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양뒤영벌 야외개체군에서 Real-Time PCR을 이용한 Nosema ceranae의 검출
Detection of a Microsporidium, Nosema ceranae, from Field Population of the Bumblebee, Bombus terrestris, via Quantitative Real-Time PCR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9 no.3, 2013년, pp.270 - 274  

이대원 (경성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양뒤영벌(Bombus terrestris)은 꿀벌의 봉군붕괴증후군(colony collapse disorder)에 대한 대체 화분매개곤충으로서 농업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 서양뒤영벌에서 바이러스, 세균, 응애 등의 여러 병원체와 기생체가 발견되었고, 이들은 서양뒤영벌의 수명과 생식력 등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알려져 있다. 서양뒤영벌 야외개체군에서 Nosema spp.를 탐지하기 위해, 서양뒤영벌 성충으로부터 genomic DNA를 추출하여 Nosema spp. 유전자들에 대해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수행하였다. 이들 유전자 중에서 small subunit ribosomal RNA (SSU rRNA) 유전자만이 증폭되었고,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N. ceranae로 확인된 것은 조사된 야외개체군에서 N. ceranae가 서양뒤영벌의 주된 감염체임을 보여준다. Quantitative real-time PCR (qRT-PCR)을 이용하여 SSU rRNA 유전자를 탐지하기 위해, 먼저 PCR을 통해 SSU rRNA 유전자의 2개 영역에 대한 유전자 특이적 증폭을 확인하였다. qRT-PCR을 이용하여 각 개체에서 얻은 genomic DNA의 순차적인 농도희석를 통해 $0.85ng/{\mu}l$ 이하의 genomic DNA 농도에서도 SSU rRNA 유전자가 성공적으로 증폭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 qRT-PCR를 이용한 N. ceranae 특이 유전자 증폭은 서양뒤영벌의 병원체 감염 진단 뿐만 아니라 생태계 위해성 평가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umblebee, Bombus terrestris,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as one of the alternative pollinators since the outbreak of honeybee collapse disorder. Recently, pathogens and parasites such as viruses, bacteria and mites, which affect the life span and fecundity of their host, have been discovered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화분매개충으로서 수입이 증가되고 있는 서양뒤영벌에서 Nosema 감염여부를 먼저 PCR로 확인하고,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Nosema 검출조건을 분석하여 N. ceranae 진단과 서양뒤영벌의 위해성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양뒤영벌이란? 서양뒤영벌(Bombus terrestris)은 꿀벌의 봉군붕괴증후군(colony collapse disorder)에 대한 대체 화분매개곤충으로서 농업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 서양뒤영벌에서 바이러스, 세균, 응애 등의 여러 병원체와 기생체가 발견되었고, 이들은 서양뒤영벌의 수명과 생식력 등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알려져 있다.
꿀벌의 노제마병은 어떻게 발병되는가? 꿀벌에서 발생하는 노제마병(Nosema disease)은 미포자충 (Microsporodia; Kingdom: Fungi, Phylum: Miscospridia)에 속하는 Nosema spp.가 성충의 소화기 및 부속기관을 감염시켜 발병하며, 꿀의 품질저하 주요 요인으로 양봉산업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Choi et al., 2006).
노제마병의 감염 진단 방법은 크게 어떤 방법으로 나뉩니까? Nosema 감염을 진단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고, 크게 나누어 현미경진단법과 분자진단법으로 구별할 수 있다. 노제마병의 진단은 일반적으로 현미경을 이용한 관찰을 통해 Nosema 포자를 확인한다(Che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nderson, D.L. and Giacon, H. 1992. Reduced pollen collection by honey bee (Hymenoptera: Apidae) colonies infected with Nosema apis and sacbrood virus. J. Econ. Entomol. 85, 47-51. 

  2. Bromenshenk, J.J., Henderson, C.B., Wick, C.H., Stanford, M.F., Zulich, A.W., Jabbour, R.E., Deshpande, S.V., McCubbin, P.E., Seccomb, R.A., Welch, P.M., and et al. 2010. Iridovirus and microsporidian linked to honey bee colony decline. PLoS One 5, e13181. 

  3. Cameron, S.A., Lozier, J.D., Strange, J.P., Koch, J.B., Cordes, N., Solter, L.F., and Griswold, T.L. 2011. Patterns of widespread decline in North American bumble bees. Proc. Natl. Acad. Sci. USA 108, 662-667. 

  4. Chen, Y.P., Evans, J.D., Murphy, C., Gutell, R., Zuker, M., Gundensen-Rindal, D., and Pettis, J.S. 2009. Morphological, molecular, and phylogenetic characterization of Nosema ceranae, a microsporidian parasite isolated from the European honey bee, Apis mellifera. J. Eukaryot. Microbiol. 56, 142-147. 

  5. Chen, Y., Evans, J.D., Smith, I.B., and Pettis, J.S. 2008. Nosema ceranae is a long-present and wide-spread microsporidian infection of the European honey bee (Apis mellifera) in the United States. J. Invertebr. Pathol. 97, 186-188. 

  6. Choi, J.Y., Lee, M.Y., Je, Y.H., Kim, J.G., Choi, Y.C., and Kim, K.Y. 2003. Diagnosis of Nosema disease in Honeybee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Kor. J. Apicult. 18, 131-138. 

  7. Choi, J.Y., Lee, M.-Y., Nam, S.-H., Kim, J.-G., Choi, Y.-C., Kim, W.-T., Sim, H.-S., and Kim, K.-Y. 2006.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assay for simultaneous detection of Nosema ceranae, Ascosphaea apis and Paenibacillus larvae in honeybee. Kor. J. Apicult. 21, 93-100. 

  8. Cox-Foster, D.L., Conlan, S., Holmes, E.C., Palacios, G., Evans, J.D., Moran, N.A., Quan, P.-L., Briese, T., Hornig, M., Geiser, D.M., and et al. 2007. A metagenomic survey of microbes in honey bee colony collapse disorder. Science 318, 283?287. 

  9. Fries, I., de Ruijter, A., Paxton, R.J., da Silva, A.J., Slemenda, S.B., and Pieniazek, N.J. 2001.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Nosema bombi (Microsporidia: Nosematidae) and a note on its sites of infection in Bombus terrestris (Hymenoptera: Apoidea). J. Apicult. Res. 40, 91-96. 

  10. Fries, I., Ekbohm, G., and Villumstad, E. 1984. Nosema apis, sampling techniques and honey yield. J. Apicult. Res. 23, 102-105. 

  11. Fries, I., Feng, F., da Silva, A., Slemenda, S.B., and Pieniazek, N.J. 1996. Nosema ceranae n. sp. (Microspora, Nosematida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 microsporidian parasite of the Asian honey bee Apis cerana (Hymenoptera, Apidae). Europ. J. Protistol. 32, 356-365. 

  12. Fries, I., Martin, R., Meana, A., Garcia-Palencia, P., and Higes, M. 2006. Natural infections of Nosema ceranae in European honey bees. J. Apicult. Res. 45, 230-233. 

  13. Hamiduzzaman, M., Guzman-Novoa, E., and Goodwin, P.H. 2010. A multiplex PCR assay to diagnose and quantify Nosema infections in honey bees (Apis mellifera). J. Invertebr. Pathol. 105, 151-155. 

  14. Higes, M., Martin, R., and Meana, A. 2006. Nosema ceranae, a new microsporidian parasite in honeybees in Europe. J. Invertebr. Pathol. 92, 93-95. 

  15. Higes, M., Martin-Hernandez, R., Martinez-Salvador, A., Garrido- Bailon, E., Gonzalez-Porto, A.V., Meana, A., Bernal, J.L., del Nozal, M.J., and Berna, J. 2010. A preliminary study of the epidemiological factors related to honey bee colony loss in Spain. Environ. Microbiol. Rep. 2, 243-250. 

  16. Huang, W.F., Bocquet, M., Lee, K.C., Sung, I.H., Jiang, J.H., Chen, Y.W., and Wang, C.H. 2008. The comparison of rDNA spacer regions of Nosema ceranae isolates from different hosts and locations. J. Invertebr. Pathol. 97, 9-13. 

  17. Huang, W.F., Tsai, S.J., Lo, C.F., Soichi, Y., and Wang, C.H. 2004. The novel organization and complete sequence of the ribosomal gene of Nosema bombycis. Fungal Genet. Biol. 41, 473-481. 

  18. Kim, N.-S., Lee, M.Y., Hong, I.-P., Choi, Y.S., Kim, H.K., Lee, M.Y., and Lee, K.G. 2010. Prevalence of honeybee (Apis mellifera) Nosema disease by season in Korea. Kor. J. Apicult. 25, 25-29. 

  19. Klee, J., Besana, A.M., Genersch, E., Gisder, S., Nanetti, A., Tam, D.Q., Chinh, T.X., Puerta, F., Ruz, J.M., Kryger, P., and et al. 2007. Widespread dispersal of the microsporidian Nosema ceranae, an emergent pathogen of the western honey bee, Apis mellifera. J. Invertebr. Pathol. 96, 1-10. 

  20. Ku, C.C., Wang, C.Y., Tsai, Y.C., Tzeng, C.C., and Wang, C.H. 2007. Phylogenetic analysis between two putative Nosema isolates from cruciferous lepidopteran pests in Taiwan. J. Invertebr. Pathol. 95, 71-76. 

  21. Li, J., Chen, W., Wu, J., Peng, W., An, J., Schmid-Hempel, P., and Schmid-Hempel, R. 2012. Diversity of Nosema associated with bumblebees (Bombus spp.) from China. Int. J. Parasitol. 42, 49-61. 

  22. Malone, L.A., Giacon, H.A., and Newton, M.R. 1995. Comparison of the responses of some New Zealand and Australian honey bees (Apis mellifera L.) to Nosema apis Z. Apidologie 26, 495-502. 

  23. Martin-Hernandez, R., Meana, A., Prieto, L., Salvador, A.M., Garrido-bailon, E., and Higes, M. 2007. Outcome of colonization of Apis mellifera by Nosema ceranae. Appl. Environ. Microbiol. 73, 6331-6338. 

  24. Matheson, A. 1996. World bee health update 1996. Bee World 77, 45?51. 

  25. Shykoff, J. and Schmid-Hempel, P. 1991. Incidence and effects of four parasites in natural populations of bumble bees in Switzerland. Apidologie 22, 117?125. 

  26. Singh, Y. 1975. Nosema in Indian honey bee (Apis cerana indica). Amer. Bee J. 115, 59. 

  27. Tsai, S.J., Huang, W.F., and Wang, C.H. 2005. Complete sequence and gene organization of Nosema spodopterae rRNA gene. J. Eukaryot. Microbiol. 52, 52-54. 

  28. Yoo, M.S., Kim, I.W., Kang, M.H., Han, S.H., and Yoon, B.S. 2008. Development of real-time PCR method for the detection of Nosema. Kor. J. Apicult. 23, 241-249. 

  29. Zander, E. 1909. Tierische parasite als krankenheitserreger bei der biene. Munchener Bienezeitung 31, 196?2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