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구어와 문어 문장산출 능력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Spoken and Written Sentence Production in Adults with Fluent Aphasia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5 no.3, 2013년, pp.103 - 111  

하지완 (대구대학교) ,  편성범 (고려대학교) ,  황유미 (고려대학교) ,  이호영 ,  심현섭 (이화여자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raditionally it has been assumed that written abilities are completely dependent on phonology. Therefore spoken and written language skills in aphasic patients have been known to exhibit similar types of impairment. However, a number of latest studies have reported the findings that support the or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어와 문어 과제가 10분 정도의 시간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반복 실시되도록 하였던 본 연구의 실험절차에도 불구하고 두 양태에서 유의한 수행력의 차이가 나타났다는 것은, 구어와 문어의 기저 처리과정이 동일하지 않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구어와 문어산출의 독립성을 지지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구체적으로 어떠한 처리단계에서부터 독립적인지를 밝히고자 노력하였다. 구어와 문어산출이 특정 단계에서는 처리과정을 공유하고 또 다른 단계에서는 독립적일 가능성은 선행 연구에서 이미 언급된 바 있다(Cleland &Pickering, 2006; Rapp &Caramazza 1997, 2002).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장 수준에서 실어증 환자의 구어 산출과 문어산출 간 수행력 비교를 통하여, 구어와 문어산출 처리과정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단계에서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처리과정을 공유하는 단계에서는 두 양태 간 문장산출 양상이 유사할 것이나, 처리과정이 독립적인 단계에서는 양상이 상이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이제까지 실어증 분야에서 구어보다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 받아왔던 문어에 초점을 두고, 문장산출의 처리과 정을 구어와의 비교를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 의가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방법적인 면에서 몇 가지 제한점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유창한 실어증 환자의 구어와 문어 간 문장 산출 수행력을 비교해봄으로써, 문장산출에서 구어와 문어의 처리과정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K-FAST의 구어 과제와 문어 과제 간 수행력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유창한 실어증 환자들이 구어처럼 문어도 반드시 유창하게 산출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의 연구문제 2인 두 양태 간 문장산출의 각 처리과정에서 수행력을 분석한 결과를 에 제시하였다.

가설 설정

  • 따라서 발화 당 의미유형 수를 비교하였고, 의미유형의 분석 기준은 김영태(2010)를 참고하였다. 기능 층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유형은 의미오류일 것이다. Dell et al.
  • 셋째, Bock &Levelt (1994)의 문장산출모델은 구어에 초점을 둔 것이다.
  • 본 연구의 결과를 언어평가 및 치료 영역에 적용하여보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이끌어낼 수 있다. 첫째 구어에서 메시지 층위와 기능 층위에 결함이 관찰되면 문어에서도 동일한 결함이 예측되고, 반대의 경우도 그러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한 양태에서 메시지 층위와 기능 층위에 초점을 둔 치료를 실시하면 다른 양태에서도 유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 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적으로 실어증 환자의 문어산출 능력은 어떠할 것으로 여겨져 왔는가? 전통적으로 실어증 환자의 문어산출 능력은 구어산출 능력과 유사하게 손상되었을 것이라고 여겨져 왔다(Brown, 1972; Duffy &Ulrich, 1976; Geschwind, 1969; Goodglass &Hunter, 1970). 즉 구어 산출 시와 유사하게 문어 산출 시에도, 브로카 실어증 환자는 발화 길이가 짧고 내용어 위주의 실문법적인 특징을, 베르니케 실어증 환자는 기능어의 사용이 부적절하거나 과다하게 많은 탈문법적인 특징을 보일 것이라고 믿어왔다.
유창한 실어증 환자의 구어와 문어 간 문장 산출 수행력을 비교한 연구결과를 언어평가 및 치료 영역에 적용하여 얻은 시사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결과를 언어평가 및 치료 영역에 적용하여보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이끌어낼 수 있다. 첫째 구어에서 메시지 층위와 기능 층위에 결함이 관찰되면 문어에서도 동일한 결함이 예측되고, 반대의 경우도 그러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한 양태에서 메시지 층위와 기능 층위에 초점을 둔 치료를 실시하면 다른 양태에서도 유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 이다. 혹은 메시지 층위와 기능 층위의 향상을 위해서는 구어든 문어든 어떠한 양태를 치료과제로 사용하여도 상관없을 것이다. 둘째 한 양태에서 위치 층위 또는 음운부호화/철자부 호화 층위에 결함이 관찰되더라도 다른 양태에서는 그와 같은 결함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두 양태에서 모두 결함이 관찰되더라도 한 양태의 치료가 다른 양태에 효과를 미 칠 것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위치 층위와 음운 부호화/철자부호화 층위에 대해서는 구어와 문어 각각에 대해 독립적인 평가와 치료를 실시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특징은? 전통적으로 실어증 환자의 문어산출 능력은 구어산출 능력과 유사하게 손상되었을 것이라고 여겨져 왔다(Brown, 1972; Duffy &Ulrich, 1976; Geschwind, 1969; Goodglass &Hunter, 1970). 즉 구어 산출 시와 유사하게 문어 산출 시에도, 브로카 실어증 환자는 발화 길이가 짧고 내용어 위주의 실문법적인 특징을, 베르니케 실어증 환자는 기능어의 사용이 부적절하거나 과다하게 많은 탈문법적인 특징을 보일 것이라고 믿어왔다. 뿐만 아니라 여러 실어증 연구에서 실제로 구어와 문어의 평행적 손상(parallel deficits)이 보고되었다(Duffy &Ulrich, 1976; Goodglass &Hunter, 197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ssal, G., Buttet, J. & Jolivet, R. (1981). Dissociations in aphasia: A case report. Brain and Language, 13, 223-240. 

  2. Basso, A., Taborelli, A., & Vignolo, A. (1978). Dissociated disorders of speaking and writing in aphasia.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41, 556-563. 

  3. Bastiaanse, R., Bosje, M., & Franssen, M. (1996). Deficit-oriented treatment of word-finding problems: Another replication. Aphasiology, 10, 363-383. 

  4. Beeson, P. M., & Egnor, H. (2006). Combining treatment for written and spoken naming.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 12, 816-827. 

  5. Berndt, R. S., & Haendiges, A. N. (2000). Grammatical class in word and sentence production: Evidence from an aphasic patient.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43, 249-273. 

  6. Best, W., & Nickels, L. (2000). From theory to therapy in aphasia: Where are we now and where to next? Neuropsychological Rehabilitation, 10, 231-247. 

  7. Bock, J. K., & Levelt, W. (1994). Language production: Grammatical encoding. In M. Gernsbacher (Ed.), Handbook of psycholinguistics. New York: Academic Press. 

  8. Bourdin, B., & Fayol, M. (2002). Even in adults, written production is still more costly than oral production. Journal of Psychology, 37, 219-227. 

  9. Brown, J. W. (1972). Aphasia, apraxia, and agnosia. Springfield, IL: Charles C Thomas. 

  10. Caramazza, A., & Hillis, A. (1990). Where do semantic errors come from? Cortex, 26, 95-122. 

  11. Cleland, A. A., & Pickering, M. J. (2006). Do writing and speaking employ the same syntactic representation?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54, 185-198. 

  12. Dell, G. S., Schwartz, M. F., Martin, N., Saffran, E. M., & Gagnon, D. A. (1997). Lexical access in aphasia and nonaphasic speakers. Psychological Review, 104, 801-838. 

  13. Duffy, R. J., & Ulrich, S. R. (1976). A comparison of impairments in verbal comprehension, speech, reading and writing in adult aphasic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41, 110-119. 

  14. Garrett, M. F. (1980). Levels of processing in sentence production. In B. Butterworth (Ed.), Language production. New York: Academic Press. 

  15. Geschwind, N. (1969). Problems in anatomical understanding of aphasia. In A. L. Benton (Ed.), Contributions of clinical neuropsychology. Chicago: Uninv. of Chicago Press. 

  16. Goodglass, H., & Hunter, M. (1970). A linguistic comparison of speech and writing in two types of aphasia.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3, 28-35. 

  17. Hills, A. E., Rapp, B., & Caramazza, A. (1999). When a rose is a rose in speech but a tulip in writing. Cortex, 35, 337-356. 

  18. Hillis, A. E., Tuffiash, E., &.Caramazza, A. (2002). Modality-specific deterioration in naming verbs in nonfluent primary progressive aphasia. Journal of Cognitive Neuroscience, 14, 1099-1108. 

  19. Kim, H., & Na, D. L. (2001). Paradise.Korean version-Western Aphasia Battery. Seoul: Paradise Institut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김향희.나덕렬 (2001). 파라다이스 한국판 웨스턴 실어증검사. 서울: 파라다이스 복지재단) 

  20. Kellogg, R. T. (2004). working memory components in written sentenve generation.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117, 341-361. 

  21. Kim, Y. T. (2003). Assessment and treatment of language disorders in children. Seoul: Hakjisa. (김영태 (2003). 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 서울: 학지사) 

  22. Miceli, G., Benvegnu, B., Capasso, R., & Caramazza, A. (1997). The independence of phonological and orthographic lexical form: Evidence from aphasia. Cognitive Neuropsycholoy, 14, 35-69. 

  23. Lee, B. W. (2008). Korean grammar. Chonan: Nazarene Language and Hearing Center. (이봉원 (2008). 언어치료사를 위한 한국어문법. 천안: 나사렛언어청각센터) 

  24. Olive, T., & Kellogg, R. T. (2002). Concurrent activation of high- and low-level production processes in written composition. Memory & Cognition, 30, 594-600. 

  25. Patterson, K., & Shewell, C. (1987). Speak and Spell: Dissociations and word-class effects. In M. Coltheart, G. Sartori, & R. Job (Eds.), The cognitive neuropsychology of language. London: Erlbaum. 

  26. Pyun, S. B. (2008). Korean version of Frenchay Aphasia Screening Test. Seoul: Hanmi. (편성범 (2008). 한국판 프렌차이 실어증 선별검사. 서울: 한미의학) 

  27. Piras, F., & Marangolo, P. (2004). Independent access to phonological and orthographic lexical representations: A replication study. Neurocase, 10, 300-307. 

  28. Rapp, B., & Caramazza, A. (1997). The modality-specific organization of grammatical categories: Evidence from impaired spoken and written sentence production. Brain and Language, 56, 248-286. 

  29. Rapp, B. & Caramazza, A. (2002). Selective difficulties with spoken nouns and written verbs: A single case study. Journal of Neurolinguistics, 15, 373-402. 

  30. Rapp, B., Benzing, L., & Caramazza, A. (1997). The autonomy of lexical orthography. Cognitive Neuropsycholoy, 14, 71-104. 

  31. Yorkston, K. M., & Beukelman, D. R. (1980). An analysis of connected speech samples of aphasia and normal speaker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45, 27-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