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수지역 배추김치와 시판 배추김치의 품질 평가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echu Kimchi at Jangsu Area as Compared with Commercial Kimchi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3 no.4, 2013년, pp.413 - 422  

이영숙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차진아 (전주대학교 한식조리학과) ,  노정옥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kimchi from Jangsu area (JSK) and its comparison with commercial kimchi (CMK). We conducted a sensory evaluation for the pH, titratable acidity, salinity, hunter's color values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kimchi. The pH of JSK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CMK throu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김치는 지역의 생태적 특성을 담고 있는 주요한 식문화 요소로 볼 수 있으며, 상실되어 가고 있는 각 지역의 김치 맛 보존과 지역의 전통을 가진 고급김치의 개발이 필요하겠다(Park et al 2003).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북 장수지역의 고랭지 배추를 이용한 장수지역산 시판김치와 일반 시판김치와의 품질 특성을 비교함으로써 지역적 특성을 살린 김치의 산업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의 주재료인 배추는 어떤 성분이 풍부한가? 저 열량식품인 김치는 비타민과 무기질 등 생리적 조절작용 물질들의 함량이 높은 것이 특징이며, 김치의 독특한 맛, 향기, 각종 영양성분과 기능성 성분들은 주재료와 향신료의 적절한 조합 및 발효과정에서 생성된다(Cheigh HS 2002). 김치의 주재료인 배추는 비타민 A, 비타민 B1, carotene, chlorophyll, 섬유질 등과 비타민 C 및 칼슘이 비교적 풍부하고, 생리활성 물질인 glucosinolates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Shim et al 2003), 재배되는 지역과 계절에 따른 차이로 김치 제조 시 김치의 품질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an et al 1998).
장수지역산 시판김치와 일반 시판김치의 관능평가를 조사한 결과, 김치의 아삭함은 어떤 차이점을 보이는가? 김치의 아삭함은 저장기간 동안 장수지역산 시판김치가 일반 시판김치에 비해 높은 값을 유지하며, 김치 조직이 단단한 것으로 나타나 물성측정의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특히 JSK3의 아삭거림이 가장 높은 값을 받았으며, CMK2가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김치는 지역별로 어떤 특징을 나타나는가? 김치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는데, 서울과 경기도 지방은 짜지도 싱겁지도 않은 것이 특징이며, 강원도 김치는 오징어와 명태를 김치 재료로 이용한다. 경상도와 전라도 김치는 남부지방의 따뜻한 기후로 인해 소금, 고춧가루, 마늘 등의 양념과 젓갈류를 많이 사용한다. 특히 전라도 김치는 경상도 지방보다 맵고 진한 맛이 나며 통깨를 넣는 특징이 있다(Jo JS 2000). Yoon et al(1988)의 김치에 대한 소비자 조사에 따르면 일반 소비자는 씹힘성이 좋고, 짜거나 달지 않은 약간 매운맛의 적당히 숙성된 김치를 선호하며, Lee et al(2011)의 김치에 대한 품질 평가 연구에서도 김치의 신맛이 적고 아삭거림이 높을수록 김치에 대한 기호도가 증진된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Cha YJ, Lee YM, Jung YJ, Jeong EJ, Kim SJ, Park SY, Yoon SS, Kim EJ (2003) A nationwide survey on the preference characteristics of minor ingredients for winter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555-561. 

  2. Cheigh HS (2002) Biogenic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Kimchi. In: Functional of food. 2002 Seoul International Symposium on Kimchi. pp 86-92. 

  3. Chung HJ, Kim HR, Yoo MJ (2005) Change in texture and sensory properties of low-temperature and long-term fermented baechu kimchi during the fermentation. Korean J Food culture. 20: 426-432. 

  4. Han ES (2000) Development of field salting packing and handling system of alpine Baechu.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pp 1-34. 

  5. Han ES, Deok MS, Pae JH (1998) Quality changes of salted baechu with packaging methods during long term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307-1311. 

  6. Han ES, Seok MS, Park JH, Lee HJ (1996) Quality changes of salted Chinese cabbage with the package pressure and storage temperat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650- 656. 

  7. Hwang GH, Yoo YK, Chung YD, Cho NC, Jung LH (2000) Effects of sensory acceptability for Kimchi prepared with different conditions of fermented seafood and red pepper. Korean J Food & Nutr 13: 201-212. 

  8. Jeon YS, Kye IS, Cheigh HS (1999) Changes of vitamin C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imchi on different cabbage variety and fermentation tempera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773-779. 

  9. Jo JS (2000) Studies of kimchi. Yurim-munhwasa, Seoul. pp 261-268. 

  10. Kang KO, Ku KH, Lee HJ, Woo SJ (1991) Effect of enzyme and inorganic acid salts addition and heat treatment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183- 187. 

  11. Kim MK, Ha KH, Kim MJ, KIm SD (1994) Change in color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3: 274-278. 

  12. Kim WJ, Kang KO, Kyung KH, Shin JI (1991) Addition of salts and their mixtures for improvements of storage stability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188-191. 

  13. Ko YT, Baik IH (2002) Changes in pH, sensory properties and volatile odor components of kimchi by heat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123-1126. 

  14. Lee GC, Han JA (1998) Changes in physical and microbi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starchy pastes add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Soc Food Sci 14: 195-200. 

  15. Lee IS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ggi kimchi prepared in the various region. MS Thesis Yongin University, Yongin. pp 26-28. 

  16. Lee IS, Kim HY, Kim EJ (2004) A survey on the commercial poggi kimchi and consumer acceptance test prepared in the various region. Korean J Food Culture 19: 460-467. 

  17. Lee MK, Lee HJ, Park WH, Koo KH, Kim YJ, Jang DJ, Suh JW (2009) Changes of S-adenosy1-L-methionine (SAM) in kimchi using different raw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417-422. 

  18. Lee SP, Ko KH, Yang JY, Oh SH (2001) Fundamentals of food fermentation. Hyoil, Seoul. pp 113-123. 

  19. Lee YS, Sohn HS, Rho JO (2011) Changes in the quality of baechu Kimchi added with backryeoncho(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powder fermentation. Korean J Food Cookery Sci 27: 59-70. 

  20. Mheen TI, Kwon TY (1984)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443-450. 

  21. Moon GS, Song SY, Lee CG, Kim SK, Ryu BM, Jeon YS (1997) The study on the salinity of kimchi and subjective perception of salinity in Pusan area. Korean J Soc Food Sci 13: 179-184. 

  22. Park BH, Cho HS, Yoo MJ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prepared for the winter around Chonnam area. Korean J Human Ecology 6: 57-65. 

  23. Park D, Choi A, Woo H, Rhee SK, Chae HJ (2010) Effects of sclerophyllous plant leaves addition on fermentativ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580-586. 

  24. Park SH, Lee JH (2005) The correlati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of kimchi with sour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103-109. 

  25. Park WP, Kim JH, JO JS (1996)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nese cabbage kimchi around Masa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535-538. 

  26. Park WS (2001) Established international standards kimchi: kimchi international standards established measures of the significance and future. Food Science and Industry 34: 96- 103. 

  27. Rhie SG, Kim HZ (1984) Changes in riboflavin and ascorbic acid content during ripening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13: 131-135. 

  28. Ryu BM, Jeon YS, Song YS, Moo GS (1996)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anchovy added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460-469. 

  29. Ryu JY, Lee HS, Rhee HS (1984) Changes of organic acids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kimchi fermented with different ingredi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169- 174. 

  30. Shim YH, Ahn GJ, Yoo CH (2003) Characterization of salted Chinese cabbage in relation to salt content, temperature and time. Korean J Food Cookery Sci 19: 210-215. 

  31. Song JH, SEO BS, Choi DG, Choi IM, Kang IK, Guak SH (2013). Comparison of growth period and local climate for 'Hongro' Apple orchards located at different altitudes in Jangsu-Gun. Korean J Agr Forest Meteorol 15: 1-8. 

  32. Yi SH, Park SY, Jeong DH, Kim JY, Lee AJ, Shin HA, Moon JH, Lee JH, Kim SE, Ryou HJ, O AS (2009) Survey research of homemade and commercial cabbage (baechu) kimchi on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671-676. 

  33. Yoon SI, Kim YC, Lee C (1988) A consumer survey in Seoul area on marketed kimchi products. Korean J Dietary Culture 3: 369-378. 

  34. You JH, Kwak EJ, Shin MJ (2007) A study on kimchi preference and the types of kimchi purchased at markets to improve kimchi marketing.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511-5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