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산물 첨가 김치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및 관능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afood-Add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and Its Sensory Properti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12, 2012년, pp.1771 - 1777  

우민지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  최정란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  김미정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  장미순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안전과) ,  조은주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  송영옥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문어, 오징어, 전복 및 주꾸미를 첨가하여 담근 수산물 첨가 김치와 일반 배추김치를 $5^{\circ}C$에서 8주간 저장하면서 김치의 관능성 및 이화학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수산물 첨가 김치의 pH와 산도는 일반 배추김치와 같이 정상 발효 패턴을 나타내었다. 저장기간 중 수산물 첨가 김치의 pH는 일반 배추김치에 비해 높았고 이에 반해 산도는 수산물 첨가 김치가 일반 배추김치보다 높았다. 수산물 김치의 젖산균 최대 균수는 Lactobacillus spp. 8.31~8.85 log CFU/mL, Leuconostoc spp. 7.60~8.14 log CFU/mL로 일반 배추김치에 비해 높았는데, 이는 수산물 첨가 김치의 환원당 함량이 높았기 때문이다. 적숙기(pH $4.3{\pm}0.1$, 산도 $0.7{\pm}0.1%$)에 도달하는 시기는 일반 배추김치, 전복김치 및 주꾸미김치가 저장 2주째, 문어김치 및 오징어김치가 저장 3주째로 나타났다. 과숙기(pH 4.0 이하, 산도 1.0% 이상)는 오징어김치(저장 6주째)를 제외한 모든 군이 저장 8주째로 나타났다. 과숙기의 산도는 일반 배추김치가 가장 낮았다. 적숙기 김치의 관능평가는 객관적 평가의 경우 수산물 첨가 김치의 신맛, 신내 및 탄산미가 일반 배추김치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기호도 평가 항목 중 수산물 첨가 김치의 종합적인 평가는 일반 배추김치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고, 특히 김치의 질감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수산물 첨가 김치의 외관 및 맛은 일반 배추김치와 유사하였으며, 김치냄새는 다소 낮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수산물을 첨가한 김치는 일반 배추김치와 같은 발효양상을 보였으며, 관능평가 결과 수산물 고유의 감칠맛으로 김치의 맛을 더욱 증진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afood added kimchi (SAK) during fermentation and its sensory properties. Korean cabbage kimchi (KCK) and four different SAKs were prepared and stored at $5^{\circ}C$ for eight weeks. The SAKs contained pre-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pH 및 산도를 기준(4,25)으로 김치의 발효 정도를 구분하여 수산물 종류에 따른 발효 양상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적숙기인 pH 4.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을 지닌 고부가 가치 수산물 첨가 김치 담금 표준화를 위한 기초 연구로 수산물(문어, 오징어, 전복, 주꾸미)을 10% 이상 첨가한 어딤채를 제조하여 이의 발효양상과 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의 영양학적 특징은? 김치는 채소 발효 식품으로 밥을 주식으로 하는 한국인의 중요한 부식으로 무기질, 비타민 및 섬유질이 풍부한 반면 지방 및 단백질 함량은 낮아 저 열량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1). 김치는 식물성 식품이나 젓갈 등의 수산물을 부재료로 사용하기도 한다(2).
김치에 첨가된 수산물이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은? 김치에 첨가된 수산물은 숙성 동안 분해된 저분자 펩타이드 및 유리아미노산에 의해 맛이 증가되나(4,7,8) 수산물을 생시료로 첨가 시 저장과정 중 수산물이 질겨져 김치의 식감을 떨어뜨리는 문제, 그리고 수산물을 10% 이상 첨가 시 김치의 염도가 증가하는 문제점 등이 지적되고 있다(4,7,11). 그러나 수산물의 함량이 높을수록 단백질의 완충작용에 의해 김치의 pH가 서서히 변화하고, 젖산균의 생육이 촉진되어 생성되는 유기산의 농도가 달라져 김치의 발효 양상 및 관능성이 일반 배추김치와 차이를 보인다고 보고되고 있다(2,6).
수산물 첨가 김치에서 수산물 함량이 높을수록 김치의 발효 양상 및 관능성이 일반 배추김치와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 김치에 첨가된 수산물은 숙성 동안 분해된 저분자 펩타이드 및 유리아미노산에 의해 맛이 증가되나(4,7,8) 수산물을 생시료로 첨가 시 저장과정 중 수산물이 질겨져 김치의 식감을 떨어뜨리는 문제, 그리고 수산물을 10% 이상 첨가 시 김치의 염도가 증가하는 문제점 등이 지적되고 있다(4,7,11). 그러나 수산물의 함량이 높을수록 단백질의 완충작용에 의해 김치의 pH가 서서히 변화하고, 젖산균의 생육이 촉진되어 생성되는 유기산의 농도가 달라져 김치의 발효 양상 및 관능성이 일반 배추김치와 차이를 보인다고 보고되고 있다(2,6). 문어, 오징어, 전복 및 주꾸미는 EPA 및 DHA와 같은 다가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아 혈관의 지질대사를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고 항고혈압(12), 항산화(13-17) 및 해독 작용(18) 등 많은 생리기능성이 보고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u HS, Noh JS, Yoon YR, Kim HJ, Kwon MJ, Cheigh HS, Song YO. 2007. Weight reduction and lipid lowering effects of sea tangle added Korean cabbage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140-1147. 

  2. Sung JM, Choi HY. 2009. Effects of Alaska pollack addition on the quality of Kimchi (Korean salted cabbage). Korean J Food Preserv 16: 772-781. 

  3. Park SY, Lim HK, Park S, Cho M. 2012. Quality and preference changes red sea cucumber (Stichopus japonicus) Kimchi during storage period. J Appl Biol Chem 55: 135-140. 

  4. Ryu BM, Jeon YS, Song YS, Moon GS. 1996.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anchovy added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5: 460-469. 

  5. Jang MS, Park HY, Park JI, Byun HS, Kim YK, Yoon HD. 2011. Analysis of nutrient composition of Baechu kimchi (Chinese cabbage kimchi ) with seafoods. Korean J Food Preserv 18: 535-545. 

  6. Jung YK, Oh SH, Kim SD. 2007. Ferment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wamaegi added Kimchi. Korean J Food Preserv 14: 526-530. 

  7. Bae MS, Lee SC. 2008.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added Styela clava.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573-579. 

  8. Lee HY, Paik JE, Han YS. 2003. Effect of powder-type dried Alaska pollack addition on the quality of Kimchi.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254-262. 

  9. Yoon SS. 1992. A historical study of Korean traditional kimchi. Korean J Dietary Culture 6: 467-477. 

  10. Kang KO, Lee SH, Cha BS. 1995. A study on the material ration of Kimchi products of Seoul and Chung Cheong area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fermented Kimchis. Korean J Soc Food Sci 11: 487-493. 

  11. Son SM, Park YS, Lim HJ, Kim SB, Jeong YS. 2007. Sodium intakes of Korean adults with 24-hour urine analysis and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and comparison of sodium intakes according to the regional area and dish group.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2: 545-558. 

  12. Kim HL, Kang SG, Kim IC, Kim SJ, Kim DW, Ma SJ, Gao T, Li H, Kim MJ, Lee TH, Han KS. 2006. In vitro anti-hypertensive, antioxidant and anticoagul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Haliotis discus hanna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835-840. 

  13. Zhoua DY, Tanga Y, Zhua BW, Qina L, Lia DM, Yanga JF, Leia K, Muratab Y. 2012. Antioxidant activiy of hydrolysates obtained from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and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Ino) muscle. Food Chem 132: 815-822. 

  14. Zhu BW, Wang LS, Zhou DY, Li DM, Sun LM, Yang JF, Wu HT, Zhou XQ, Tada M. 2008. Antioxidant activity of sulphated polysaccharide conjugates from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Ino). Eur Food Res Technol 227: 1663-1668. 

  15. Balti R, Bougatef A, Ali NEH, Ktari N, Jellouli K, Nedjar- Arroume N, Dhulster P, Nasri M. 2011. Comparative study on bi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cuttlefish (Sepia officinalis) protein hydrolysates produced by Alcalase and Bacillus licheniformis NH1 proteases. J Amino Acids 2011: 1-11. 

  16. Mendis E, Rajapakse N, Byun HG, Kim SK. 2005. Investigation of jumbo squid (Dosidicus gigas) skin gelatin peptides for their in vitro antioxidant effects. Life Sci 77: 2166-2178. 

  17. Lin L, Li B. 2006. Radical scavenging properties of protein hydrolysates from Jumbo flying squid (Dosidicus eschrichitii Steenstrup) skin gelatin. J Sci Food Agric 86: 2290-2295. 

  18. Passi S, Cataudella S, Di Marco P, De Simone F, Rastrelli L. 2002. Fatty acid composition and antioxidant levels in muscle tissue of different Mediterranean marine species of fish and shellfish. J Agric Food Chem 50: 7314-7322. 

  19. Oh SC, Cho JS, Nam HY. 2000. Changes of the volatile basic nitrogen and free amino acids according to the fermentation of low salt fermented squid.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6: 173-181. 

  20. Jang MS, Jang JR, Park HY, Yoon HD. 2010. Overall composition, and levels of fatty acids, amino acids, and nucleotide-type compounds in wild abalone Haliotis gigantea and cultured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Korean J Food Preserv 17: 533-540. 

  21. Kim ES, Kim JS, Moon HK. 1999. Taurine contents in commercial milks, meats and seafo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6-21. 

  22. Oh KS. 2003. Processings of intermediate flavoring substance from low-utilized longfinned squid.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663-668. 

  23. Kim DS, Kim YM, Woo SG. 1990. Studies on the nonvolatile organic acids in the extracts of dried squid.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 305-310. 

  24. Rosa R, Costa PR, Nunes ML. 2004. Effect of sexual maturation on the tissue biochemical composition of Octopus bulgaris and O. defilippi (Mollusca: Cephalopoda). Marine Biology 145: 563-574. 

  25. Lee KH, Cho HY, Pyun YR. 1991. Kinetic modelling for the prediction of shelf-life of kimchi based on total acidity as a quality index.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306-310. 

  26. Kim TE. 2010. Development of Deoduk recipe for the industrial production and its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p 7-8. 

  27. Park YH, Jung LH, Lee SS. 2001.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oha-jeot added cabbage kimchi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426-431. 

  28. Moon SW, Lee MK. 2011. Effects of added harvey powder on the quality of Yulmoo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435-4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