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모성적응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Effect of Intervention Programs for Improving Maternal Adaptation in Korea: Systematic Review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9 no.3, 2013년, pp.129 - 141  

송주은 (아주대학교 간호대학) ,  안정아 (아주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e of nursing intervention for maternal adaptation and its' effectiveness in Korea by utilizing a systematic review. Methods: The PICO(Population-Intervention-Compar ator-Outcome) strategy was established, and 1,720 pieces of liter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결과(outcomes): 모성적응이란 크게 정서적 측면으로서 심리적 적응, 관계적 적응, 인지적 적응(Vermaes, Janssens, Bosman, & Gerris, 2005)과 실제적인 돌봄 행위인 모성행위를 통한 행동적 적응(Association for Research on Women's Health Subject, 2012)으로 설명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적응(모성역할 자신감, 모성역할 만족감, 모성 자존감, 모성 정체감, 양육 스트레스 등), 관계적 적응(모아애착, 모아상호작용 등), 인지적 적응(신생아 인식, 신생아 양육 지식 등), 행동적 적응(신생아 양육 행위, 모유수유 행위 등)의 4가지 측면의 변수들을 모두 고려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모성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한 여러 연구들은 꾸준히 지속되어 오고 있는 반면, 이들의 중재방법과 효과 평가에 대한 체계적 비교 분석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욕기 산모의 모성적응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중재가 산모의 다양한 모성적응 측면에 실제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다룬 국내의 실험연구들을 찾아보고, 이들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시도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우리나라 실정을 고려하고 산모의 모성적응증진을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국내의 산욕기 산모에 대한 모성적응증진 프로그램이 산모의 모성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선행 실험연구들에 대하여 연구방법, 중재방법 및 결과를 종합 고찰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검토된 문헌 18편의 설계 유형은 모두 유사실험연구였으며, 실험중재가 제공된 장소는 산후조리원과 병원이 대부분이었고, 연구대상자 수는 대부분의 문헌에서 각 군의 대상자 수가 30명 미만이었다.
  • 본 연구는 국내의 산욕기 산모에 대한 모성적응증진 프로그램이 산모의 모성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실험연구결과들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국내 산모를 대상으로 한 모성적응증진 프로그램에 관한 선행연구들의 동향을 분석 제시함으로서 향후 모성적응증진을 위한 효율적 간호중재 방안 모색의 기초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목적은 국내의 산욕기 산모를 대상으로 한 모성적응증진 프로그램에 관한 선행연구들에 대하여 연구방법과 중재 방법 및 주요 결과를 고찰함으로서, 모성적응증진과 관련된 간호중재의 최근 경향을 파악하고, 효율적 간호중재 방안 모색의 기초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성의 전 생애주기에서 가장 역동적인 과정은 무엇인가? 임신, 출산과 산후초기에 이르는 모성 이행기(transition to motherhood)는 여성의 전 생애주기에서 가장 역동적인 과정으로, 특히 산후초기에 여성은 신체, 생리, 정신, 심리, 사회, 행동 및 모아관계 등에서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Mercer, 2004). 이 시기 여성은 성취감, 행복감, 안정감과 통제감 등 긍정적 측면과 동시에, 스트레스, 불안, 분노, 우울, 무기력, 불만족, 죄의식 및 자율성, 외모, 정체성의 상실 등 부정적 측면 또한 경험하게 된다(Mercer & Walker, 2006; Nicolson, 1999).
산욕기 조기퇴원의 문제점은? 최근 우리나라를 비롯한 여러 선진국의 병원에서는 건강관리체계의 효율성을 고려한 조기퇴원 정책의 일환으로, 자연 분만의 경우 산후 2일, 제왕절개 분만의 경우 산후 4일 이내에 대부분 퇴원하게 되었고, 산후 회복의 과정은 치료를 요하는 질병 상태라기보다 지지적이고 예방적인 간호가 요구되는 건강한 상태라는 관점에서, 병원에서의 산욕기 간호는 가정이나 지역사회에서의 간호로 적극 전환되게 되었다(Brown, Small, Argus, Davis, & Krastev, 2009). 그러나 산욕기 조기퇴원은이 시기 동안 충족되어져야 할 산모의 신체적, 정서적 요구를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며 신생아 감염이나 재입원률을 높일 수 있어, 추후 산욕기관리 제도가 완전히 체계화되지 못한 상태에서의 조기퇴원은 문제의 소지가될 수 있다는 우려 또한 대두되고 있다(Ellberg et al., 2008; Koh & Lim, 2002).
모성 이행기에 여성이 경험하는 것은? 임신, 출산과 산후초기에 이르는 모성 이행기(transition to motherhood)는 여성의 전 생애주기에서 가장 역동적인 과정으로, 특히 산후초기에 여성은 신체, 생리, 정신, 심리, 사회, 행동 및 모아관계 등에서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Mercer, 2004). 이 시기 여성은 성취감, 행복감, 안정감과 통제감 등 긍정적 측면과 동시에, 스트레스, 불안, 분노, 우울, 무기력, 불만족, 죄의식 및 자율성, 외모, 정체성의 상실 등 부정적 측면 또한 경험하게 된다(Mercer & Walker, 2006; Nicolson, 1999). Nyström과 Ohrling (2004)은 부모됨의 경험 분석을 통해 대상자들의 출산 후 1년간의 경험을 공통적으로 ‘새롭고 감당하기 어려운 세상에 살아가는 것’이라고 표현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rmstrong, K. L., Fraser, J. A., Dadds, M. R., & Morris, J. (2000). Promoting secure attachment, maternal mood and child health in a vulnerable popula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Paediatrics and Child Health, 36, 555-562. 

  2. Association for Research on Women's Health Subject. (2012). Women's Health Nursing. Seoul: Soomoonsa. 

  3. Bang, K. S., Park, J. S., Kim, J. Y., Park, J. Y., An, H. S., & Yun, B. H. (2013). Literature review on nursing intervention for premature infan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17, 49-61. 

  4. Bench, S., Day, T., & Metcalfe, A. (2013).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An introduction for nurse researchers. Nurse Researcher, 20 (5), 38-44. 

  5. Biau, D. J., Kerneis, S., & Porcher, R. (2008). Statistics in brief: The importance of sample size in the planning and interpretation of medical research. Clinical Orthopaedics and Related Research, 466, 2282-2288. http://dx.doi.org/10.1007/s11999 -008-0346-9 

  6. Brown, S., Small, R., Argus, B., Davis, P. G., & Krastev, A. (2009). Early postnatal discharge from hospital for healthy mothers and term infants.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3, 1-44. 

  7. Chae, M. Y., & Hwang, M. S. (2011). The effects of home care nursing based maternal role strengthening programs on the maternal identity and confidence of maternal role on firsttime mother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18, 88-98. 

  8. Chea, H. J., & Kim, S. (2011). Effects of maternal role practice education on becoming a mother.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7, 52-63. http://dx.doi.org/10.4069/kjwhn. 2011.17.1.52 

  9. Ellberg, L., Hogberg, U., Lundman, B., Kallen, K., Hakansson, S., & Lindh, V. (2008). Maternity care options influence readmission of newborns. Acta Paediatrica, 97, 579-583. http:// dx.doi.org/10.1111/j.1651-2227.2008.00714.x 

  10. El-Mohandes, A. A., Katz, K. S., El-Khorazaty, M. N., McNeely- Johnson, D., Sharps, P. W., Jarrett, M. H., et al. (2003). The effect of a parenting education program on the use of preventive pediatric health care services among low-income, minority mothers: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Pediatrics, 111, 1324-1332. 

  11. Fontenot, H. B. (2007). Transition and adaptation to adoptive motherhood.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36, 175-182. 

  12. Jeong, I. S., Jun, S. S., & Hwang, S. K. (2011).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Seoul: Soomoonsa. 

  13. Kim, H., & Jeong, I. (2007). Effects of a newborn care education program on newborn care confidence and behavioral accuracy of primiparas in a postpartum care cent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125-134. 

  14. Koh, H. J., & Lim, K. H. (2002). A comparison of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mother's for the infant care between primipara and multipar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8, 217-228. 

  15. Lee, E. O., Lim, N. Y., Park, H. A., Lee, I., Kim, J. I., Bae, J., et al. (2009).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Seoul: Soomoonsa. 

  16. Mercer, R. T. (2004). Becoming a mother versus maternal role attainment.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6, 226-232. 

  17. Mercer, R. T. (2006). Nursing support of the process of becoming a mother.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35, 649-651. 

  18. Mercer, R. T., & Walker, L. O. (2006). A review of nursing interventions to foster becoming a mother.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35, 568-582.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Survey on postpartum care center. Seoul: Author. 

  20. Nelson, A. M. (2003). Transition to motherhood. Journal of Ob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32, 465-477. 

  21. Nicolson, P. (1999). Loss, happiness and postpartum depression: The ultimate paradox. Canadian Psychology, 40, 162-178. 

  22. Nystrom, K., & Ohrling, K. (2004). Parenthood experiences during the child's first year: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6, 319-330. 

  23. Park, H. S. (2005). The effects of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utilizing NCASA(Nursing Child Assessment Sleep/Activity) on primipar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sin University, Busan. 

  24. Pearson, A., Field, J., & Jordan, Z. (2007).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and health care: Assimilating research, experience and expertise. Oxford: Blackwell. 

  25. Pridham, K., Brown, R., Clark, R., Limbo, R. K., Schroeder, M., Henriques, J., et al. (2005). Effect of guided participation on feeding competencies of mothers and their premature infant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28, 252-267. 

  26. Sim, K. S., Kho, H. J., & Lim, K. H. (2002). A study on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mothers for the infant ca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6, 287-297. 

  27. Song, J. E., & Park, B. L. (2010). The changing pattern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and maternal adjustment between primiparas who used and those who did not use sanhujori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503-514. http://dx.doi.org/10.4040/jkan.2010.40.4.503 

  28. Taylor, J. A., & Kemper, K. J. (1998). Group well-child care for high-risk families: Maternal outcomes. Archives of Pediatrics and Adolescent Medicine, 152, 579-584. 

  29. Vermaes, I. P., Janssens, J. M., Bosman, A. M., & Gerris, J. R. (2005). Parents' psychological adjustment in families of children with spina bifida: A meta-analysis. BMC Pediatrics, 25, 1-13. http://dx.doi.org/10.1186/1471-2431-5-32 

  30. Yoo, E. K., & Ahn, Y. M. (2001). A model for community based mother infant care center: TMIC(transitional mother infant care center) using a sanhujoriw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 932-94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