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 및 북한이탈주민 가정 자녀의 정신건강
Children's Mental Health in Multicultural Family and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원문보기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24 no.3, 2013년, pp.124 - 131  

이소희 (국립중앙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 ,  이선혜 (이화여자대학교 뇌융합과학연구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uth Korea is chang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due to an increase in international marriage, foreign workers and transcultural immigration. In addition, the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s entering South Korea has increased and now, there are approximately 25000. Therefore, this review ha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탈북민 가정 및 자녀의 현황 파악 및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을 갖는 것이 그들의 남한 사회에 안정적 정착과 사회 통합 및 향후 통일 시대 대비에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따라서, 여기서는 다문화 및 탈북민 가정 자녀의 실태와 정신건강에 초점을 맞추어 그동안의 관련 문헌을 검색하고 정리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0년 현재 국내 전체 결혼대비 국제결혼 비율은? 그 배경에는 국제결혼(international marriage)의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는데, 1990년대 이후 세계화에 따른 시장개방, 상대적으로 높은 소득수준 및 노동시장환경의 변화, 그리고 혼인시장의 불균형과 출산율 저하 및 농촌지역의 여성인구수 감소로 인해 국제 결혼이 가파르게 증가 추세였고, 국제결혼중개업체의 난립에서 오는 부작용을 통제하기 위하여, 비록, 2005년 이후 정부가 결혼 중개 업체의 관리를 강화하면서, 증가율이 감소하기 시작하였지만,2) 현재 국내 전체 결혼대비 국제결혼 비율은 약 11% 수준(2010년)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다문화 및 탈북 가정 자녀들은 무엇이라고 불리는가? 국내 다문화 및 탈북 가정 자녀들은 ‘이주배경청소년’이라고도 불리우는데, 크게 본인 혹은 부모의 이주, 국제 혹은 탈북 이주인지에 따라 다섯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그 중, 다문화 가정 자녀에는 국제결혼 부부의 자녀, 중도 입국 청소년, 외국인 근로자(foreign workers) 자녀가 포함되고, 탈북 가정 자녀는 탈북 청소년과 탈북민의 제3국 출생 자녀로 나눌 수 있다.
국내 다문화 및 탈북 가정 자녀들 혹은 부모의 이주, 국제 혹은 탈북 이주인지에 따라 어떤 유형으로 구분되는가? 국내 다문화 및 탈북 가정 자녀들은 ‘이주배경청소년’이라고도 불리우는데, 크게 본인 혹은 부모의 이주, 국제 혹은 탈북 이주인지에 따라 다섯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그 중, 다문화 가정 자녀에는 국제결혼 부부의 자녀, 중도 입국 청소년, 외국인 근로자(foreign workers) 자녀가 포함되고, 탈북 가정 자녀는 탈북 청소년과 탈북민의 제3국 출생 자녀로 나눌 수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inistry of Education. Advanced Plan for the Education of the Multicultural Students. Seoul: Ministry of Education;2012. 

  2. Kim YK. Multicultural aspects of family change and policy implications. Health Welf Policy Forum 2011;175:45-62. 

  3. Kim SK, Kim YK, Cho AJ, Kim HR, Lee HK, Seol DH, et al. 2009 Study on the Multicultural Family in all over the country.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2009. 

  4. Chung KS, Han JE.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s' adjustment and mental health. Korean J Pop Stud 2009;32:87-114. 

  5. Kim HK. A subjectivity study of types for stress in immigrant wom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ho married to Korean men. Women Stud 2010;78:119-158. 

  6. Shin HO, Yun SS, Lee SK, Kim DH, Lee HK, Oh SY. Classification and Policy subjects among Adolescents with the Immigration Background. Seoul: Gender Equality and Family Committee;2012. 

  7. North Korean Refugees Foundation. An Elementary Analysis for the Present Living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Seoul: North Korean Refugees Foundation;2011. 

  8. North Korean Refugees Foundation. 2012 Survey for the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Seoul: North Korean Refugees Foundation; 2012. 

  9. Sung MY, Kim JH, Jeon SK, Jung HS, Kwon YJ. A study on attachment representations, attachment behaviors and characteristics of mother-child interaction in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J Child Educ 2010;19:23-29. 

  10. Lim JW. Development and language problems in children of immigrant marriages. Korean J Pediatr 2009;52:417-421. 

  11. Lee SM, Lee KA.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and efficacy in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y on their parenting behavior. J Korea Early Child Educ 2010;17:71-105. 

  12. Jeon KT, Jung HS, Kim ES, Kim YR, Joo JS, Kim HY, et al. 2012 Study on the Multicultural Family in all over the country.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2012. 

  13. Jun JI, Shin HS. The effects of the life environm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on their school maladjustment. J Soc Welfare Develop 2008;14:251-283. 

  14. An HJ. A study on school adjustment and mental health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a Rural City.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08;17:383-391. 

  15. Lee SH, Park YC, Hwang J, Im JJ, Ahn DH. Mental health of intermarried immigrant women and their children in South Korea. J Immigr Minor Health 2012. DOI 10.1007/s10903-012-9747-7. 

  16. Yang KM, Kim SK, Kim YY. Longitudinal study for the follow-up of the developmental process among children &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III. Seoul: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12. 

  17. Yang MJ, Gao HY, Kim YH, Lee DH. A qualitative research on immigration experiences and acculturation proces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s. Korean in J Youth Couns 2012;20:87-114. 

  18. Park HJ. Adjustment of children of migrant workers in the process of family separation and reunion. Fam Cult 2008;20:99-129. 

  19. Lee I, Park H, Kim Y, Park H.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status of North Korean defector children.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2011;17:256-263. 

  20. Kim HR. Overview of the nutritional status and policy directions of supporting children’s nutrition in North Korea. Health Welf Policy Forum2007;132:24-34. 

  21. Yang KM, Hwang ST. An initial study into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in the first stages of their transition to life in South Korea. Stud Korean Youth 2008;19:333- 358. 

  22. Lee YM, Shin OJ, Lim MH. The psychological problems of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living in South Korea. Psychiatry Investig 2012;9:217-222. 

  23. Choi SK, Min SJ, Cho MS, Joung H, Park SM.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North Korean young defectors in South Korea and their association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Yonsei Med J 2011; 52:502-509. 

  24. Baek H, Kil E, Yoon In, Lee Y. A study on psychologic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in South Korea. Stud Korean Youth 2007;18:183-211. 

  25. Huang YC, Mathers NJ. Postnatal depression and the experience of South Asian marriage migrant women in Taiwan: survey and semistructured interview study. Int J Nurs Stud 2008;45:924-931. 

  26. Chou WJ. Maternal mental health and child development in Asian immigrant mothers in Taiwan. J Formos Med Assoc 2010;109: 293-302. 

  27. Munroe-Blum H, Boyle MH, Offord DR, Kates N. Immigrant children: psychiatric disorder, school performance, and service utilization. Am J Orthopsychiatry 1989;59:510-519. 

  28. Kirmayer LJ, Narasiah L, Munoz M, Rashid M, Ryder AG, Guzder J, et al. Common mental health problems in immigrants and refugees: general approach in primary care. CMAJ 2011;183:E959-E967. 

  29. McKelvey RS, Baldassar LV, Sang DL, Roberts L. Vietnamese parental perceptions of child and adolescent mental illnes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9;38:1302-1309. 

  30. Stevens GW, Vollebergh WA. Mental health in migrant children. J Child Psychol Psychiatry 2008;49:276-2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