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 지역 초등학생들의 수산물 섭취 경험 및 기호도 조사
A Study on the Eating Experience and Preferences for Seafood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A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6 no.3, 2013년, pp.492 - 501  

오희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  정혜영 (가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ating experience and preferences for seafood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A survey was carried out on 383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for the eating experience of seafood, the students were aware of and had eaten 'Scomber japonic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에서 수산물의 섭취 기회를 증가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수산물 식품에 대한 섭취 경험과 가정에서의 수산물에 대한 인식 및 기호도에 대하여 조사를 하여, 초등학생들 수산물의 섭취 촉진을 위한 영양교육의 연구에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산물의 기호도 조사 연구에서 초등학생들은 어떠한 것으로 보이는가? 수산물의 기호도 조사 연구(Lee & Kim 2000; Kim & Lyu 2002; Cho 등 2003; Lee MH 2007; Oh SG 2010)에서 학생들의 수산물에 대한 기호도는 낮게 나타났고, 특히 초등학생들의 경우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음식 중 생선반찬이 다른 음식보다 가장 많이 남기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산물의 기호도가 다른 식품의 기호도보다 낮은 것은 다양한 수산물의 섭취 경험 부족과 맛이 없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어패류는 어떤 영양소가 많이 들어있는가? 수산물 중 어패류는 단백질이나 지방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각종 무기질, 비타민 등 필수 영양소 공급원이며, 해조류는 식이섬유와 무기질이 매우 풍부하여 체중 조절에 좋은 자연식품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Song JC 1994; Lee GY 2003). 또한 수산물은 그 종류가 다양한 만큼 여러 가지 기능성 성분도 많이 가지고 있어 생리작용도 다양하고 각종 질병 예방과 치료 효과도 우수하다(Lee YC 1994; Choi JH 1999).
초등학생들의 수산물의 섭취 경험 조사는 어떤 결과를 보이는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수산물의 섭취 경험을 학년별로 조사한 결과는 Table 2에 나타내었다. 수산물 중 어류의 섭취 경험에서 ‘먹어 보았고 알고 있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고등어 96.3%, 꽁치 83.6%, 갈치 87.2%, 참치 85.4%, 동태 78.1% 등에서 높게 나타났고, ‘들어는 보았으나 먹어본 적은 없다’ 라고 응답한 비율은 참가자미 51.7%, 다랑어 47.5%, 청어 46.2%, 병어 41.5% 등에서 높게 나타났다. ‘들어본 적도 없다’의 경우에는 임연수어 57.4%, 방어 39.7% 및 양미리 37.6% 등에서 높은 응답률을 나타내었다. 전남지역 초등학생의 수산물의 인지도 조사(Kim HK 2011)에서도 ‘들어보았고 먹어도 보았음’이라고 응답한 경우, 어류 중 고등어(99.2%)에서 가장 높은 인지도를 보여 주었고, 그 다음 갈치(98.3%)로 조사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o MY, Lee MJ, Lee YM. 2003. A study on utilization and consumption promotion of seafood in elementary school lunch program. Korean J Food Culture 18:139-150 

  2. Cho MY. 2000. Study on seafood using frequency and consumption promotion in elementary school lunch program. MS Thesis, Yonsei Uni. Seoul. Korea 

  3. Choi JH. 1999. Reason of Seafood Consumption. pp.85-151. Kyomunsa. Seoul Korea 

  4. Han BH. 1997. Processing of seafood. Korean J Food Cookery Sci 13:519-529 

  5. Hong TH, Kim GT, Choi OS, Kim DH, Jung YS, Kim SH, Cho HH. 2004. Food Material. pp.273. Gigoomunhwasa. Seoul Korea 

  6. Joo R. 2011. A study on the awareness, preference and nutrition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seafood in Inchon. MS Thesis, Inha Uni. Inchon. Korea 

  7. Kim KH. 2011.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marine products in elementary students in the Jeonnam area. MS Thesis, Chonnam Uni. Gwangju. Korea 

  8. Kim SH, Lyu ES. 2002.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s food waste reduction by the elementary school pupi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1155-1162 

  9. Kim SK. 2003. Development of novel bioactive substances from fishery byproducts. Food Industry Nutr 8:1-8 

  10. Kim YM. 1997.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processed seafood. Korean J Food Cookery Sci 13:530-544 

  11. Lee GY, Kim SY. 2003. Consumption analysis of seafood. Economics of Rural Community 26:21-34 

  12. Lee JS, Kim GS. 2000. Factors on the seafood preference and eating frequency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1162-1168 

  13. Lee MH. 2007. High school student's recognition and taste of seafood in Daegu Gyeongbuk area. MS Thesis, Kyungpook Uni. Daegu. Korea 

  14. Lee SY. 2008. A study on the seafood prefer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Mokpo, Jeonnam. MS Thesis, Mokpo Uni. Mokpo. Korea 

  15. Lee YC. 1994. Nutritional and biochemical roles of $\omega$ -3 series fatty acids. Korean J Nutr 27:600-615 

  16. Lye ES, Lee HK, Shin ES. 2009.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seafood and its use in foodservice in Busan. Korean J Food Cookery Sci 25:189-198 

  17. Oh JY. 2007. A study on preference, intake frequency, and nutritional knowledge of marine products with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Busan. MS Thesis, Kosin Uni. Busan. Korea 

  18. Oh SG. 2010. A study on intake frequency and preference of marine products of high school students in Osan. MS Thesis, Chonnam Uni. Gwangju. Korea 

  19. Ryu HS. 1997. Characteristics of seafood nutrition. Korean J Food Cookery Sci 13:217-220 

  20. Song JC. 1994. Food Material. pp.362-387. Kyomunsa. Seoul Korea 

  21. Storelli MM. 2009. Intake of essential minerals and metals via consumption of seafood from the Mediterranean Sea. J Food Prot 72:1116-11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