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삼 근권 토양에서 분리한 Stenotrophomonas sp. 4KR4의 Ginsenoside Rb1 전환능 및 분류학적 특성
Conversion of Ginsenoside Rb1 and Taxonomical Characterization of Stenotrophomonas sp. 4KR4 from Ginseng Rhizosphere Soil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9 no.4, 2013년, pp.369 - 376  

전인화 (목원대학교 미생물나노소재학과) ,  조건영 (목원대학교 미생물나노소재학과) ,  한송이 (목원대학교 미생물나노소재학과) ,  유선균 (중부대학교 식품생명과학과) ,  황경숙 (목원대학교 미생물나노소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삼 근계(근권, 근면, 근내부)로부터 ginsenoside Rb1 전환효소인 ${\beta}$-glucosidase 생산 균주(BGB)를 분리하였다. 인삼 근계부터 분리된 BGB 28균주의 계통학적 특성을 확인한 결과, 근권에서 Stenotrophomonas 속(3균주), Pseudoxanthomonas 속(1균주), Bacillus 속(1균주)로 확인되었다. 근면로부터 분리된 BGB는 Stenotrophomonas 속(16균주), Streptomyces 속(1균주), Microbacterium 속(1균주)이며, 근내부는 Stenotrophomonas 속(3균주), Lysobacter 속(2균주)를 포함하는 다양한 계통군이 확인 되었다. 특히 인삼 근계로부터 분리된 BGB 균주의 90%가 Stenotrophomonas 계통군에 속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근권으로부터 분리된 4KR4 균주는 108.17 unit의 ${\beta}$-glucosidase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ginsenoside Rb1을 Rd, Rg3 그리고 minor ginsenoside Rh2로 전환되었다. 4KR4 균주는 Stenotrophomonas rhizophila e-$p10^T$ (AJ293463)와 99.65%의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분리된 ginsenoside 전환세균 4KR4 균주의 계통학적 위치와 표현형적 특징, 균체 지방산조성, 생리 생화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Stenotrophomonas sp. 4KR4 (=KACC 17635) 균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solated the ${\beta}$-glucosidase producing bacteria (BGB) in ginseng root system (rhizosphere soil, rhizoplane, inside of root).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28 BGB based on the 16S rRNA gene sequences, BGB from rhizosphere soil belong to genus Stenotrophomonas (3 strains), Bacillu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인삼 근권토양으로부터 β-glucosidase 생성 균주를 탐색하고 ginsenoside Rb1을 저분자의 ginsenoside 형태로 전환하는 균주를 선발하여 분류학적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삼 사포닌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 1994), AIDS 바이러스 증식 억제효과 및 단백질 합성능력의 촉진 활성(Lee and Do, 2005) 등의 우수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현재, 약 50종의 인삼 사포닌이 알려져 있으며, 전체 인삼사포닌의 약 80%를 차지하는 major ginsenoside인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s Rb1, Rb2, Rc, Re 그리고 Rg1)와 major ginsenoside의 가수분해를 통해 얻어지는 ginsenosides Rg3, Rd, Rh2, compound K 등의 minor ginsenosides로 구분할 수 있다(Kim et al., 1987).
생체 내 흡수율을 높이기 위한 진세노사이드의 전환을 위해 화학적, 물리적 처리를 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은? , 1983)를 이용하여 대량으로 존재 하는 고분자 사포닌을 저분자화 하는 방법이 연구되어왔다. 하지만 화학적, 물리적 처리의 경우 기질 특이적 전환이 용이하지 않아 약리성분의 변성을 초래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최근에는 미생물 발효 및 효소 반응과 같은 생물학적 전환을 통한 사포닌 대사체 생산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인삼 사포닌 진세노사이드의 생리 활성은? 인삼의 주요 약리성분인 인삼 사포닌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는 면역기능 조절작용(Singh et al., 1984), 뇌 기능에 대한 작용(Saito and Nishiyama, 1988), 항암작용(Kikuchi et al., 1991), 중추신경계에 대한 작용(Benishin, 1992), 항산화 작용(Mei et al., 1994), AIDS 바이러스 증식 억제효과 및 단백질 합성능력의 촉진 활성(Lee and Do, 2005) 등의 우수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현재, 약 50종의 인삼 사포닌이 알려져 있으며, 전체 인삼사포닌의 약 80%를 차지하는 major ginsenoside인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s Rb1, Rb2, Rc, Re 그리고 Rg1)와 major ginsenoside의 가수분해를 통해 얻어지는 ginsenosides Rg3, Rd, Rh2, compound K 등의 minor ginsenosides로 구분할 수 있다(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Benishin, C.G. 1992. Actions of ginsenoside Rb1 on choline uptake in central cholinergic nerve endings. Neurochem. Int. 21, 1-5. 

  2. Bernardet, J.F., Nakagawa, Y., and Holmes, B. 2002. Proposed minimal standards for describing new taxa of the family Flavobacteriaceae and emended description of the family. Int. J. Syst. Evol. Microbiol. 52, 1049-1070. 

  3. Chen, Y.J., Nose, M., and Ogihara, Y. 1987. Alkaline cleavage of ginsenoside. Chem. Pharm. Bull. 35, 1653-1655 

  4. Cheng, L.Q., Na, J.R., Bang, M.H., Kim, M.K., and Yang, D.C. 2008. Conversion of major ginsenoside Rb1 to 20(S)-ginsenoside Rg3 by Microbacterium sp.GS514. Phytochemistry 69, 218-224 

  5. Cheng, L.Q. 2008.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eta$ -glucosidase active Microbacterium esteraromaticum GS514 and production of 20(S)-ginsenoside Rg3.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6. Choi, M.J. 2010. Biotransformation of ginsenosides by Leifsonia sp. GAL45 isolated from ginseng field in Anseong,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7. Chi, H., Lee, B.H., You, H.J., Park, M.S., and Ji, G.E. 2006. Differential transformation of ginseoside from Panax ginseng by lactic acid bacteria. J. Microbiol. Biotechnol. 16, 1629-1633. 

  8. Dong, A.M., Guo, Y.H., Zheng, J., and Guo, D. 2003 Microbial transformation of ginsenoside Rb1 by Rhizopus stolonifer and Curvularia lunata. Biotechnol. Lett. 25, 339-344. 

  9. Finkmann, W., Alterdorf, K., Stackebrandt, E., and Lipski, A. 2000. Characterization of $N_2O$ -producing Xanthomonas-like isolates from biofilters as Stenotrophomonas nitritireducens sp. nov., Luteimonas mephitis gen. nov., sp. nov. and Pseudoxanthomonas broegbernensis gen. nov., sp. nov. Int. J. Syst. Evol. Microbiol. 50, 273-282. 

  10. Hadden, J.F. and Black, L.L. 1986. The status of ripe rot in Louisiana peppers. National Pepper Conferences. 14. 

  11. Han, B.H., Park, M.H., Han, N., Woo, K., Sankawa, U., Yanara, S., and Tanaka, O. 1982. Degradation of ginseng saponins under mild acidic conditions. Planta Med. 44, 146-149. 

  12. Jang, M.H. and Kim, M.D. 2010. Exploration of $\beta$ -glucosidase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Food Engineer. Prog. 14, 243-248. 

  13. Kikuchi, Y., Sasa, H., Kita, T., Hirata, J., and Tode, T. 1991. Inhibition of human ovarian cancer cell proliferation in vitro by ginsenoside-Rh2 and adjuvant effects of cisplatin in vivo. Anticancer Drugs (England) 2, 63-67. 

  14. Kim, D.J., Seong, G.S., Kim, D.W., Go, S.L., and Jang, J.C. 2004. Antioxidative effects of red ginseng saponins on paraquat-induced oxidative stress. Korean J. Ginseng Res. 28, 5-10. 

  15. Kim, D.H. 2012.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ginsenoside converting bacteria and analysis of saponin from produc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16. Kim, M.K., Lee, J.W., Lee, K.Y., and Yang, D.C. 2005. Microbial conversion of major ginsenoside Rb1 to pharm aceutically activeminor ginsenoside Rd. J. Microbiol. 43, 456-462. 

  17. Kim, M.W., Ko, S.R., Choi, K.J., and Kim, S.C. 1987. Distribution of saponin in various sections of Panax ginseng root and changes of its contents according to root age. Korean J. Ginseng Sci. 11, 10-16. 

  18. Kim, N.D., Kim, E.M., Kang, K.W., Cho, M.K., Choi, S.Y., and Kim, S.G. 2003. Ginsenoside Rg3 inhibits phenylephrine-induced vascular contraction through induction of nitric oxide synthase. Br. J. Pharmacol. 140, 661-670. 

  19. Kim, S.D. and Seu, J.H. 1982. Conversion of ginseng saponin with the enzyme produced by Rhizopus sp. Kor. J. Appl. Microbiol. Bioeng. 10, 267-273, 

  20. Kim, Y.C., Kim, S.R., Markelonis, G.J., and Oh, T.H. 1998. Ginsenoside Rb1 and Rg3 attenuate glutamate-induced neurotoxicity in primary cultures of rat cortical cells. Korean J. Ginseng Sci. 9, 47-56. 

  21. Kim, H.G., Kim, K.Y., and Cha, C.J. 2007. Screening for ginsengfermenting microorganisms capable of biotransforming ginsenosides. Kor. J. Microbiology. 43, 142-146. 

  22. Kikuchi, Y., Sasa, H., Kita, T., Hirata, J., Tode, T., and Nagata, I. 1991. Inhibition of human ovarian cancer cell proliferation in vitro by ginsenoside Rh2 and adjuvant effects to cisplatin in vivo. Anticancer Drugs (England). 2, 63-67. 

  23. Kitagawa, I., Yoshikawa, M., Yoshihara, M., Hayashi, T., and Taniuama, T. 1983. Chemical studies on crude drug procession. I. On the constituents of ginseng radix rudura (I). Yakugaku Zasshi. 103, 612-622. 

  24. Lee, D.S., Kim, Y.S., Ko, C.N., Cho, H.K., Bae, H.S. Lee, K.S., Kim, J.J., Park, E.K., and Kim, D.H. 2002. Fecal metabolic activities of herbal components to bioactive compounds. Arch. Pharm. Res. 25, 165-169. 

  25. Lee, J.Y. and Hwang, B.K. 2002. Diversity of antifungal actinomycetes in various vegetative soils of Korea. Can. J. Microbiol. 48, 407-417. 

  26. Lee, J.W. and Do, J.H. 2005 Market trend of health functional food and the prospect of ginseng market. J. Ginseng Res. 29, 206-214. 

  27. Lee, K.Y., Park, J.A., Chung, E., Lee, H.H., Kim, S.I., and Lee, S.K. 1996. Ginsenoside-Rh2 blocks the cell cycle of SK-HEP-1 cells at the G1/S boundary by selectively inducing the protein expression of p27Kip1. Cancer Lett. 110, 193-200. 

  28. Lee, S.R., Park, H.J., Choi, K.J., and Kim, N.D. 1997. Inhibitory effect of ginsenoside Rg3 on platelet aggregation and its mechanism of action. Kor. J. Ginseng Sci. 21, 132-140. 

  29. Mei, B., Wang, Y.E., Wu, J.X., and Chen, W.Z. 1994. Protective effect of ginsenoside on oxygen free radical induced damages of cultured vascular endothelial cells in vitro. Yao. Hsueh Hsuuh Pao. 29, 801-808. 

  30. Na, J.R., Kim, Y.J., Kim, S.H., Kim, H.B., Snim, J.S., Kim, S.Y., and Yang, D.C. 2009. Conversion of ginsenoside Rb1 by ginseng soil bacterium Cellulosimicrobium sp. Gsoil 235 according to various culture broths. Kor. J. Microbiol. Biotechnol. 37, 55-61. 

  31. Park, J.A., Lee, K.Y., Oh, O.I., and Kim, S.I. 1997. Activation of caspase-3 protease via a Bcl-2-insensitive pathway during the process of ginsenoside Rh2-induced apoptosis. Cancer Lett. 121, 73-81. 

  32. Saito, H. and Nishiyama, N. 1988. Effect of ginseng and its saponins on experimental amnesis in mice and on cell cultures of neurons, pp. 92-98. Proc. 5th Int'l. Ginseng Symp. Seoul, Korea. 

  33. Saitou, N. and Nei, N. 1987. The neighbor-joining method: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s. Mol. Biol. Evol. 4, 406-425. 

  34. Shibata, S., Tanaka, T., Ando, T., Sado, M., Tsushima, S., and Ohsawa, T. 1966. Chemical studies on oriental plant drugs (XIV). Protopanaxadial, a genuine sapogenin of ginseng saponins. Chem. Pharm. Bull. 14, 595-600. 

  35. Singh, V.K., Agarwal, S.S., and Gupta, B.M. 1984.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Panax ginseng extract, pp. 225-232. Proc. 4th Int'l. Ginseng Symp. Seoul, Korea. 

  36. Wang, L., An, D.S., Kim, S.G., Jin, F.X., Kim, S.C., Lee, S.T., and Im, W.T. 2012. Ramilbacter ginsenosidimutans sp. nov., with ginsenoside converting activity. J. Microbial. Biotechnol. 22, 311-315. 

  37. Wolf, A., Fritze, A., Hagemann, M., and Berg, G. 2002. Stenotrophomonas rhizophila sp. nov., a novel plant-associated bacterium with antifungal properties. Int. J. Syst. Evol. Microbiol. 52, 1937-1944. 

  38. Yeom, J.H. 2010. Conversion of ginsenoside $Rb_1$ by bacterium isolated from ginseng cultivation soil. Unpublished master's thesis, Joongbu University. 

  39. Yi, H., Srinivasan, S., and Kim, M.K. 2010. Stenotrophomonas panacihumi sp. nov., isolated from soil of a ginseng field. J. Microbiol. 48, 30-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