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생아 돌봄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effect on Newborn Care Education Program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3, 2017년, pp.247 - 257  

강지원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  서문경애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신생아 돌봄 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의 양육 자신감과 지식,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산출하는 것이다. 문헌검색과정에서 국내 데이터베이스인 국회도서관, KERIS, KISS, 국내 간호 의료 학회지가 사용되었고 그 중 2016년까지의 11개의 연구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융복합적인 결론을 제시하였다. 신생아 돌봄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양육 자신감의 전체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하위그룹 분석에서 1회 이상의 중재 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지식과 자기 효능감에 대한 전체 효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신생아 돌봄 교육 프로그램의 이해에 대한 도움을 주고 교육 수행 시 효과에 대한 근거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며 관련 변수를 측정한 연구를 반복 시도하여 추후 연구에서 일반화를 도모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the effect of newborn care education program to parenting confidence, knowledge and self-efficacy using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Literature search was used, Library of Congress, KERIS, KISS, domestic Journal, and until 2016, a total of 11 articles were used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신생아 돌봄 교육 프로그램은 신생아 돌봄 교육, 모유수유 교육, 신생아 돌봄과 모유수유 교육, 신생아 돌봄과 신생아 마사지 교육 등 크게 네 가지 종류로 분류되었으며 중재 시간이나 횟수 등이 다양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신생아 돌봄 교육프로그램의 동향을 분석, 제시하고 효과적인 프로그램의 방안을 모색하는 기초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신생아를 출산 한 어머니를 대상으로 신생아 돌봄 교육 프로그램 간호중재를 실시한 개별 실험논문을 대상으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국내의 신생아 어머니에 대한 신생아 돌봄 교육 프로그램이 양육 자신감과 지식, 자아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보고자 시도되었다. 검토된 문헌 11편의 설계 유형은 모두 유사 실험연구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다양한 주제와 대상자 속에서 이루어진 국내에서의 신생아 돌봄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를 통합하기 위하여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더불어 본 연구는 의과학과 간호학 교육 연구를 복합하였으며 신생아 돌봄 교육에 대한 융복합 연구로서의 의의를 가진다.
  • 이는 장영숙[7]의 워크북 프로그램에 참여한 미숙아 어머니의모성 역할 자신감 정도가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는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이 연구에서 사후 조사시기가 퇴원일이기 때문에 아기를 돌본 경험이 없는 상황에서 가정에서 실제 상황을 접했을 때 양육 역할 스트레스가 높아졌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양육 경험 후 시기에 따른 효과를 검증 할 필요성을 논하였다. 추후 연구에서 신생아 돌봄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양육 자신감에 대한 효과를 높이기 위해 양육 경험 후 시기에 따라 역할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신생아 양육 교육의 종류는 무엇인가? 국내 신생아 양육 교육과 관련된 선행연구에서는 미숙아 대상 마사지 교육 프로그램[4], 미숙아 모유수유증진 교육 프로그램[5, 6], 신생아 돌보기와 모유수유 교육을 같이 진행한 프로그램[7, 8, 9, 10], 신생아 돌보기와 마사지 교육을 같이 진행한 프로그램[16], 신생아 돌봄 교육 프로그램[11, 12, 13, 14, 15, 17] 등을 다루었다. 국외동향으로는 네팔의 모성 및 신생아 건강 프로젝트인 Maternal and Newborn Health Project(PMNH)[18]와 미국의 ICU Family-Centered Care Recommendations[19]등 가족, 특히 어머니의 신생아 돌봄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있었다.
산모는 출산 후 노력해야하는 부분은 무엇인가? 산모는 출산 후 짧은 기간 동안 신생아의 신체적, 심리적 및 사회적 욕구가 무엇인지를 학습하고 알아야하며 정상적인 신생아의 성장발달을 돕기 위해 노력해야한다[1]. 하지만 대부분의 초산모는 경험이 없으므로 신생아양육에 대한 의문과 걱정이 많으며 특히 미숙아 어머니는 일반적인 양육과는 다른 방법을 적용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다.
출산 한 초산모는 혼란을 겪는데에 대한 대책은 무엇인가? 대부분 출산 후 산모들이 퇴원 후 4주 동안 신생아 양육에 대해 많은 의문을 갖게 되며 퇴원 즉시 신생아를 돌보게 되어 첫아기를 출산 한 초산모는 혼란을 겪게 된다[1]. 따라서 산모들이 병원분만 후 가정으로 돌아가 신생아 양육을 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초산모의 경우에는 첫 양육 경험이므로 양육에 대한 지식 및 자신감이 부족하여 이에 대한 적절한 교육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M. K. Lee, "A study on the effects of Education in Self-confidence with Newborn Caregiving.",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1990. 

  2. H. S. Shin, S. H. Kim & S. H. Kwon, "The Effects of Education on Primiparas' Postpartal car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 6, No. 1, PP. 34-45, 2000. 

  3. N. S. Kim, "A Study of first-time Fathers on Their Knowledge and confidence in Newbor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8, PP. 537-545, 2016. 

  4. J. Y. Kim. "Effects of a Massage Program on Growth of Premature Infants and on 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the Mothering Role.",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 11, No. 4, PP. 381-389, 2005. 

  5. B. H. LEE, "Self-efficacy promotion program for continuation of breast feeding for preterm.",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5. 

  6. H. Y. Min, "The Effects of Hybrid Application Breast feeding Promotion Program for Premature Infants." Doctor's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2016. 

  7. E. H. Kim, E. J. Lee, M. J. Kim, D. Y. Park & S. H. Lee, "Effects of an Educational Program of Pregnancy and Delivery on Pregnancy related Knowledge, Newborn Care Knowledge, and Postpartum Care Self-efficacy of Marriage Immigrant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0, No. 1, PP. 78-87, 2010. 

  8. Y. S. Jang, "Effects of Workbook Program for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on Perceived Stress Level,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Breast Feeding Practice.", Doctor's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4. 

  9. J. S. Lee, "(The) Effect of Postpartum Video Education on the Knowledge and Self-efficacy of Postpartum Care in Primiparas.",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2003. 

  10. D. A. Ryu, "Effect of a Newborn Care Education Program on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Self Esteem for Unmarried Mother.",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4. 

  11. Y. M. Seo, "The Effect of Education Program on Primiparas' Knowledge, Confidence and Accuracy of Behavior in Newborn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28, No. 4, PP. 1060-1074, 1998. 

  12. K. J. Cho, K. J. Lee & O. J. Lee, " The Effect of the Educational Program on Caring-Confidence and Rearing Attitude in Mothers with Newborns.",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Vol. 5, No. 1, PP. 84-96, 1999. 

  13. H. K. Kim & I. S. Jung, " Effects of a Newborn Care Education Program on Newborn Care Confidence and Behavioral Accuracy of Primiparas in a Postpartum Care Cent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7, No. 1, PP. 125-134, 2007. 

  14. M. H. Park, "(The) effect of newborn care education on the self confide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of primipara.",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2009. 

  15. K. H. Jeon, "A comparative Study of the Self-confidence in Newborn Baby Care giving according to the Education Presence of Primiparas' Caring.",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1994. 

  16. J. H. Lee. "Effects of the maternal education program for immigrant women on their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parenting stress and on their neonatal growth.", Doctor's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9. 

  17. H. S. Park, "(The) Effects of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utilizing NCASA(Nursing Child Assessment Sleep/Activity) on Primipara.", Doctor's dissertation, Kosin University, 2005. 

  18. J. R. Shrestha, D. S. Manandhar, S. R. Manandhar, D. Adhikari, C. Rai, H. Rana & A. Pradhan, "Maternal and Neonatal Health Knowledge, Service Quality and Utilization: Findings from a Community Based Quasi-experimental Trial in Arghakhanchi District of Nepal.", Journal of Nepal Health Research Council, Vol. 13, No. 29, PP. 78-83, 2015. 

  19. J. E. Davidson, R. A. Aslakson, A. C. Long, K. A. Puntillo, E. K. Kross, J. Hart & J. R. Curtis, "Guidelines for Family-Centered Care in the Neonatal, Pediatric, and Adult ICU.", Critcal Care Medicine, Vol. 45, No. 1, PP. 103-128, 2017. 

  20. K. S. Kha, R.Kunz, J. Kleijnen & G. Antes, "Five steps to conducting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the Royal Society of Medicine, Vol. 96, No.3, PP. 118-121. 2003. 

  21. M. Borenstein, L. V. Hedges, J. Higgins & H. R. Rothstein, "Front matter: Wiley Online Library.", 2009. 

  22. D. Moher, A. Liberati, J. Tetzlaff & D. G. Altman,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Annals of Internal Medicine, Vol. 151, No. 4, PP. 264-269, 2009. 

  23. B. J. Becker, "Synthesizing standardized meanchange measures.", British Journal of Mathematical and Statistical Psychology, Vol. 41, No. 2, PP. 257-278, 1988. 

  24. S. B. Morris & R. P. DeShon, "Combining effect size estimates in meta-analysis with repeated measures and independent-groups designs.", Psychological methods, Vol. 7 No. 1, PP. 105-125, 2002. 

  25. Y. Netz, M. J. Wu, B. J. Becker & G. Tenenbaum, "Physical activ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vanced age: a meta-analysis of intervention studies.", Psychology and aging, Vol. 20 No. 2, PP. 272-284, 2005. 

  26. J. Deeks, J. Higgins, D. Altman & S. Green,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5.1. 0 [updated March 2011]; The Cochrane Collaboration", 2011. 

  27. R. DerSimonian & N. Laird, "Meta-analysis in clinical trials.", Controlled Clinical Trials, Vol. 7, No.3, PP. 177-188, 1986. 

  28. C. Begg, M. Cho, S. Eastwood, R. Horton, D. Moher, I. Olkin, R. Pitkin, D. Rennie, K. F. Schulz, D. Simel & D. F. Stroup, "Improving the quality of reporting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the CONSORT statement.", JAMA, Vol. 276, No. 8, PP. 637-9. 1966. 

  29. K. H. Kim,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School Violence Intervention Progra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10, PP. 33-43, 2016. 

  30. K. S. Bang, J. S. Park, J. Y. Kim, J. Y. Park, H. S. An & B. H. Yun, "Literature Review on Nursing Intervention for Premature Infan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Vol. 17, No. 1, PP. 49-61, 2013. 

  31. J. E. Song & J. A. Ahn, "Effect of Intervention Programs for Improving Maternal Adaptation in Korea: Systematic Review.",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 19, No. 3, PP. 129-141,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