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삼 근계로부터 다당 생성세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Exopolysaccharide Producing Bacteria in a Ginseng Root System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9 no.3, 2013년, pp.297 - 300  

조건영 (목원대학교 미생물나노소재학과) ,  전인화 (목원대학교 미생물나노소재학과) ,  한송이 (목원대학교 미생물나노소재학과) ,  황경숙 (목원대학교 미생물나노소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삼근계(근권, 근면, 근내부) 내 EPS 생성세균의 밀도를 측정한 결과, 근권토양 내에는 $2.4{\times}10^6$ CFU/g, 근면에는 $9.1{\times}10^6$ CFU/g, 그리고 근내부에는 $2.0{\times}10^4$ CFU/g로 확인되어 다수의 EPS 생성세균이 분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인삼 근계로부터 EPS 생성 우수 균주 24균주를 순수분리하고 계통학적 특성을 확인한 결과, 근권(RS)으로부터 분리된 EPS 생성세균은 Arthrobacter 속 6균주, 그리고 Rhizobium 속 1균주로 나타났다. 근면(RP)으로 부터 분리된 EPS 생성세균은 Arthrobacter 속 6균주, Rhodococcus 속 1균주, Pseudomonas 속 1균주로 나타났다. 근내부(IR)에서 분리된 EPS 생성세균은 Rhizobium 속 6균주, Bacillus 속 1균주 그리고 Rhodococcus 속 1균주, Pseudomonas 속 1균주로 나타났다. 근권과 근면에서 분리된 EPS 세균 중 Arthrobacter 속에 속하는 균주는 가장 특징적인 세균으로 밝혀졌으며, Rhizobium 속은 근내부에서 분리된 가장 특징적인 EPS 생성세균으로 나타났다. EPS 생성 우수균주 Rhizobium sp. 1NP2 (KACC 17637)는 10 g/L 그리고 Arthrobacter sp. 5MP1 (KACC 17636)는 4.9 g/L의 다당을 생성하였으며, 당단백질의 구성당 성분을 확인한 결과, galactose, glucose, mannose를 구성하고 있었으며, glucosamine의 아미노당이 나타났다. 특히, glucose는 72.7-84.9%로 주요 구성당임이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PS producing bacteria were enumerated in ginseng root system (rhizosphere soil, rhizoplane, inside of root). EPS producing bacterial density of rhizosphere soil, rhizoplane and inside of root were distributed $9.0{\times}10^6$ CFU/g, $7.0{\times}10^6$ CFU/g, and $1.4{\ti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 2010). 본 연구에서는 인삼 근계로부터 다당류를 생성하는 미생물 유전자원의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EPS 생성 우수 균주를 분리하고 이들 균주가 생산하는 구성당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생물의 세포 외 다당류가 다양한 분야의 산업 소재로 이용되는 이유는? 미생물이 생산하는 다당류는 기능에 따라 탄소 및 에너지원을 세포 내에 저장하는 기능을 가진 세포 내 다당류(intracellular polysaccharide)와 세포구조를 이루는 구조다당류(structural polysaccharide) 그리고 세포 외 다당류(extracellular polysaccharide, EPS)로 구분될 수 있다(Magaritis and Pace, 1985). 이들 다당류중 EPS는 식물 다당류에 비해 물성이 다양하고 독특하며, 부가가치가 매우 높아 안정제, 유화제, 현탁제, 점증제, 겔형성제, 교결제, 응집제, 피막제, 수분흡수제, 접착제 등 여러 용도로 식품, 의료제약, 향장, 농업, 화학에 이르기까지 매우 광범위한 산업소재로 높은 상업적 가치를 지닌다(Kitazawa et al., 1998; Ozdemir et al.
미생물이 생산하는 다당류를 기능별로 어떻게 분류되는가? 미생물이 생산하는 다당류는 기능에 따라 탄소 및 에너지원을 세포 내에 저장하는 기능을 가진 세포 내 다당류(intracellular polysaccharide)와 세포구조를 이루는 구조다당류(structural polysaccharide) 그리고 세포 외 다당류(extracellular polysaccharide, EPS)로 구분될 수 있다(Magaritis and Pace, 1985). 이들 다당류중 EPS는 식물 다당류에 비해 물성이 다양하고 독특하며, 부가가치가 매우 높아 안정제, 유화제, 현탁제, 점증제, 겔형성제, 교결제, 응집제, 피막제, 수분흡수제, 접착제 등 여러 용도로 식품, 의료제약, 향장, 농업, 화학에 이르기까지 매우 광범위한 산업소재로 높은 상업적 가치를 지닌다(Kitazawa et al.
인삼의 근 내부에서 분리된 EPS 생성 균은 어느 속에 속합니까? 근면(RP)으로부터 분리된 EPS 생성세균은 Arthrobacter 속 6균주, Rhodococcus 속 1균주, Pseudomonas 속 1균주로 나타났다. 근내부(IR)에서 분리된 EPS 생성세균은 Rhizobium 속 6균주, Bacillus 속 1균주 그리고 Rhodococcus 속 1균주, Pseudomonas 속 1균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rena, A., Maugeri, T.L., Pavone, B., Iannello, D., Gugliandolo, C., and Bisignano, G. 2006. Antiviral and immunoregulatory effect of a novel exopolysaccharide from a marine thermotolerant Bacillus licheniformis. Int. Immunopharm. 6, 8-13. 

  2. Goubet, F., Jackson, P., Deery, M.J., and Dupree, P. 2002. Polysaccharide analysis using carbohydrate gel electrophoresis: a method to study plant cell wall polysaccharide and polysaccharide hydrolyses. Anal. Biochem. 300, 54-68. 

  3. Kacia, Y., Heyraudb, A., Barakatc, M., and HeulinKaci, T. 2005.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 EPS-producing Rhizobium strain from arid soil (Algeria): characterization of its EPS and the effect of inoculation on wheat rhizosphere soil structure. Res. Microbiol. 156, 522-531. 

  4. Kitazawa, H., Harata, T., Uemura, J., Saito, T., Kaneko, T., and Itoh, T. 1998. Phosphate group requirement for mitogenic activation of lymphocytes by an extracellular phosphopolysaccharide from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Int. J. Food Microbiol.40, 169-175. 

  5. Lee, H.R., Kim, K.K., and Whang, K.S. 2010. Isolation and phylogenetic characteristics of exopolysaccharide producing bacteria in a rhizosphere soil of Medicinal Herbs. Kor. J. Microbiol. 46, 278-285. 

  6. Magaritis, A. and Pace, G.W. 1985. Microbial polysaccharides. In Murray, M.Y. et al. (eds.), Comprehensive biotechnology, pp.1006-1044, Pergamon Press, Oxford. 

  7. Ozdemir, G., Ceyhan, N., and Manav, E. 2005. Utilization of an exopolysaccharide produced by Chryseomonas luteola TEM05 in alginate beads for adsorption of cadmium and cobalt ions. Biores. Technol. 96, 1677-1682. 

  8. Park, K.S., Klopper, J.W., and Ryu, C.M. 2008. Rhizobacterial exopolysaccharide elicit induced resistance on cucumber. J. Microbiol. Biotechnol. 18, 1095-1100. 

  9. Park, Y.I. 2000. Structures and functions of microbial extracellular or wall polysaccharides in the physiology of producer organisms.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26, 18?30. 

  10. Saitou, N. and Nei, N. 1987. The neighbor-joining method: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s. Mol. Biol. Evol. 4, 406-425. 

  11. Santaella, C., Schue, M., Berge, O., Heulin, T., and Achouak, W. 2008. The xopolysaccharide of Rhizobium sp. YAS34 is not necessary for biofilm formation on Arabidopsis thaliana and Brassica napus roots but contributes to root colonization. Environ. Microbiol. 10, 2150-2163. 

  12. Scott, J.E. and Glick, D. 1960. Methods of biochemical Analysis, Vol. 8, pp. 146-155, International Pub., New York, N.Y., USA. 

  13. Sutherland, I.W. 1998. Novel and established applications of microbial polysaccharides. Tibtech. 16, 41?46. 

  14. Whang, K.S., Choi, S.H., and Han, S.I. 2007.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igh viscosity polysaccharide producing endophytic bacteria from Pueraria root. Kor. J. Microbiol. 43, 341-345. 

  15. Welman, A.D. and Maddox, I.S. 2003. Exopolysaccharides from lactic acid bacteria: perspectives and challenges. Trends Biotechnol. 21, 269?2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