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서비스 이용 실태
Mental Health Service Use by the North Korean Defectors 원문보기

Anxiety and mood = 대한불안의학회지, v.14 no.1, 2018년, pp.28 - 35  

김다은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안지현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이경은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문승연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전진용 (국립정신건강센터) ,  장혜인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  홍진표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use of mental health services by North Korean defectors. The study sought to understand the determinants of use with socio-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the barriers of using mental health service.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from a samp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북한 이탈 주민 대상 연구들이 주로 북한이탈주민들의 정신질환 유병률과 이를 악화시키는 위험요소를 밝혀내는 것이었다면, 다음 단계로 이들의 정신건강에 예방적 또는 치료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실제적인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정신 건강서비스 이용 현황을 파악하고, 사회 인구학적 특징 및 정신질환에 따른 정신건강서비스 이용률의 차이와 북한 이탈 주민의 정신건강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또한 정신건강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전문가의 도움을 받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도 질문하였다. 도움을 받지 않은 이유에는 "나는 정신질환이 없다(정신 건강상의 문제가 없다)고 생각했다”, "그 정도 문제는 스스로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내가 정신적 문제로 치료를 받고 있는 것을 다른 사람들이 알면 나를 어떻게 생각할까 걱정이 되었다”, “문제가 저절로 좋아질 거라고 생각했다”, “문제가 저절로 좋아졌다”, "문제로 인해 많이 괴롭지 않았다”, “치료가 될 거라고 생각하지 않았다(치료효과가 있을 거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등이 포함되었고, 이에 응답자들은 “예” 또는 "아니오로 대답하였다#
  •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에서 정신건강서비스 이용 현황과 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주는 사회 인구학적 특징 및 정신질환 유무와 종류의 특징을 알아보고, 정신건강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이유를 조사하였다. 300명의 북한이탈주민 중 21.
  • 본 연구에서는 NK-CIDI를 사용하여 대상자들의 정신질환 여부를 측정하였다. CI이는 DSM-IV의 정의와 기준을 사용하여 정신병리에 대한 역학 및 비교 연구를 위해 고안된 완전히 구조화된 검사 도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3년 이내에 남한에 입국한 18세 이상의 북한이탈주민 300명을 대상으로 북한이탈주민의 사회 인구학적 특징 및 정신질환 유무와 종류에 따른 정신 건강서비스 이용 실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Ilic B, Svab V, Sedic B, Kovacevic I, Friganovic A, Juric, E. Mental health in domesticated immigrant population: a systematic review. Psychiatria Danubina 2017;29:273-281. 

  2. Tinghog P, Malm A, Arwidson C, Sigvardsdotter E, Lundin A, Saboonchi F. Prevalence of mental ill health, traumas and postmigration stress among refugees from Syria resettled in Sweden after 2011: a population-based survey. BMJ Open 2017;7:e018899. 

  3. Giacco D, Laxhman N, Priebe S.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mental disorders in refugees. In Seminars in Cell & Developmental Biology 2017;77:144-152. 

  4. Keller A, Lhewa D, Rosenfeld B, Sachs E, Aladjem A, Cohen I, et al. Traumatic experiences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an urban refugee population seeking treatment services.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2006;194:188-194. 

  5. Markkula N, Lehti V, Gissler M, Suvisaari J. Incidence and prevalence of mental disorders among immigrants and native Finns: a register-based study.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2017;52:1523-1540. 

  6. Lee Y, Lee M, Park S. Mental health status of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and risk and protective factors: a 10-year review of the literature. European Journal of Psychotraumatology 2017;8:1369833. 

  7. Shin HY, Lee H, Park SM. Mental health and its associated factors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living in South Korea: a case-control study. Asia Pacifc Journal of Public Health 2016;28:592-600. 

  8. Ministry of Unifcation. The number of entry status of North Korean defectors. Ministry of Unifcation;2018 

  9. Kim HH, Lee YJ, Kim HK, Kim JE, Kim SJ, Bae SM, et al.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psychiatric symptoms in North Korean defectors. Psychiatry investigation 2011;8:179-185. 

  10. Department of Health and Welfare. The survey of mental disorders in Korea. Department of Health and Welfare;2017. 

  11. Wittchen, Hans-Ulrich, Christopher BN. The Composite International Diagnostic Interview: an Instrument for measuring mental health Outcome?. Mental Health Outcome Measures. Berlin: Springer;1996. p.179-187. 

  12. Cho MJ, Hahm BJ, Suh DW, Hong JP, Bae JN, Kim JK, et al. Development of a Korean version of the composite international diagnostic interview (K-CIDI).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2;41:123-137. 

  13. Lee T, Ahn MH, Jun JY, Han JM, Lee SH, Hahm BJ, et al. Development of North Korean version of the Composite International Diagnostic Interview.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5;54:228-235. 

  14. Wang PS, Aguilar-Gaxiola S, Alonso J, Angermeyer MC, Borges G, Bromet EJ, et al. Use of mental health services for anxiety, mood, and substance disorders in 17 countries in the WHO world mental health surveys. The Lancet 2007;370:841-850. 

  15. Cho SJ, Lee JY, Hong JP, Lee HB, Cho MJ, Hahm BJ. Mental health service use in a nationwide sample of Korean adults. Social Psychia- 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2009;44:943-951. 

  16. Kim BC. The mental health of North Korean. Mental Health Policy Forum 2010;4:19-37. 

  17. Kim YH, Jeon WT, Cho YA. A study on the Prevalence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mental health problems among recent migrant North Koreans: a focus on 2007 entrants.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cation Studies 2010;19:141-174. 

  18. Hong CH, Jeon WT, Lee CH, Kim DK, Han M, Min SK. Relationship between traumatic events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North Korean refugee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5; 44:714-720. 

  19. Kim HK. Difference on complex PTSD and PTSD symptoms according to types of traumatic events in North Korean refugees.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2012;31:1003-1022. 

  20. Han NY, Lee SH, Yoo SY, Kim SJ, Jun JY, Won SD, et al. Predictors of PTSD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visited psychiatric depart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treatment center.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5;54:105-111. 

  21. Lim JB. Regional support system and stakeholder analysis for the settlement of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The Journal Korean Policy Studies 2012;12:249-272. 

  22. Derr AS. Mental health service use among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a systematic review. Psychiatric Services 2015;67:265-274. 

  23. Manhica H, Almquist Y, Rostila M, Hjern A. The use of psychiatric services by young adults who came to Sweden as teenage refugees: a national cohort study. Epidemiology and Psychiatric Sciences 2017;26: 526-534. 

  24. Kim HA, Kim KS. North Korean defectors' perception of and attitude toward disabilities as an inner factor of service gap: focusing on comparison with South Korean residents. Korean Journal of Christian Counseling 2016;27:103-133. 

  25. Noh JW, Kwon YD, Yu S, Park H, Woo JM. A study of mental health literacy among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J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2015;48:62-7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