat-Johnson, C. Barnett, T. Wand, K. White, "Knowledge and Attitudes of Nurses Toward Pressure Injury Prevention: A Cross-Sectional Multisite Study", Journal of Wound, Osteotomy and Continence Nursing, Vol.45, No.3, pp.233-237. DOI: https://dx.doi.org/10.1097/WON.0000000000000430 

  32. R. Grol, M. Wensing, "What drives change? Barriers to and incentives for achieving evidence-based practice", Medical Journal of Australia, Vol.180, No.6, pp.S57-S60, 2004. 

  33. J. F. Lavallee, T. A. Gray, J. Dumville, N. Cullum, "Barriers and facilitators to preventing pressure ulcers in nursing home residents: A qualitative analysis informed by the Theoretical Domains Framework",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82, pp.79-89, 2018. DOI: https://dx.doi.org/10.1016/j.ijnurstu.2017.12.015 

  34. T. C. Liu, Y. C. Lin, M. J. Tsai, F. Paas, "Split-attention and redundancy effects on mobile learning in physical environments", Computers & Education, Vol.56, No.1, pp.172-180, 2011. DOI: https://dx.doi.org/10.1016/j.compedu.2011.08.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