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북한가정, 다문화가정과 한국가정 청소년의 건강행태
Health behavior of North Korean, multicultural and Korean family adolescents in Korea: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1-2013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5 no.1, 2015년, pp.22 - 30  

김효주 (조선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  한미아 (조선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  박종 (조선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  류소연 (조선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  최성우 (조선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ealth behaviors of North Korean, multicultural, and Korean family adolescents in Korea.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from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1-2013) dataset. We identified 1,954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and twice as...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을 북한가정과 그 외 다문화가정 청소년으로 나누어 다문화가정 현황과 한국가정 현황을 파악하고,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건강행태를 파악하여 한국가정 청소년과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2011-2013년 제7-9차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다문화가정 청소년과 한국가정 청소년의 건강행태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북한가정 청소년의 경우 평생 흡연 경험률 53.
  •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면 최근 북한이탈주민 수가 증가하였고 중요성이 커지고 있어 북한가정 청소년과 그 외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분류한 점이 강점이라고 할 수 있겠다. 또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이나 사회심리적 적응과 관련된 연구가 대부분인데 반해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과 한국가정 청소년의 다양한 건강행태를 파악한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문화가정이란 무엇인가? 다문화사회는 국적, 민족, 인종이 다른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사회로[1] 다문화사회로의 진입은 세계적인 추세로 나아가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여러 민족의 유입을 통해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고 있다[2]. 다문화가정은 인종, 종족, 피부색 등 서로 다른 국적이나 문화에서 태어나거나 성장한 사람들이 모여 가정을 이룬 것으로[3], 다문화가족지원법에서는 결혼이민자와 귀화자 등 다문화 대상자와 배우자 및 9-24세 자녀로 이루어진 가정으로 정의하고 있다[4]. 우리나라의 경우 다른언어와 지역적 특성을 지닌외국인뿐 아니라 오랜 세월 분단되어 서로 다른 생활습관과 문화를 가지고 있는 북한 이탈 주민도 다문화가정으로 분류되고 있다[5].
다문화사회란 무엇인가? 다문화사회는 국적, 민족, 인종이 다른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사회로[1] 다문화사회로의 진입은 세계적인 추세로 나아가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여러 민족의 유입을 통해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고 있다[2]. 다문화가정은 인종, 종족, 피부색 등 서로 다른 국적이나 문화에서 태어나거나 성장한 사람들이 모여 가정을 이룬 것으로[3], 다문화가족지원법에서는 결혼이민자와 귀화자 등 다문화 대상자와 배우자 및 9-24세 자녀로 이루어진 가정으로 정의하고 있다[4].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연구결과는 어떠한가? 우리나라의 경우도 다문화가정 증가에 따라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경우 일반가정 청소년에 비해 학교생활 부적응이 높았고[13], Lee [14]의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에서 자아정체감이 사회심리적 적응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다문화가정 청소년에서 스트레스가 자살 생각과 관련이 있었고[15], 청소년의 건강행태가 주관적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6].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은 일부 지역 청소년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대부분 사회 부적응이나 심리 상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Yoon SW, Kim SD. An empirical analysi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 Korea: Focusing on the effects of 'social values'. J Soc Sci 2010;36(1):91-117 

  2. Park SJ. A study on the trend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a foreign country. J Human Rights Law-Relat Educ 2011;4(1):1-24. 

  3. Chung SW, Jung JC.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al experience and social distance on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adolescents. J Multicult Educ Stud 2012;5(1):51-68. 

  4.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Annual report on the multicultural family.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2013, 2014. 

  5. Lim EM, Jung SJ, Jin YZ. Multi-cultural studies and multi-cultural counseling studies in South Korea. Korea J Couns 2009;10(3):1291-1304. DOI: http://dx.doi.org/10.15703/kjc.10.3.200909.1291 

  6. Park HB. Nationalism and multiculturalism on unification education. J Ethics Educ Stud 2013;31:213-235. 

  7. 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Survey of foreign residents in Korea. Seoul: 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2014. 

  8. Statistics Korea. 2013 Statistics on the Youth. Daejeon: Statistics Korea; 2013 

  9. Statistics Korea. Major statistics indicators of North Korea. Daejeon: Statistics Korea; 2014 

  10. Chau K, Baumann M, Kabuth B, Chau N. School difficulties in immigrant adolescent students and roles of socioeconomic factors, unhealthy behaviours, and physical and mental health. BMC Public Health 2012;12(1):453. DOI: http://dx.doi.org/10.1186/1471-2458-12-453 

  11. Singh GK, Yu SM, Kogan MD. Health, chronic conditions, and behavioral risk disparities among U.S. immigrant children and adolescents. Public Health Rep 2013;128(6):463-479. 

  12. Esteban-Gonzalo L, Veiga OL, Gomez-Martinez S, Regidor E, Martinez D, Marcos A, et al. Adherence to dietary recommendations among Spanish and immigrant adolescents living in Spain; the AFINOS study. Nutr Hosp 2013;28(6):1926-1936. DOI: DOI: http://dx.doi.org/10.3305/nh.2013.28.6.6836 

  13. Jun KS. A comparative study on the living conditions of teenagers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normal family in Gyeonggi prefecture: based on school life and family life. Korean J Youth Couns 2008;16(1):167-185. 

  14. Lee YJ. A study on the risk factors influencing psychosocial adjustment of a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 Korean J Fam Welf 2009;14(2):103-119. 

  15. Park HS, Yu JH, Park BY.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the Korean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Korea Inst Electron Telecommun 2013;8(5):771-777. DOI: http://dx.doi.org/10.13067/jkiecs.2013.8.5.771 

  16. Lee BS, Kim JS, Kim KS. Factors that affect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J Korean Public Health Nurs 2013;27(1):64-75. DOI: http://dx.doi.org/10.5932/jkphn.2013.27.1.64 

  17. Jee YJ, Kim YH. Factors influencing obesity among adolescent: analysis of 2011 Korean youth risk behavior survey. J Korean Soc Stud Obes 2013;22(1):39-49. DOI: http://dx.doi.org/10.7570/kjo.2013.22.1.39 

  18. Kim EJ, Kim TH. Where we live matters for our health?: regional patterns of population health and urban environment. J Korean Urban Geogr Soc 2014;17(2):149-161. 

  19. Shin HS. Equity in health: regional difference of health service utilization. Health Welf Policy Forum 2011;176:22-31. 

  20. Kim YK. A survey on the health status of North Korean refugees in a region. J Korean Soc Emerg Med Technol 2009;13(1):5-18. 

  21. Song HJ, Song MS. Alcohol drinking behavior and related factors among North Korean refugees. J Korean Alcohol Sci 2012;13(2):89-98. 

  22.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Report on the Global Tobacco Epidemic, 2013.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23. Jun EK, Lee JH, Kim SL, Kang MJ, Kwon IS. Influencing factors on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 in a specialization school. Korean J Health Educ Promot 2013;30(3):13-23. DOI: http://dx.doi.org/10.14367/kjhep.2013.30.3.013 

  24. Kwak YH, Kim TJ. A study on factors of family and friends influencing on the youth smoking. J Trans Anal Couns 2011;1(1):47-71. 

  25. Kim HK. A study on posttraumatic growth among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J Korean Assoc Cult Sociol 2013;14:225-262. DOI: http://dx.doi.org/10.17328/kjcs.2013.14.1.006 

  26. Park NH. Gender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 between psycho-social factors and smoking, drinking in adolescents. Korean Soc Health Educ Promot 2005;22(4):123-136. 

  27. Cho HC. A meta-analysis on the factors related to adolescents' alcohol use: from 1990 to 2012. Korean J Youth Stud 2014;21(6):191-221. 

  28. Park CS, Chung YI. Modern situation of drug crime and criminal policy in China. Kyung Hee Law J 2014;49(1):325-341. 

  29. US Department of State, Bureau of International Narcotics Matters; US Bureau for International Narcotics and Law Enforcement Affairs. International narcotics control strategy report. Washington (DC): Bureau of International Narcotics Matters; 2002. 

  30. Kim CH. Drug response and probation in Japan. Korean Acad Probat Parole Serv 2003;3:293-310. 

  31. Jang HB, Park JY, Lee HJ, Kang JH, Park KH, Song JH. Association between parental socioeconomic level, overweight, and eating habits with diet quality in Korean sixth grade school children. Korean J Nutr 2011;44(5):416-427. DOI: http://dx.doi.org/10.4163/kjn.2011.44.5.416 

  32. Bang SY, Choi SH, Lee SH, Hwang HJ. Impact of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variables of parents from low income families upon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s: comparison between two-parent families and single-parent families. J Korean Child Care Educ 2013;9(5):157-179. DOI: http://dx.doi.org/10.14698/jkcce.2013.9.5.157 

  33. Okafor MT, Carter-Pokras OD, Picot SJ, Zhan M. The relationship of language acculturation (English proficiency) to current self-rated health among African immigrant adults. J Immigr Minor Health 2013;15(3):499-5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