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농특산품 전시판매장 디자인 현황 분석 및 유형별 분석 - 농촌관광마을 현장조사 및 농업인 공급자 의식조사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Design Status by Type at Display Store of Regional Agricultural Products: Focusing on the Survey of Farming Suppliers' Attitude and Site Examination of Rural Tourism Village원문보기
With the increase of visitors to rural tourism villages, the direct selling at sites is getting vitalized. Accordingly, their display stores is getting more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has selected 30 domestic rural tourism villages as study objects for the attitude survey of 200 farming suppli...
With the increase of visitors to rural tourism villages, the direct selling at sites is getting vitalized. Accordingly, their display stores is getting more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has selected 30 domestic rural tourism villages as study objects for the attitude survey of 200 farming suppliers and the site examination for the designs of those display stores in order to analyze their status and classify the types of necessity. Such operation status as sale item, sale method, method of supply and demand, major customer, sales scale, manager, opening hour, and operation cost were examined, to identity and for design factors the pattern, material quality and color were investigated. For the attitude of farming suppliers, the tactics of sales, the reason for being positive or negative, the functionality and the features of display stores were examined through brainstorming. IBM SPSS Statistics 20 Program was employed for Frequency, which indicated that village chiefs and store managers with the sales scale of 1 to 20 million won are dealing with female customers in their 40's and 50's and that those stores are open at the time of experience or year round without any operation expense. Permanent type and Fixed type were found to be the design factors of the display-case type with the material and the color of wood and orange respectively. The result of investigation analysis of farming suppliers' attitude showed the followings: the need of display stores is quite high, structure type and permanent type have high fitness and from the viewpoint of display-on-table type as a standard moving type was very convenient. The analysis of significant items at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display stores revealed that their locations, quality conservation, sanitation, users' convenience, designs and promotion are very important. The result of status analysis revealed that though there is a correlation among the types of display stores depending on the visiting season of tourists their installing is not desirable. Three types have been analyzed: Type 1 is a structure type only in the villages with continuous visitors, Type 2 a moving-table type only in the villages with temporary visitors and Type 3 is a fixed display-case type.
With the increase of visitors to rural tourism villages, the direct selling at sites is getting vitalized. Accordingly, their display stores is getting more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has selected 30 domestic rural tourism villages as study objects for the attitude survey of 200 farming suppliers and the site examination for the designs of those display stores in order to analyze their status and classify the types of necessity. Such operation status as sale item, sale method, method of supply and demand, major customer, sales scale, manager, opening hour, and operation cost were examined, to identity and for design factors the pattern, material quality and color were investigated. For the attitude of farming suppliers, the tactics of sales, the reason for being positive or negative, the functionality and the features of display stores were examined through brainstorming. IBM SPSS Statistics 20 Program was employed for Frequency, which indicated that village chiefs and store managers with the sales scale of 1 to 20 million won are dealing with female customers in their 40's and 50's and that those stores are open at the time of experience or year round without any operation expense. Permanent type and Fixed type were found to be the design factors of the display-case type with the material and the color of wood and orange respectively. The result of investigation analysis of farming suppliers' attitude showed the followings: the need of display stores is quite high, structure type and permanent type have high fitness and from the viewpoint of display-on-table type as a standard moving type was very convenient. The analysis of significant items at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display stores revealed that their locations, quality conservation, sanitation, users' convenience, designs and promotion are very important. The result of status analysis revealed that though there is a correlation among the types of display stores depending on the visiting season of tourists their installing is not desirable. Three types have been analyzed: Type 1 is a structure type only in the villages with continuous visitors, Type 2 a moving-table type only in the villages with temporary visitors and Type 3 is a fixed display-case typ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구체적인 전시판매장 유형, 상품 진열, 주변 환경에 대한 디자인 연구가 필요하며 농촌관광마을의 차별화 및 경쟁력 제고에도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농촌관광마을의 농특산품 전시판매장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현장조사를 통해 전시판매장 운영현황과 디자인 요소를 분석하고 농업인 공급자 의식 조사를 통해 공급자 측면의 의식과 전시판매장 특성에 따른 중요도 인식을 분석하여 현황과 유형별 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농촌관광마을 뿐만 아니라 농특산품 전시판매장에 실제적으로 현장적용 가능한 정량적인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농촌관광마을의 농특산품 전시판매장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현장조사를 통해 전시판매장 운영현황과 디자인 요소를 분석하고 농업인 공급자 의식 조사를 통해 공급자 측면의 의식과 전시판매장 특성에 따른 중요도 인식을 분석하여 현황과 유형별 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농촌관광마을 뿐만 아니라 농특산품 전시판매장에 실제적으로 현장적용 가능한 정량적인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농촌관광마을의 농특산품 판매 전시판매장 현황과 유형별 분석을 위해 전시판매장이 설치되어 있는 국내 농촌관광마을 현장조사와 농업인 공급자 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현재 설치되어 있는 형태는 건축물형, 테이블 부스형, 진열장형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진열장형이 현재 다수 설치되어 있었으나 주요판매 품목인 채소류와는 적합하지 않으며 농특산물 특성상 수확시기, 지속적 전시 기간 등이 문제점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체험객 방문시기, 농번기, 농산물 수확시기 등에 따라 이를 조절하여 인터뷰에 응할 수 있는 30개 마을을 대상으로만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나 향 후 전수조사결과에 따른 전시판매장이 설치되어 있는 조사마을 대상 개수를 늘려 좀 더 객관화된 DB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현장의 직접조사를 통해 분석한 자료는 농특산품 전시판매장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로 주효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은 현장의 직접조사를 통해 분석한 자료는 농특산품 전시판매장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로 주효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농업인 공급자 의식 조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 의식조사를 실시하여 비교분석하고자 하며 향 후 시사점 제안 내용을 바탕으로 3유형의 실용화 가능한 맞춤형 농촌관광마을 전시판매장 디자인을 실제적으로 설계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농특산품 전시판매장의 체계적인 연구가 계속적으로 진행되어 실제적으로 농촌관광마을에 활용함으로써 농촌의 소득을 증가할 수 있으며 마을 차별화와 경쟁력 제고를 기대할 수 있다.
제안 방법
1단계로 농촌관광마을 전시판매장 디자인의 이해 및 중요성에 관해 이론적 고찰을 통해 정리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동향을 정리하였다. 또한 국내ᐧ외 농특산품 전시판매장에 관하여 선진사례를 조사하여 정리하였다.
1단계로 농촌관광마을 전시판매장 디자인의 이해 및 중요성에 관해 이론적 고찰을 통해 정리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동향을 정리하였다. 또한 국내ᐧ외 농특산품 전시판매장에 관하여 선진사례를 조사하여 정리하였다. 국내 선진사례는 직접 현장을 방문하였으며 국외 선진사례는 인터넷 조사를 통해 진행하였다.
또한 국내ᐧ외 농특산품 전시판매장에 관하여 선진사례를 조사하여 정리하였다. 국내 선진사례는 직접 현장을 방문하였으며 국외 선진사례는 인터넷 조사를 통해 진행하였다.
2단계로 현장조사 대상을 선정하기 위해 국내 농촌관광마을을 700여개를 대상으로 전화인터뷰를 통해 전수조사를 실시하여 전시판매장 有 / 無를 파악하고 전시판매시설이 있으며 인터뷰 가능여부을 조사하여 현장조사대상지 30개소를 선정하였다. 3단계는 선정된 마을에 직접 방문하여 현장조사와 공급자 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시트 및 농업인 공급자 전시판매장 디자인 의식조사 설문항목은 브레인 스토밍을 통해 작성하였다.
선정된 30개소에 현장 방문하여 현장조사는 면담 및 심층조사를 실시하고 공급자 의식조사는 실제적으로 농특산품을 판매하고 있는 농업인 공급자 5권역의 각 60명씩 총 200명을 모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4단계는 농업인 공급자의 전시판매장디자인에 대한 의식조사와 현장조사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농촌관광마을 농특산품 전시판매장 디자인 현황 및 유형 별 분석을 실시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농특산품 전시판매장 디자인 선진사례를 조사하기 위해 국내 사례는 현장을 방문하여 조사하고 국외 사례는 인터넷 검색을 통해 조사하였다. Table 2와 같이 지역 안에서 생산 및 소비가 이루어져 유통단계가 줄어든 로컬 푸드 직매장, 소비자가 믿고 구매할 수 있도록 기업의 브랜드를 살린 친환경 농산물 매장 등이 있다.
전국의 농촌관광마을은 약 700여개로 2012년을 기준으로 농촌전통테마마을 약 169개소 녹색농촌체험마을 약 521개소 정도가 조성되어 있다. 이를 기준으로 전화전수조사를 실시하여 전시판매장 有 / 無를 파악하였다. 전수조사결과 전시판매장이 有에 해당하고 현장조사 가능 여부를 파악하여 인터뷰가 가능한 마을에 한하여 Table 4와 같이 각 권역별로 6곳으로 총 30개 마을을 선정하였다.
현장조사내용은 마을 전시판매장 판매운영 현황 및 애로사항과 전시판매장 디자인 요소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판매운영 현황은, 판매품목, 판매방법, 수급방법, 주요고객층, 매출규모, 관리자, 개점시간, 운영비용, 만족도 등을 조사하였으며 디자인 요소는 시설형태, 설치형태, 이동형태, 컬러, 재질을 Table 5와 같이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현장조사내용은 마을 전시판매장 판매운영 현황 및 애로사항과 전시판매장 디자인 요소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판매운영 현황은, 판매품목, 판매방법, 수급방법, 주요고객층, 매출규모, 관리자, 개점시간, 운영비용, 만족도 등을 조사하였으며 디자인 요소는 시설형태, 설치형태, 이동형태, 컬러, 재질을 Table 5와 같이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시설형태는 전문문헌 및 국내 선진사례 현장조사 시 건축물형, 테이블 부스형, 진열장형으로 분류 됨을 파악하여 구분하였으며 이의 3유형은 설치형태에 따라 상설형, 임시형으로 구분되며 이동형태에 따라 고정형, 이동형으로 구분 됨을 파악하여 정리하였다.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전시판매장 디자인은 건축물형, 테이블 부스형, 진열장형의 3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분석 요소를 마을특성 및 사회적 요소, 공간구조 및 진열적 요소, 환경적 요소, 운영현황, 애로사항 및 문제점으로 나누어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대상 데이터
2단계로 현장조사 대상을 선정하기 위해 국내 농촌관광마을을 700여개를 대상으로 전화인터뷰를 통해 전수조사를 실시하여 전시판매장 有 / 無를 파악하고 전시판매시설이 있으며 인터뷰 가능여부을 조사하여 현장조사대상지 30개소를 선정하였다. 3단계는 선정된 마을에 직접 방문하여 현장조사와 공급자 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시트 및 농업인 공급자 전시판매장 디자인 의식조사 설문항목은 브레인 스토밍을 통해 작성하였다. 선정된 30개소에 현장 방문하여 현장조사는 면담 및 심층조사를 실시하고 공급자 의식조사는 실제적으로 농특산품을 판매하고 있는 농업인 공급자 5권역의 각 60명씩 총 200명을 모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4단계는 농업인 공급자의 전시판매장디자인에 대한 의식조사와 현장조사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농촌관광마을 농특산품 전시판매장 디자인 현황 및 유형 별 분석을 실시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전화전수조사를 실시하여 전시판매장 有 / 無를 파악하였다. 전수조사결과 전시판매장이 有에 해당하고 현장조사 가능 여부를 파악하여 인터뷰가 가능한 마을에 한하여 Table 4와 같이 각 권역별로 6곳으로 총 30개 마을을 선정하였다.
전시판매장과 디자인에 관한 농업인 공급자 의식을 분석하기 위해 조사대상은 전국을 기준으로 각 권역별로 40명씩 현재 농촌관광마을에서 살면서 농특산품을 마을 공동판매, 체험시 판매, 개인 농가 방문판매를 하고 있는 농업인 공급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항목은 마을 전시판매장을 기준으로 판매 생각, 부정적 이유, 긍정적 이유, 필요성,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형태(시설, 설치, 이동), 기능성을 설문하여 IBM SPSS Statistics 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농촌관광마을의 농특산품 전시판매장 디자인에 관한 농업인 공급자 의식을 조사기 위해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200개중 170개를 유효 표본으로 측정되었다. 분석한 결과는 Table 9와 Figure 3과 같이 나타났다.
데이터처리
조사방법은 조사내용을 조사시트로 작성하여 각 마을 당 마을 대표 및 판매를 담당하는 대표 1명 총30명을 각 현장 별 면담 및 심층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항목 및 디자인요소에 한하여 데이터 코딩을 실시한 후 IBM SPSS Statistics 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시판매장과 디자인에 관한 농업인 공급자 의식을 분석하기 위해 조사대상은 전국을 기준으로 각 권역별로 40명씩 현재 농촌관광마을에서 살면서 농특산품을 마을 공동판매, 체험시 판매, 개인 농가 방문판매를 하고 있는 농업인 공급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항목은 마을 전시판매장을 기준으로 판매 생각, 부정적 이유, 긍정적 이유, 필요성,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형태(시설, 설치, 이동), 기능성을 설문하여 IBM SPSS Statistics 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시판매장 특성의 중요도 의식을 조사하기 위해 Table 8과 브레인 스토밍을 통해 작성하여 5점 리커드 척도를 통해 통계량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설문항목은 마을 전시판매장을 기준으로 판매 생각, 부정적 이유, 긍정적 이유, 필요성,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형태(시설, 설치, 이동), 기능성을 설문하여 IBM SPSS Statistics 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시판매장 특성의 중요도 의식을 조사하기 위해 Table 8과 브레인 스토밍을 통해 작성하여 5점 리커드 척도를 통해 통계량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론/모형
3단계는 선정된 마을에 직접 방문하여 현장조사와 공급자 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시트 및 농업인 공급자 전시판매장 디자인 의식조사 설문항목은 브레인 스토밍을 통해 작성하였다. 선정된 30개소에 현장 방문하여 현장조사는 면담 및 심층조사를 실시하고 공급자 의식조사는 실제적으로 농특산품을 판매하고 있는 농업인 공급자 5권역의 각 60명씩 총 200명을 모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성능/효과
조사결과를 통해 전시판매장은 구성요소가 다양한 만큼 공급자와 소비자 만족도 측면, 마케팅적 측면, 디자인적 측면 등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연구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으나 농특산품 관련 전시판매장의 연구를 비롯해 대부분의 연구가 소비자 감성, 만족, 브랜드 이미지 등 정성적 연구에 치우침을 알 수 있었다.
농촌관광마을의 전시판매장에서 판매하는 농특산품 품목은 70% 정도가 채소류로 가장 많이 판매하고 있었으며, 과일류, 잡곡류 순으로 나타났다. 판매방법은 온라인 오프라인 판매 비율이 20:80으로 나타났으며 80%의 오프라인 판매는 대부분 전시판매장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관광마을의 전시판매장에서 판매하는 농특산품 품목은 70% 정도가 채소류로 가장 많이 판매하고 있었으며, 과일류, 잡곡류 순으로 나타났다. 판매방법은 온라인 오프라인 판매 비율이 20:80으로 나타났으며 80%의 오프라인 판매는 대부분 전시판매장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30개의 마을 중 23개의 마을은 마을위원회에서 수급하여 공동으로 판매하고 있었으며 7개 마을은 주문 시 각 농가에서 수급하여 판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판매방법은 온라인 오프라인 판매 비율이 20:80으로 나타났으며 80%의 오프라인 판매는 대부분 전시판매장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30개의 마을 중 23개의 마을은 마을위원회에서 수급하여 공동으로 판매하고 있었으며 7개 마을은 주문 시 각 농가에서 수급하여 판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6은 주요고객층, 매출규모, 관리자, 개점시간, 운영비용의 빈도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7%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출규모는 100만원의 소규모에서 6,000만원 이상의 대규모까지 범위가 넓었으며 100만원-2000만원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시판매장 관리는 70%가 마을 대표 및 사무장이 관리하고 있었으며 개점시간은 체험 시에 개점하는 마을과 연중무휴 개점하는 마을이 45.7:53.3으로 평등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운영비용은 별도로 측정되어 있지 않으며 36.7%정도가 마을 자체비용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또한 현재 전시판매장의 만족도를 5단계로 조사한 결과 불만족측면의 의견이 83.
7%정도가 마을 자체비용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또한 현재 전시판매장의 만족도를 5단계로 조사한 결과 불만족측면의 의견이 83.3%로 대부분 현재 전시판매장에 관하여 불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로 가장 많았으며 이는 원목, 합판 등이 포함된다. 컬러는 거의 혼합컬러로 되어 있었으며 주조색을 기준으로 분석하였을 때 주황색계열이 73.3%로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시판매장을 구축하여 판매하는 것에 대해 매우 긍정적이 66.5%, 약간 긍정적이 14.7%로 80.2%가 긍정적인 의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시판매장 판매에 긍정적인 이유는 방문객이 와서 직접 보고, 맛보고 구매 후 지속적 구매로 이어질 수 있는 점과 시장및 납품 보다 안정적인 가격으로 거래할 수 있다는 점이였다.
부정적인 이유는 포장의 애로사항, 개인적 해결을 원하는 점 등이 있었다. 전시판매장의 필요성은 51.8%가 매우 필요함, 30%가 약간 필요함으로 81%의 필요도를 나타냈다. 적합한 시설형태는 49.
8%가 매우 필요함, 30%가 약간 필요함으로 81%의 필요도를 나타냈다. 적합한 시설형태는 49.4%로 건축물형이 가장 높았으며 테이블 부스형, 진열장형 순으로 나타났으며 적합한 설치형태는 72.4%가 상설형이 적합하다고 하였다. 적합 이동형태는 고정형이 45.
4%가 상설형이 적합하다고 하였다. 적합 이동형태는 고정형이 45.3%로 이동형이 54.7%로 나타났다. 기능성측면에서 농특산품 전시와 판매를 동시에 원함이 70.
7%로 나타났다. 기능성측면에서 농특산품 전시와 판매를 동시에 원함이 70.6%로 가장 높았으며 판매위주, 전시 위주 순으로 나타났다. 전시판매장 특성에 대한 중요도 인식을 분석한 결과 Figure 3과 같이 나타났다.
5이상으로 Figure 3의 노란면으로 표시하였다.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디자인이 4.69, 이용자 편리성이 4.67로 높았으며 위생성, 홍보성, 품질 보전성, 시설형태, 설치형태, 이동형태, 위치 순으로 중요도가 높게 인식하고 있음이 분석되었으며 이를 통해 전시판매장의 디자인의 중요도에 대한 농업인 공급자 의식이 매우 중요하게 의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현재 농촌관광마을 전시판매장에서 판매하는 주요 품목은 채소류로 40-50대의 여성고객층이 주요 구매 고객이 였으며 개점시간은 체험 시 한시적이거나 연중무휴로 지속적으로 개점하고 있었다. 별도의 운영비용이 없었으며 있는 경우 마을 자체비용으로 해결하고 있으며 현재 전시판매장의 만족도는 거의 불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형태는 진열장형, 상설형, 고정형으로 나타났으며 외관재질은 나무재질의 주황색계열로 나타났다.
별도의 운영비용이 없었으며 있는 경우 마을 자체비용으로 해결하고 있으며 현재 전시판매장의 만족도는 거의 불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형태는 진열장형, 상설형, 고정형으로 나타났으며 외관재질은 나무재질의 주황색계열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농업인 공급자는 건축형, 상설형, 이동형을 적합한 형태로 의식하고 있었다.
건축물형은 방문객 규모가 상대적으로 크고 체험객 50%이상이 구매를 하며 연중무휴로 상시운영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포장, 가공을 위한 공간과 이용자 동선의 공간의 협소함이 애로사항으로 분석되었다.
진열장형은 체험객 10%내외가 구매하며 구매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을 공예품 등은 지속적 전시가 가능하나 농특산물의 경우 부적절한 전시형태로 포장재 등만을 전시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농촌관광마을의 농특산품 판매 전시판매장 현황과 유형별 분석을 위해 전시판매장이 설치되어 있는 국내 농촌관광마을 현장조사와 농업인 공급자 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현재 설치되어 있는 형태는 건축물형, 테이블 부스형, 진열장형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진열장형이 현재 다수 설치되어 있었으나 주요판매 품목인 채소류와는 적합하지 않으며 농특산물 특성상 수확시기, 지속적 전시 기간 등이 문제점으로 파악되었다. 주요 고객층은 40-50대 여성의 고객층으로 매장관리는 마을대표 및 사무장이 관리하고 있었으며 체험 시나 연중무휴로 개점되고 있으며 운영비용이 없으며 과반수 이상이 현재 전시판매장에 관하여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현재 설치되어 있는 형태는 건축물형, 테이블 부스형, 진열장형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진열장형이 현재 다수 설치되어 있었으나 주요판매 품목인 채소류와는 적합하지 않으며 농특산물 특성상 수확시기, 지속적 전시 기간 등이 문제점으로 파악되었다. 주요 고객층은 40-50대 여성의 고객층으로 매장관리는 마을대표 및 사무장이 관리하고 있었으며 체험 시나 연중무휴로 개점되고 있으며 운영비용이 없으며 과반수 이상이 현재 전시판매장에 관하여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인 공급자 의식조사분석 결과 전시판매장 필요도가 매우 높았으며 적합성 형태는 건축물형, 상설형, 이동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고객층은 40-50대 여성의 고객층으로 매장관리는 마을대표 및 사무장이 관리하고 있었으며 체험 시나 연중무휴로 개점되고 있으며 운영비용이 없으며 과반수 이상이 현재 전시판매장에 관하여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인 공급자 의식조사분석 결과 전시판매장 필요도가 매우 높았으며 적합성 형태는 건축물형, 상설형, 이동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시판매장 특성의 중요도에 따른 농업인 공급자 의식조사 결과 특성관련 다양한 요소 중에 디자인, 이용자 편리성, 위생성, 홍보성, 품질보전성, 시설형태, 설치형태, 이동형태, 위치의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인 공급자 의식조사분석 결과 전시판매장 필요도가 매우 높았으며 적합성 형태는 건축물형, 상설형, 이동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시판매장 특성의 중요도에 따른 농업인 공급자 의식조사 결과 특성관련 다양한 요소 중에 디자인, 이용자 편리성, 위생성, 홍보성, 품질보전성, 시설형태, 설치형태, 이동형태, 위치의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가 높게 나타난 특성 요소들을 살펴보면 디자인적 요소와 소비자 입장의 트렌드, 만족도에 치중하여 의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그만큼 농업인 공급자의 의식이 현대 트렌드을 인식하고 활용하려는 의식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중요도가 높게 나타난 특성 요소들을 살펴보면 디자인적 요소와 소비자 입장의 트렌드, 만족도에 치중하여 의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그만큼 농업인 공급자의 의식이 현대 트렌드을 인식하고 활용하려는 의식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농촌관광마을의 전시판매장은 3유형으로 나누어 분석되며 1유형은 지속적 농특산품 구매 방문객이 있는 마을에 한하여 건축형, 2유형은 한시적, 계획적으로 농특산품을 구매하는 방문객이 있는 마을에 한하여 테이블 부스형, 3유형은 농특산품 판매와 관련성이 낮은 연령층의 체험위주 마을에 관련한 진열장형으로 분석되었다. 종합적으로 현황분석결과 판매 품목과 적합성이 떨어지는 전시판매장유형이 설치되어 있음을 파악하였으며 농업인 공급자의 실제 판매 경험과 의식으로 나타난 중요도 높은 특성들을 파악할 수 있었다.
농촌관광마을의 전시판매장은 3유형으로 나누어 분석되며 1유형은 지속적 농특산품 구매 방문객이 있는 마을에 한하여 건축형, 2유형은 한시적, 계획적으로 농특산품을 구매하는 방문객이 있는 마을에 한하여 테이블 부스형, 3유형은 농특산품 판매와 관련성이 낮은 연령층의 체험위주 마을에 관련한 진열장형으로 분석되었다. 종합적으로 현황분석결과 판매 품목과 적합성이 떨어지는 전시판매장유형이 설치되어 있음을 파악하였으며 농업인 공급자의 실제 판매 경험과 의식으로 나타난 중요도 높은 특성들을 파악할 수 있었다.
후속연구
선행연구 또한 국내연구의 경우 농촌관광마을이나 농특산품 전시판매장에 대하여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체계적 분류연구나 디자인 현황에 대한 실증적 조사 및 분석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구체적인 전시판매장 유형, 상품 진열, 주변 환경에 대한 디자인 연구가 필요하며 농촌관광마을의 차별화 및 경쟁력 제고에도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농촌관광마을의 농특산품 전시판매장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현장조사를 통해 전시판매장 운영현황과 디자인 요소를 분석하고 농업인 공급자 의식 조사를 통해 공급자 측면의 의식과 전시판매장 특성에 따른 중요도 인식을 분석하여 현황과 유형별 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주관적 측면에는 소비자 감성 자극 이미지, 만족도, 신뢰도 , 컬러 등이 속하며 객관적 측면에는 이용자 편리성, 동선, 공간 사이즈, 재질, 형태 등이 속한다. 이와 같은 전시판매장 구성 및 디자인을 위한 요소와 관련한 분석 연구 및 디자인개념 도입 관련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여 농촌관광마을에 실제적으로 적용하여 농업인 소득 증대 및 지역 활성화에 파급 효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박혜숙·윤정숙 (2001)은 실내디자인 연구 측면에서 다양한 거주자들의 생활양식을 유형화하고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파악하며, 생활양식의 유형에 따라 선호하는 실내 이미지의 특성과 구성요소를 파악하였다. 거주자의 선호 실내 이미지와 구성요소를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의 연구가 필요하며 거주자의 생활양식에 맞는 실내 이미지 설정이 실내 디자인 계획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현재 전시판매장의 만족도가 낮음에 비해 농업인 공급자들은 전시판매장을 매우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농촌관광마을 전시판매장 설계 시 본 연구의 조사사항을 기반으로 각 마을의 판매품목, 주요 고객층, 판매장 유형, 마을 특성 등을 파악하여 마을이미지를 연출하여 마을에 적합한 차별화된 전시판매장 디자인을 설계하여 농업인 공급자 뿐만 아니라 소비자 입장에서도 만족도 높은 전시판매장 디자인을 설계해야 한다. 또한 전시판매장 디자인의 컬러선택 시 마을상징 컬러나 주요 품목의 컬러를 적용하고 재질이나 형태는 마을 안에서 생산되는 부산물을 활용하여 설계하는 방법도 마을의 차별화를 도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농특산품 전시판매장을 3유형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를 각 유형별로 전시대 사이즈, 판매대 사이즈, 이용자 동선, 유형에 따른 재질, 컬러 등 정량적인 조건을 세밀하게 연구하여 표준화 방안을 마련하여 이를 기본사항으로 준수하여 미적인 디자인을 설계해야 함을 제안한다.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체험객 방문시기, 농번기, 농산물 수확시기 등에 따라 이를 조절하여 인터뷰에 응할 수 있는 30개 마을을 대상으로만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나 향 후 전수조사결과에 따른 전시판매장이 설치되어 있는 조사마을 대상 개수를 늘려 좀 더 객관화된 DB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현장의 직접조사를 통해 분석한 자료는 농특산품 전시판매장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로 주효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농업인 공급자 의식 조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 의식조사를 실시하여 비교분석하고자 하며 향 후 시사점 제안 내용을 바탕으로 3유형의 실용화 가능한 맞춤형 농촌관광마을 전시판매장 디자인을 실제적으로 설계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촌관광마을에서 소비자니즈는 무엇인가?
농촌관광마을은 농촌 6차산업화의 진행형 모델이라고 할 수 있으며 성공사례 마을 중 완주, 김포, 안성 로컬푸드 등이 농산물 생산, 가공, 직거래 판매장 등을 부각하여 성공한 농촌관광마을로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소수지역의 사례이며 지역단위로 범위가 넓어 모든 농촌관광마을들이 참여하기에는 애로사항이 있으며 소비자니즈는 마을을 방문해서 체험 및 관광과 동시에 현장에서 신선한 농특산품 구매를 원한다. 이에 부응하기 위해 지자체별 ‘농특산품 전시판매장 설치 및 운영조례’을 제정하고 전시판매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운영시간, 농산물 수급 관련 조항, 허가조항 등이 기재되어 있다.
농촌관광마을이란 무엇인가?
농촌관광마을은 정부부처의 정책적 성격으로 다양한 사업(최형두, 2009)을 통해 시작되어 현재 국내 700여개가 넘는 농촌관광마을이 조성되어 있다. 농촌관광마을은 농촌성(amenity)을 기반으로 자연환경과 농촌문화를 접할 수 있는 공간으로 Figure2와 같이 숙박, 서비스, 농산물 생산, 판매, 가공, 직판, 체험, 관광 등 이들의 상호유기적인 관계가 형성(박영일, 2008)되어 생산자가 공급자가 되고 소비자와의 편익과 신뢰를 공유하는 구도이다.
전시판매장디자인을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의 주관적, 객관적 측면에는 어떤것이 있는가?
전시판매장디자인은 마을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차별화 할 수 있는 요소로 주관적, 객관적 측면을 고려하여 소비자들에게 이미지 제고를 통해 랜드 마크적 성향을 기대할 수 있다. 주관적 측면에는 소비자 감성 자극 이미지, 만족도, 신뢰도 , 컬러 등이 속하며 객관적 측면에는 이용자 편리성, 동선, 공간 사이즈, 재질, 형태 등이 속한다. 이와 같은 전시판매장 구성 및 디자인을 위한 요소와 관련한 분석 연구 및 디자인개념 도입 관련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여 농촌관광마을에 실제적으로 적용하여 농업인 소득 증대 및 지역 활성화에 파급 효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26)
김경화, 2009, 브랜드 이미지 강화를 위한 공간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제 11권 제1호.
김정희, 2002, 점포의 물리적 환경이 품질지각과 고 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관리학회, 마케팅관리연구 제7권 제2호.
김지현, 2010, 스페이스 마케팅을 적용한 식음공간 연출에 관한 연구 : 상호작용과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현정 외, 2007, 마케팅 전략을 기본으로 한 실내 공간의 브랜드화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제9권 제1호.
민문희, 2006, 한국 소비문화 변화를 통한 로하스적 소비공간 디자인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성신, 2007, 공간 디자인 마케팅의 전략과 효과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영일, 2008, 체험유형 선호에 따른 농촌체험관광마을태도가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철 외, 2001, 농협 상설매장을 통한 농산물 직거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유통학회, 유통연구 제5권 제2호.
박혜숙 외, 2001, 생활양식에 따른 실내 디자인 선호 유형,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제27권.
서형수, 2007, 효율적인 감성공학적 인테리어 디자인 분석도구의 설계,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제16권 2호.
이소영 외, 2009, 브랜드 확립을 위한 상점공간 디자인 분석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제18권 5호.
이종호 외, 2008, 점포환경으로 인한 환기와 즐거움, 행동의도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유통학회, 제13권 제4호.
조성희 외, 2010, 마케팅 관점에서 상업공간 인테리어 디자인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제12권 제3호.
최광수, 2012, 국산농산물에 대한 생산지 인식 및 매장 이용형태가 브랜드 충성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최철재, 2011, 친환경농산물의 매장환경에 따른 소비감성과 고객만족,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제23권 제2호.
최형두, 2009, 농촌마을 주민의 농촌관광 사업 참여와 관광영향 지각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Baker,Julie, A. Parasuraman, Dhruv Grewal and Glene B. Voss, 2002, The Influence of Multiple Store Environment Cues on Perceived Intentions, Journal of Maketing, 66(April).
Bither Mary Jo, 1992, Servicecapes: The Impact of Physical Surroundings on Customers and Employees, Journal of Maketing, 56(April).
Inskeep, E, 1988, Tourism Planning,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Kotler, Philip, 1973, Atmosphere as a marketing tool, Journal of Retailing, 49(Winter).
www.choroc.com(초록마을)
www.fromfarmers.co.kr(농부로부터)
www.happystation.kr(전라북도 완주군 해피스테이션)
www.hof-butendiek.de(Biolandhof)
www.orga.co.kr(Orga Whole foods)
www.pickyourown.com(Larriland Farm)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연구과제 타임라인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