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의사결정형" 스토리텔링 수학 모델 교과서의 개발 원리: 조건부 확률 단원을 중심으로
Principles for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xtbook for Decision-Making based on Storytelling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27 no.3, 2013년, pp.205 - 220  

주미경 (한양대학교) ,  박정숙 (태릉고등학교) ,  오혜미 (보평고등학교) ,  김영기 (양양여자중학교) ,  박윤근 (양정고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스토리텔링 수학 모델 교과서의 유형 중 의사결정형에 초점을 맞추어 의사결정과 스토리텔링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조건부 확률 단원을 중심으로 개발한 의사결정형 스토리텔링 수학교과서의 개발 원리 및 개발 사례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의사결정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종합하여 의사결정의 의미를 정립하고 의사결정에 관련된 주요 단계를 정리하여 스토리텔링이 학생의 의사결정 역량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교육적 수단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의사결정형 스토리텔링 모델 교과서의 개발 원리로 '맥락성의 원리', '과정지향성의 원리', '소통의 원리', '다양성의 원리'를 제시하였다. 내용 전개를 위한 틀에 해당하는 (1) 문제 제기 (2) 수학적 개념 탐구 (3) 문제해결 (4) 판단과 정당화 그리고 (5) 성찰의 다섯 단계로 이루어졌다. 이들 개발 원리와 의사결정 단계가 스토리텔링 모델 교과서 개발에 적용된 사례를 조건부 확률 단원을 중심으로 예시를 통해 서술하였으며 제시하면서 향후 의사결정형 스토리텔링을 적용하는 수학 교과서의 개발 가능성 및 방향에 대하여 탐색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inciples for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xtbook for decision-making based on storytelling, we conceptualized the educational meaning of decision-making and specified the principles and the methods for the textbook based on decision-making. We ill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확률의 곱셈정리’가 단순히 공식으로써 도입될 수 있는 학습상황에서 탈피하고자, ‘확률의 곱셈정리’에서는 B형 간염 접종이라는 의사결정이 필요한 소재를 이용하였다. B형 간염 예방 접종이라는 학생들이 실제적 체험이 가능한 상황을 통해 조건부 확률과 관련된 곱셈정리를 유도하고 이해할 수 있게 되고 심화 문제로 해외 이주민들의 직업군을 조건부 확률을 이용하여 탐구함으로써 현재 한국에서 소수민족의 상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전 넘버원의 마지막 과제로 갤톤 보드(Galton board)를 제시하였다.
  • 본 교과서에서는 다문화교육의 다양성과 평등성을 학생들이 수학을 배우면서 함께 배울 수 있도록 스토리의 주인공이 수학교실에서의 소수자를 대표할 수 있도록 결정하였다. 소수자 주인공의 1인칭적 화법을 통해 수학교실을 이야기하며 학생들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인종, 계층, 학업성취도 등과 같은 차별의 담론을 중심으로 한갈등과 화해의 과정을 서술하여 수학에서 다양성과 공감적 소통의 중요성을 느낄 수 있도록 본문 내용과 문제에 다양성의 원리를 통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스토리텔링이 수학에 대한 인지적·정의적 측면에 대해 갖는 교육적 효과와 더불어 학생들이 민주사회 시민으로서 갖추어야할 핵심적 역량에 해당하는 의사결정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스토리텔링 교과서개발 원리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생들이 살아가는 개인적, 사회적 맥락에서 의사결정을 필요로 하는 상황을 제시하고 수학적 개념과 원리, 방법을 탐구하여 합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며, 의사결정의 근거를 민주적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스토리텔링이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고 "의사결정형" 스토리텔링 수학 교과서의 개념과 단원개발의 사례를 확률단원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 이는 학생의 수준 및 스토리의 플롯을 고려하여 두 사건이 동시에 일어날 확률(P(A∩B))을 조건부확률로 구해질 수 있는 과정을 자연스럽게 도입하는데 목적이 있다.
  • 만일 학생들이 쉽게 접하지만 논리적인 판단을 내리지 못하는 다양한 상황에 대한 의사결정에서부터 출발하여 수학 학습 맥락이 구성된다면, 학생들에게 학습 맥락에 더욱 가깝게 느껴질 것이고 관심과 흥미를 더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개발연구는 적절한 선택의 중요성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스토리텔링 수학교과서의 하나의 유형으로 보고 그에 따른 개발원리와 사례를 개발하였다. 실제로 권오남 외(2012b)은 "의사결정형" 스토리텔링 수학 교과서에 가장 적절한 단원이 어느 단원인지 교사에게 설문하였을 때, ‘확률’이 26.
  • 뿐만 아니라, 앞서 제시한 바 있는 의사결정의 4단계인 ‘문제제기’, ‘수학적 개념탐구’, ‘문제해결’, ‘판단과 정당화’, ‘성찰’은 탐구와 성찰, 사회적 협의 과정으로서 수학의 생산 과정을 함축하는 단계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의사결정형 스토리텔링 모델 교과서 개발 원리를 탐색하고 이들 개발 원리와 의사결정단계가 스토리텔링 모델 교과서 개발에 적용된 사례를 조건부 확률 단원을 중심으로 예시를 통해 서술하였으며 제시하면서 향후 의사결정형 스토리텔링을 적용하는 수학 교과서의 개발 가능성 및 방향에 대하여 탐색할 것이다.
  • 소수자 주인공의 1인칭적 화법을 통해 수학교실을 이야기하며 학생들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인종, 계층, 학업성취도 등과 같은 차별의 담론을 중심으로 한갈등과 화해의 과정을 서술하여 수학에서 다양성과 공감적 소통의 중요성을 느낄 수 있도록 본문 내용과 문제에 다양성의 원리를 통합하였다. 이를 통해 학교와 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형태의 차별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인종, 민족, 사회적 지위, 성별, 종교, 이념에 따른 집단의 문화를 동등한 가치로 인식하며, 다른 문화에 대한 편견을 줄이고, 다양성에 대한 존중과 배려를 위한 지식, 태도, 가치 교육을 하고자 하였다(전재영, 2012).
  • 5로 나타나 의사결정형 스토리텔링 수학교과서에 가장 적절한 단원은 확률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는 확률 단원을 중심으로 의사결정형 스토리텔링 수학교과서에 대한 개발 원리를 개념화하고 본 연구의 개발 자료를 사례로 제시하면서 향후 의사결정형 스토리텔링을 적용하는 수학 교과서의 개발 가능성 및 방향에 대하여 탐색할 것이다.
  • 이 과정에서 수학 선생님의 도움을 얻기 위해 적극적으로 질문을 하고, 주위의 친구들에게 관심을 받기 시작한다. 즉, 친구들에게 소외받으며 조용히 지내고 있는 홍바오트낭을 오프라인으로 나올 수 있게 하는 소재로 수학을 이용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수학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고자 하였다. 또한 간염예방접종이라는 상황에 대하여 여러 경우를 살펴보고 조건부 확률이 실생활 속에 녹아있음을 깨닫고 판단의 근거가 됨을 처음에는 수학적인 소재로 접근하였고 그 다음은 실생활적인 소재로 접근하였이해할 수 있는 문제들을 포함시켰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anks(1990)는 의사결정 함양을 위한 수업 단계를 무엇으로 제시하였나? Kinney, M., & Weiss, S(1983)은 여러 학자들의 연구를 종합하여 의사결정 모형을 (1) 문제 인식, (2)문제 정의, (3) 대안 개발, (4) 대안 평가, (5) 계획 실행, (6) 결과 평가 등 6단계로 들었고, Banks(1990)는 의사결정 함양을 위한 수업 단계를 (1) 문제의 제기, (2) 사회탐구-필요한 지식 획득, (3) 가치탐구-관련 가치의 명료화, (4) 의사결정-대안 검토와 결과 예측, (5) 행동을 포함하는 5단계로 제시하였다. 이 중 Banks의 의사결정 모형이 의사결정에 관련된 지식에 관련된 가치를 명료화하는 과정이 수업에서 동시에 이루어져야함을 강조하면서 의사결정 모형은 점차 수정되었다.
'수학교육 선진화방안'에서 제시된 스토리텔링 수학 교과서의 유형은? 이러한 배경에서 초등학교에서부터 고등학교 과정에 이르기까지 수학과 스토리텔링 교과서 및 모델 교과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수학교육 선진화방안』에 제시된 스토리텔링 수학 교과서의 유형은 수학사 탐구형, 실생활 연계형, 혼합형으로 크게 세 가지였다. 반면 권오남 외(2012a)은 수학사 탐구형, 실생활 연계형, 학문융합형, 의사결정형, 도구활용형 모두 다섯 가지를 제시하여 스토리텔링 교과서의 유형을 다양화 하였다.
스토리텔링 교과서의 유형 중 의사결정형은 무엇인가? 반면 권오남 외(2012a)은 수학사 탐구형, 실생활 연계형, 학문융합형, 의사결정형, 도구활용형 모두 다섯 가지를 제시하여 스토리텔링 교과서의 유형을 다양화 하였다. 이 가운데 의사결정형은 ‘환경, 인권, 평화 등 학생들이 살아가는 개인적, 사회적 맥락에서 의사결정을 필요로 하는 상황을 제재로 하여 학생들이 수학적 개념과 원리, 방법 등을 선택하고 적용하여 합리적인 결정을 내리고 의사결정의 근거를 민주적으로 소통하는 경험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정의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강현석?이순옥 (2007). 내러티브를 활용한 교과서 진술 방식의 탐구. 초등교육연구, 20(3), 177-207. 

  2. 교육과학기술부 (2009). 2009 개정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3.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4. 교육과학기술부 (2012). 수학교육 선진화방안. 교육과학기술부. 

  5. 구혜영?박현숙 (2011). 수학동화를 이용한 일지쓰기 활동이 수학교과학습부진아의 수학성취도와 수학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특수아동교육연구, 13(1), 243-163. 

  6. 권오남?박규홍?김지선?박지현?김아미?주미경? ${\cdots}$ ?전철 (2012a). 고등학교 스토리텔링 모델 교과서 개발(연구 계획서 No. 060000). 한국과학창의재단. 

  7. 권오남?주미경?박규홍?오혜미?박지현?조형미?이지은?박정숙 (2012b). 고등학교 수학 교사의 스토리텔링 수학 교과서에 대한 이해.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51(3), 215-237. 

  8. 권오남?주미경?박정숙?박지현?오혜미?조형미 (2013). 스토리텔링 수학 교과서 가능한가?: 모델교과서 개발을 통한 탐색적 성찰. Manuscript in preparation. 

  9. 김상룡 (2002). 초등수학에서 동화의 활용 방안 탐색.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 6(1), 29-40. 

  10. 류수열, 주미경, 조성준, 김은애 (2011). 스토리텔링과 교과서 편찬 연구. (주)금성출판사. 

  11. 박소화 (2012). 스토리텔링 기반 교수설계 원리 및 모형 탐색.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백조현, 박수홍, 강문숙 (2010). 스토리텔링 기반 수학과 수업 설계 전략 모형 개발 -확률통계를 중심으로. 교육혁신 연구, 20(1), 113-141. 

  13. 서울대학교교육연구소(1994). 교육학 용어사전. 서울 : 하우 

  14. 신은주, 권오남(2001). 탐구지향 수학적 모델링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1(1), 157-177. 

  15. 이근호, 곽영순, 이승미, 최정순(2012). 미래 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2-4. 

  16. 전재영(2012). 학교 다문화교육의 성격 및 목표 체계화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학연구, 15(1), 131-159. 

  17. 전희옥(2007). 사회과교육과정 '의사결정' 내용요소의 적용방향. 사회과교육연구, 14(2), 139-160. 

  18. 차유철, 정상우, 이희복, 신명희 (2009). 광고와 스토리텔링. 서울: 한경사. 

  19. 최혜실 (2006).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을 말하다. 서울: 삼성경제소 

  20. 최혜실 (2011). 스토리텔링 그 매혹의 과학: 이야기의 본질과 활용. 서울: 한울아카데미. 

  21. 한승희 (1997). 내러티브 사고 양식의 교육적 의미. 교육과정연구, 15(1), 400-423. 

  22. Balakrishnan, C. (2000). Teaching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hrough stroytell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imon Fraser University. 

  23. Banks, J. A., Clegg, Jr., A. A. (1990). Teaching strategies for the social studies : Inquiry, valuing, and decision-making. New York: Longman. 

  24. Bruner, J. (1991). Acts of meaning.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25. Bruner, J. S. (1996). The culture of educa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6. Crossley, M. (2000) Introducing narrative psychology. Buckingham: OU Press 

  27. Egan, K. (1986). Teaching as story telling: An alternative approach to teaching and curriculum in the elementary school.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8. Egan, K. (2004). The cognitive tools of children's imagin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36(1), 4-10. 

  29. Egan, K. (2005). An imaginative approach to teaching. San Francisco: Jossey-Bass. 

  30. Egan, K. (2008). Cognitive tools and imagination, http://www.educ.sfu.ca/kegan/Cognitive_tools_and_imagin.html 

  31. Ellis, B. (1997). Why tell stories?. Storytelling Magazine, 12(1), 29-31. 

  32. Fivush, R. (1994). Constructing narrative, emotion, and self in parent-child conversation about the past. In U. Neisser & R. Fivush (Eds.), The Remembering Self : Construction and Accuracy in the Self-Narrativ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 Haven, K. (2000). Super Simple Storytelling: A can-do guide for every classroom. Englewood, CO: Teacher Idea Press. 

  34. Hauscarriague, A.(2008). Teaching mathematics through stories in high school and community colleg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laremont Graduate University, California. 

  35. Hurst, J. Kinney, M., & Weiss, S(1983). The Decision Marking Process. In 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dies & College and University Faculty Assemble, Theory and Research in Social studies. East Lansing: Michigan State University Press. 

  36. Mjelde, J. W., Litwenberg, K. K., & Linder, J. R. (2011). Cognitive development effects of teaching probabilistic decision making to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Natural Resources & Life Sciences Education, 40, 36-44. 

  37. OECD (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Paris, France: OECD. 

  38. Roberts, N., & Stylianides, A. J. (2012). Telling and illustrating stories of parity: a classroom-based design experiment on young children's use of narrative in mathematics. ZDM The International Journal on Mathematics Education. 45(3), 453-467. 

  39. Zazkis, R., & Liljedahl, P. (2009). Teaching mathematics as storytelling. Rotterdam: Sense Publisher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