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의 창의성을 함양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의 기회를 가지며, 과학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여 과학 관련 진로 모색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자유 탐구'를 신설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2009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명시된 '자유 탐구'가 중학교 과학 교과에서 적용되고 있는 실태를 과학 교사 대상 설문 조사 및 교사와 학생 대상 면담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2010학년도에 '자유 탐구'를 운영했다는 응답 비율은 49.6%였고, 2011학년도 1학기에 '자유 탐구'를 운영했다는 응답 비율은 34.1%였다. '자유 탐구'를 적용한 기간에 대해서는 한 학기라고 응답한 경우, '자유 탐구'의 주제 선정 방법으로는 학생들이 탐구하고 싶은 주제를 선정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자유 탐구'의 주제와 관련된 아이디어는 주로 과학 교과서 또는 교사용 지도서에서 가장 많이 찾으며, 한 소집단은 주로 4명으로 구성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소집단을 구성한 방식은 친한 친구들끼리 학생들이 정하거나 학생들의 성별, 능력 등을 고려하여 교사가 정한 경우가 많았다. '자유 탐구' 운영을 통해서 학생들에게 나타난 효과로, 과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향상되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과학 탐구 능력과 자기 주도 학습 능력이 향상되는 응답도 많았다. '자유 탐구'를 수행한 학생들은 활동이 재미있었고 또 하고 싶다고 응답하였다. '자유 탐구'를 운영할 때 겪은 어려움으로는, '자유 탐구' 지도에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든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 흥미와 관심이 부족하다는 응답도 많았다. '자유 탐구'를 운영하지 않는 이유로는 '자유 탐구'를 운영할 시간이 부족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자유 탐구'를 반드시 운영해야 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응답도 많았다. '자유 탐구'가 제대로 운영되기 위해서 가장 시급하게 해결되어야 할 것으로는, '자유 탐구' 지도 방법 관련 자료 및 학생들이 참고할 자료의 개발 및 보급, '자유 탐구' 운영 시간 증대, 학급 당 학생 수 감축 등의 응답이 많았다. '자유 탐구'를 현장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인턴 교사, 실험 조교 등의 인력 보강, 관련 자료의 개발 및 보급, 교사의 인식 제고 등이 필요하다.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의 창의성을 함양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의 기회를 가지며, 과학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여 과학 관련 진로 모색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자유 탐구'를 신설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2009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명시된 '자유 탐구'가 중학교 과학 교과에서 적용되고 있는 실태를 과학 교사 대상 설문 조사 및 교사와 학생 대상 면담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2010학년도에 '자유 탐구'를 운영했다는 응답 비율은 49.6%였고, 2011학년도 1학기에 '자유 탐구'를 운영했다는 응답 비율은 34.1%였다. '자유 탐구'를 적용한 기간에 대해서는 한 학기라고 응답한 경우, '자유 탐구'의 주제 선정 방법으로는 학생들이 탐구하고 싶은 주제를 선정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자유 탐구'의 주제와 관련된 아이디어는 주로 과학 교과서 또는 교사용 지도서에서 가장 많이 찾으며, 한 소집단은 주로 4명으로 구성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소집단을 구성한 방식은 친한 친구들끼리 학생들이 정하거나 학생들의 성별, 능력 등을 고려하여 교사가 정한 경우가 많았다. '자유 탐구' 운영을 통해서 학생들에게 나타난 효과로, 과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향상되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과학 탐구 능력과 자기 주도 학습 능력이 향상되는 응답도 많았다. '자유 탐구'를 수행한 학생들은 활동이 재미있었고 또 하고 싶다고 응답하였다. '자유 탐구'를 운영할 때 겪은 어려움으로는, '자유 탐구' 지도에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든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 흥미와 관심이 부족하다는 응답도 많았다. '자유 탐구'를 운영하지 않는 이유로는 '자유 탐구'를 운영할 시간이 부족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자유 탐구'를 반드시 운영해야 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응답도 많았다. '자유 탐구'가 제대로 운영되기 위해서 가장 시급하게 해결되어야 할 것으로는, '자유 탐구' 지도 방법 관련 자료 및 학생들이 참고할 자료의 개발 및 보급, '자유 탐구' 운영 시간 증대, 학급 당 학생 수 감축 등의 응답이 많았다. '자유 탐구'를 현장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인턴 교사, 실험 조교 등의 인력 보강, 관련 자료의 개발 및 보급, 교사의 인식 제고 등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free inquiry' was implemented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rooms. In order to do this, survey and interviews were administered. The subject of survey was 165 science teachers at 58 middle schools and interviewees were 4 teachers and 10 students. A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free inquiry' was implemented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rooms. In order to do this, survey and interviews were administered. The subject of survey was 165 science teachers at 58 middle schools and interviewees were 4 teachers and 10 students. As a result, 49.6% of science teachers in school year 2010, and 34.1% in 2011 applied 'free inquiry'. Teachers applied 'free inquiry' during one semester, and they let the students select topic of 'free inquiry'. Teachers grouped students according to students' opinion or their gender and ability, and one group was consisted of 4 students. The effect of applying 'free inquiry' was that students improved the interest on science, science inquiry ability and self directed learning capability. Students were interested in doing 'free inquiry', and they wanted to do it again. Teachers claimed that it took much time and effort to apply 'free inquiry', and students lacked science inquiry skills and interest on science. The teachers who did not apply 'free inquiry' stated reasons such as the shortage of instructional time, and they didn't think that 'free inquiry' should be implemented.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free inquiry', this study suggested that teachers should be recognized the intention of 'free inquiry', teaching-learning materials about 'free inquiry' be developed and provided, and laboratory assistants be employ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free inquiry' was implemented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rooms. In order to do this, survey and interviews were administered. The subject of survey was 165 science teachers at 58 middle schools and interviewees were 4 teachers and 10 students. As a result, 49.6% of science teachers in school year 2010, and 34.1% in 2011 applied 'free inquiry'. Teachers applied 'free inquiry' during one semester, and they let the students select topic of 'free inquiry'. Teachers grouped students according to students' opinion or their gender and ability, and one group was consisted of 4 students. The effect of applying 'free inquiry' was that students improved the interest on science, science inquiry ability and self directed learning capability. Students were interested in doing 'free inquiry', and they wanted to do it again. Teachers claimed that it took much time and effort to apply 'free inquiry', and students lacked science inquiry skills and interest on science. The teachers who did not apply 'free inquiry' stated reasons such as the shortage of instructional time, and they didn't think that 'free inquiry' should be implemented.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free inquiry', this study suggested that teachers should be recognized the intention of 'free inquiry', teaching-learning materials about 'free inquiry' be developed and provided, and laboratory assistants be employed.
탐구는 학생들로 하여금 과학자들이 자연 세계를 어떻게 연구하는지에 대해 이해하게 하고 과학적 지식을 이해하고 발달시키는 활동을 의미한다(NRC, 2000). 과학교육의 중요한 목적 중의 하나는 학생들의 과학적 사고력 함양이고, 이를 위해 학생들이 관찰과 실험과 같은 과학적 탐구에 참여하게 해야한다(Chinn & Malhotra, 2002). 미국의 국가과학 교육기준의 내용 기준에는 ‘탐구로서의 과학’ 영역이 설정되어 있고 ‘과학적 탐구를 수행하는 능력’뿐만 아니라 ‘과학 탐구에 대한 이해’를 하위 영역으로 제시하고 있다(NRC, 2000).
초등학교 예비 교사, 교사, 초등학생이 자유 탐구 활동에 겪은 어려움을 조사를 살펴보면 어떤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는가?
‘자유 탐구’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초등학교 과학 교육에서 ‘자유 탐구’의 적용과 관련된 연구가 많고, 이러한 연구들은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이 현장에 적용되기 이전에 대부분 수행되었다. 초등학교 예비 교사의 자유 탐구 수행 능력을 분석하거나(이용섭, 2009; 황현정, 전영석, 2009) 초등학교 예비 교사, 교사, 초등학생이 자유 탐구 활동에 겪은 어려움을 조사한 연구(신현화, 김효남, 2010; 임성만 등, 2010) 결과를 살펴보면, 탐구 설계의 지도, 탐구 주제 선정 등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초등학생을 위한 자유탐구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장진아, 전영석, 2010) 초등학생의 자유 탐구 활동 보고서의 평가 준거를 개발한 연구(김숙경 등, 2010)가 수행된 바 있다.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2009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명시된 '자유 탐구'가 중학교 과학 교과에서 적용되고 있는 실태를 과학 교사 대상 설문 조사 및 교사와 학생 대상 면담을 통하여 고찰 한 결과는?
이 연구에서는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2009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명시된 '자유 탐구'가 중학교 과학 교과에서 적용되고 있는 실태를 과학 교사 대상 설문 조사 및 교사와 학생 대상 면담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2010학년도에 '자유 탐구'를 운영했다는 응답 비율은 49.6%였고, 2011학년도 1학기에 '자유 탐구'를 운영했다는 응답 비율은 34.1%였다. '자유 탐구'를 적용한 기간에 대해서는 한 학기라고 응답한 경우, '자유 탐구'의 주제 선정 방법으로는 학생들이 탐구하고 싶은 주제를 선정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자유 탐구'의 주제와 관련된 아이디어는 주로 과학 교과서 또는 교사용 지도서에서 가장 많이 찾으며, 한 소집단은 주로 4명으로 구성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소집단을 구성한 방식은 친한 친구들끼리 학생들이 정하거나 학생들의 성별, 능력 등을 고려하여 교사가 정한 경우가 많았다. '자유 탐구' 운영을 통해서 학생들에게 나타난 효과로, 과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향상되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과학 탐구 능력과 자기 주도 학습 능력이 향상되는 응답도 많았다. '자유 탐구'를 수행한 학생들은 활동이 재미있었고 또 하고 싶다고 응답하였다. '자유 탐구'를 운영할 때 겪은 어려움으로는, '자유 탐구' 지도에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든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 흥미와 관심이 부족하다는 응답도 많았다. '자유 탐구'를 운영하지 않는 이유로는 '자유 탐구'를 운영할 시간이 부족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자유 탐구'를 반드시 운영해야 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응답도 많았다. '자유 탐구'가 제대로 운영되기 위해서 가장 시급하게 해결되어야 할 것으로는, '자유 탐구' 지도 방법 관련 자료 및 학생들이 참고할 자료의 개발 및 보급, '자유 탐구' 운영 시간 증대, 학급 당 학생 수 감축 등의 응답이 많았다. '자유 탐구'를 현장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인턴 교사, 실험 조교 등의 인력 보강, 관련 자료의 개발 및 보급, 교사의 인식 제고 등이 필요하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