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산물 중 식중독세균 검출을 위한 전처리법 확립
Establishment of Sample Preparation Method to Enhance Recovery of Food-borne Pathogens from Produce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28 no.3, 2013년, pp.279 - 285  

김세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  최송이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  서민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  이지영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수입관리과) ,  김원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  윤요한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류경열 (농촌진흥청 연구정책국 연구성과관리과) ,  윤종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  김병석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획조정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농산물 중 식중독세균 검출을 위한 시료 전처리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전처리용액, 전처리 시간, 전처리용액과 시료의 비율에 따른 회수율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양상추, 들깻잎, 오이, 고추, 방울토마토에 E. coli O157:H7, S. Typhimurium, L. monocytogenes, S. aureus, B. cereus를 6.0 log $CFU/cm^2$로 접종하고 0.1% 펩톤수와 D/E broth로 처리하였다. 또한 처리시간은 30, 60, 90, 120초, 시료와 전처리용액의 비율은 1 : 2, 1 : 4, 1 : 9, 1 : 19로 각각 처리하였다. 그 결과, D/E broth로 처리하였을 때 0.1% 펩톤수로 처리하였을 때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식중독균의 회수율이 높았다(P<0.05). 특히 방울토마토의 경우, D/E broth로 처리한 구의 S. Typhimurium의 수는 0.1% 펩톤수로 처리한 구 보다 1.05 log $CFU/cm^2$ 높았다(P<0.05). 또한 들깻잎, 양상추, 오이, 고추, 토마토와 전처리용액의 최적 비율은 1 : 9, 1 : 4, 1 : 2, 1 : 2, 1 : 2였다. 한편, 처리시간에 따른 회수율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볼 때 농산물 중 식중독균 검출을 위한 전처리용액은 D/E broth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며 표면적에 따라 시료와 전처리 용액의 비율을 결정하는 것이 분석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stablish sample preparation method for detection of food-borne pathogens from lettuce, perilla leaves, cucumber, pepper, and cherry tomato, the influences of diluent composition, processing time, and proportion of diluent to sample were examined. Each produce was inoculated with 6.0 log $C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산물 중 식중독세균 분석의 정확성을 제고하고 전처리법을 표준화하기 위하여 표면의 성질과 pH가 서로 다른 농산물 5종 (들깻잎, 양상추, 오이, 고추, 토마토)을 대상으로 최적의 전처리용액, 전처리시간, 전처리용액과 시료의 비율을 결정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농산물 중 식중독세균 검출을 위한 시료 전처리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전처리용액, 전처리 시간, 전처리용액과 시료의 비율에 따른 회수율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양상추, 들깻잎, 오이, 고추, 방울토마토에 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엽채류에 의한 식중독사고의 예로는 어떤 것이 있는가? 미국의 경우 1996년부터 2008년까지 농산물과 관련된 식중독이 82건 발생하였으며 그 중 엽채소와 관련된 사고는 28건이었다3). 엽채류에 의한 식중독사고의 예로는 미국에서 2006년에 Escherichia coli O157:H7에 오염된 시금치가 원인이 되어 발생한 식중독 사고를 들 수 있으며 이 사고로 199명 이상의 환자가 발생하였고 3명이 사망하였다4). 그 외에도 영국에서 발생한 Salmonella Thompson에 오염된 상추로 인한 식중독과 덴마크에서 발생한 Salmonella Anatum에 의해 오염된 바질에 의한 식중독 등이 있다5). 또한 국내에서는 농산물이 직접적인 원인이 되어 식중독이 발생한 사례가 많이 보고되고 있지는 않지만 농산물에서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Salmonella spp.
최근 조리하지 않고 바로 섭취하는 농산물의 소비가 대폭 증가하는 이유는? 최근 국민소득증가와 생활수준향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져 조리하지 않고 바로 섭취하는 농산물의 소비가 대폭 증가하고 있다1). 비가열 농산물은 여러 가지 생리기능성이 유지 되는 장점이 있으나 농산물에 존재하는 미생물은 제어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2).
조리하지 않고 바로 섭취하는 농산물의 장단점은? 최근 국민소득증가와 생활수준향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져 조리하지 않고 바로 섭취하는 농산물의 소비가 대폭 증가하고 있다1). 비가열 농산물은 여러 가지 생리기능성이 유지 되는 장점이 있으나 농산물에 존재하는 미생물은 제어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2). 특히 엽채류는 표면적이 넓고 생산 과정 중 주변환경과 접촉 빈도가 높아 유해미생물에 오염되기 쉬우며 최근에는 엽채소의 섭취로 인한 식중독발생이 국내외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KIM, G.H. and Bang, H.Y.: A survey on consumption pattern of minimally fruits and vegetables. Korean J. Food Culture, 13, 267-274 (1998). 

  2. Choi, J.W., Park, S.Y., Yeon, J.H., Lee, M.J., Chung, D.H., Lee, K.H., Kim, M.G., Lee, D.H., Kim, K.S. and Ha, S.D.: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of fresh vegetables distributed in markets. Korean J. Fd. Hyg. Safety, 20, 43-47 (2005). 

  3. FDA: Guidance for Industry: Guide to Minimize Microbial Food Safety Hazards of Leafy Greens; Draft Guidance. Available from: http://www.fda.gov/Food/GuidanceComplianceRegulatoryInformation/ GuidanceDocuments/Produceand PlanProducts/ucm174200.html. Accessed Jan. 15, 2010 (2009). 

  4. CDC: Update on Multi-State Outbreak of E. coli O157:H7 Infections From Fresh Spinach, October 6, 2006. Available from: http://www.cdc.gov/ecoli/2006/september/updates/100606. html. Accessed Feb. 20, 2010 (2006). 

  5. Patel, J. and Sharma, M.: Differences in attachment of Salmonella enteric serovars to cabbage and lettuce leaves. Int. J. Food Microbiol. 139, 41-47 (2010). 

  6. Kim, S.H., Kim, J.S., Choi, J.P., and Park, J.H.: Prevalence and frequency of food-borne pathogens on unprocessed aga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94-598 (2006). 

  7. Kim, J.S., Bang, O.K. and Chang, H.C.: Examination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f ready-to-eat vegetable salad. J. Fd. Hyg. Safety, 19, 60-65 (2004). 

  8. Burnett, A.B. and Beuchat, L.R: Comparison of sample preparation methods for recovering Salmonella from raw fruits, vegetables, and herbs. J. Food Prot. 64, 1459-1465 (2001). 

  9.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nalysis and Evaluation of Preventive Control Measures for the Control and Reduction/ Elimination of Microbial Hazards on Fresh and Fresh-Cut Produce. Available at: http://www.fda.gov/Food/ScienceResearch/ ResearchAreas/SafePracticesforFoodProcesses/ucm 090977.html. Accessed 5 June 2009 (2001). 

  10. Arthur, L., Jones, S., Fabri, M. and Odumeru, J.: Microbial survey of selected Ontario-grown fresh fruits and vegetables. J. Food Prot. 70, 2864-2867 (2007). 

  11. Bari, M.L., Sabina, Y., Isobe, S., Uemura, T. and Isshiki. K.: Effectiveness of electrolyzed acidic water in killing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Enteritidis, and Listeria monocytogenes on the surfaces of tomatoes. J. Food Prot., 66, 542-548 (2003). 

  12. Thunberg, R.L., Tran, T.T., Bennett, R.W., Matthews, R.N. and Belay, N.: Microbial evaluation of selected fresh produce obtained at retail markets. J. Food Prot., 65, 677-682 (2002). 

  13. Zhang, S. and Farber. J.M.: The effects of various disinfectants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on fresh-cut vegetables. Food Microbiol., 13, 311-321 (1996). 

  14. Karapimar, M. and Aktug. S.E.: Inhibition of food borne pathogens by thymol, eugenol, menthol and anethole. Int. J. Food Microbiol., 4, 161-166 (1987). 

  15. Kim, S.R., Yoon, Y., Kim, W.I., Park, K.H., Yun, H.J., Chung, D.H., Yun, J.C. and Ryu, K.Y.: Comparison of Sample Preparation Methods for the Recovery of Food-borne Pathogens from Fresh Produce. J. Food Prot., 75, 1213-1218 (2012). 

  16. Takahashi, H., Kuramoto, S. Miya, S. and Kimura. B.: Desiccation survival of Listeria monocytogenes and other potential food borne pathogens on stainless steel surfaces is affected by different food soils. Food Control, 22, 633-637 (2011). 

  17. KFDA: Korean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Osong, Korea. pp.5-29-34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