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고층 프로젝트 양중 계획의 실패 유형별 핵심 리스크 요인 분석
An Analysis of The Critical Risk Factors in Failure Cases of Lifting Equipment Plans in High-rise Construction Project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4 no.4, 2013년, pp.73 - 83  

김남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초고층장대교량학과) ,  김예상 (성균관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국내 외 대도시를 중심으로, 글로벌 경제 위기와 부동산 경기 침체로 중단되거나 연기되었던 초고층 프로젝트들이 재개되고 있으며, 이를 수주하기 위한 건설사들의 경쟁은 전보다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국내 건설사들이 초고층 건축 분야에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체 프로젝트의 근간이 되는 중요한 요소인 양중계획의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지만, 여전히 개인적 경험에 의존하여 작성 된, 양중계획의 오류로 인한, 현장 전체의 공기 지연 및 원가 관리 실패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중계획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현행 양중계획 체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계획 요소에 따라 실패 유형을 도출하였으며, 각 실패 유형이 전체 프로젝트의 공정, 원가, 안전관리에 미치는 영향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양중 장비별 세부 리스크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FMEA 기법을 적용하여 초고층 프로젝트 양중계획의 핵심 리스크 요인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not only around Korea but also other countries shows a pattern of arising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 which was delayed or aborted during global economic crises and recession. Although the market starts to stretch, It is getting competitive to win a contract in high-rise cons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초고층 프로젝트의 근간이 되는 양중계획의 오류로 인해 발생되는 실패 유형과 각각의 계획 요소에 내재되어 있는 리스크 요인이 전체 프로젝트에 미치는 영향도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형 건설사 양중계획 및 시공관리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현행 양중계획 체계의 문제점과 리스크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FMEA 기법을 활용하여 도출된 리스크 요인들이 전체 프로젝트에 미치는 영향도를 분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초고층 프로젝트의 양중계획의 실패 유형을 분류한 후 각 실패 유형이 전체 프로젝트의 공정, 원가, 안전 관리에 미치는 영향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FMEA 기법을 적용, 세부 계획 요소별 리스크 요인의 발생빈도와 영향도, 치명도의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핵심 리스크 요인을 도출하여 양중계획의 체계적 리스크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한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형 건설사 양중계획 및 시공관리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현행 양중계획 체계의 문제점과 리스크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FMEA 기법을 활용하여 도출된 리스크 요인들이 전체 프로젝트에 미치는 영향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초고층 프로젝트 양중계획 시에 최우선적으로 검토 및 관리해야 하는 핵심 리스크 요인을 도출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초고층 프로젝트 양중계획 실패 유형에 따라 전체 프로젝트의 공정, 원가, 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FMEA 기법을 이용하여 타워크레인(이하 T/C), 리프트카(이하 L/C), Concrete 타설 장비로 구분된 양중 장비별 세부 리스크 요인들의 위험도를 분석하고, 핵심 리스크 요인을 도출하여 초고층 프로젝트 양중계획의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행 양중계획 프로세스의 문제점은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현행 양중계획 프로세스의 문제점 분석을 위해 현존 최고층 건축물인 버즈칼리파 시공 현장에서 양중 및 공정관리를 담당한 전문가를 포함하여 국내 대형 건설사 4개사의 시공계획 및 양중계획 전문가 4인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 표 2와 같이 ‘건설업의 구조적 특성’,‘계획 주체의 특성’, ‘양중장비 자체의 특성’의 세 가지 관점에서 현행 양중계획 체계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양중계획은 무엇을 바탕으로 작성돼야 하는가? (2) 초기 계획 주체의 문제점 : 양중계획은 기본 계획단계부터 공정, 공법, 구조, 기타 설계조건 등 각 분야 담당자의 다각적인 검토를 바탕으로 계획되어야 한다. 그러나 국내 대부분의 건설사에서는 초기 양중계획을 양중장비업체의 단편적 기술지원과 견적파트 건축직 담당자의 개인적 경험과 주관적 견해를 바탕으로 계획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양중계획 오류로 발생 가능한 모든 리스크 요인의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국내 대부분의 건설사는 초기 양중계획을 어떻게 작성하고 있는가? (2) 초기 계획 주체의 문제점 : 양중계획은 기본 계획단계부터 공정, 공법, 구조, 기타 설계조건 등 각 분야 담당자의 다각적인 검토를 바탕으로 계획되어야 한다. 그러나 국내 대부분의 건설사에서는 초기 양중계획을 양중장비업체의 단편적 기술지원과 견적파트 건축직 담당자의 개인적 경험과 주관적 견해를 바탕으로 계획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양중계획 오류로 발생 가능한 모든 리스크 요인의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김문수 (2010). "초고층 건축공사 시공계획 수립 방안에 관한 연구". 부경대학교 대학원 건설관리공학협동과정 석사학위 논문, pp. 22-27 

  2. 김병용.김예상 (2012). "건설사업관리자 관점에서의 주요 사업비 초과 리스크 요인 분석".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3권 2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147-155 

  3. 김선국.한갑규 (2008). "건설 리프트의 적정 대수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제8권 제3호, p. 119 

  4. 김윤성 (2002). "건설업에서의 시공 FMEA 적용 방안 연구".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3권, 한국건설관리학회, pp. 271-274 

  5. 김정진 (2005). 초고층 건축공사의 양중계획 시스템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박사학위 논문, p. 11 

  6. 박은경 (2009). "초고층 건설공사의 건설용 리프트 양중계획 영향인자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석사학위 논문, pp. 33-36 

  7. 박태룡 (2011). "초고층 커튼월 공사의 양중장비선정을 위한 체크리스크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주택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77 

  8. 신윤석 (2011). "초고층 건축공사를 위한 건설 리프트 양중계획 시스템 개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제27권 11호, p. 229 

  9. 이현철.신석배.홍주현.고성석 (2009). "VE기반 공동주택 개발사업 리스크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0권 4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18-19 

  10. 조지훈.조흥구 (2009). "프로젝트 공사기간과 연계된 극 초고층 타워크레인 최적화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제9권 6호, p. 132 

  11. 홍영탁 (2004). "FMEA를 이용한 초고층 건축시공의 공기영향요인 평가".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0권 10호, pp. 183-188 

  12. C. M. Tam, Arthur W. T. Leung and D. K. Liu (2002). "Nonlinear for Predicting Hoisting Times of Tower Cranes", Journal of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January, p. 76 

  13. Robin E McDermott (2009). "The Basic of FMEA". pp. 6-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