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농특산품 전시판매장 디자인 현황 분석 및 유형별 분석 - 농촌관광마을 현장조사 및 농업인 공급자 의식조사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Design Status by Type at Display Store of Regional Agricultural Products: Focusing on the Survey of Farming Suppliers' Attitude and Site Examination of Rural Tourism Village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19 no.3, 2013년, pp.13 - 24  

진혜련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채혜성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강가혜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조록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increase of visitors to rural tourism villages, the direct selling at sites is getting vitalized. Accordingly, their display stores is getting more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has selected 30 domestic rural tourism villages as study objects for the attitude survey of 200 farming suppli...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체적인 전시판매장 유형, 상품 진열, 주변 환경에 대한 디자인 연구가 필요하며 농촌관광마을의 차별화 및 경쟁력 제고에도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농촌관광마을의 농특산품 전시판매장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현장조사를 통해 전시판매장 운영현황과 디자인 요소를 분석하고 농업인 공급자 의식 조사를 통해 공급자 측면의 의식과 전시판매장 특성에 따른 중요도 인식을 분석하여 현황과 유형별 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농촌관광마을 뿐만 아니라 농특산품 전시판매장에 실제적으로 현장적용 가능한 정량적인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농촌관광마을의 농특산품 전시판매장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현장조사를 통해 전시판매장 운영현황과 디자인 요소를 분석하고 농업인 공급자 의식 조사를 통해 공급자 측면의 의식과 전시판매장 특성에 따른 중요도 인식을 분석하여 현황과 유형별 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농촌관광마을 뿐만 아니라 농특산품 전시판매장에 실제적으로 현장적용 가능한 정량적인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농촌관광마을의 농특산품 판매 전시판매장 현황과 유형별 분석을 위해 전시판매장이 설치되어 있는 국내 농촌관광마을 현장조사와 농업인 공급자 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현재 설치되어 있는 형태는 건축물형, 테이블 부스형, 진열장형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진열장형이 현재 다수 설치되어 있었으나 주요판매 품목인 채소류와는 적합하지 않으며 농특산물 특성상 수확시기, 지속적 전시 기간 등이 문제점으로 파악되었다.
  •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체험객 방문시기, 농번기, 농산물 수확시기 등에 따라 이를 조절하여 인터뷰에 응할 수 있는 30개 마을을 대상으로만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나 향 후 전수조사결과에 따른 전시판매장이 설치되어 있는 조사마을 대상 개수를 늘려 좀 더 객관화된 DB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현장의 직접조사를 통해 분석한 자료는 농특산품 전시판매장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로 주효할 것으로 사료된다.
  • 이와 같은 현장의 직접조사를 통해 분석한 자료는 농특산품 전시판매장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로 주효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농업인 공급자 의식 조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 의식조사를 실시하여 비교분석하고자 하며 향 후 시사점 제안 내용을 바탕으로 3유형의 실용화 가능한 맞춤형 농촌관광마을 전시판매장 디자인을 실제적으로 설계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농특산품 전시판매장의 체계적인 연구가 계속적으로 진행되어 실제적으로 농촌관광마을에 활용함으로써 농촌의 소득을 증가할 수 있으며 마을 차별화와 경쟁력 제고를 기대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촌관광마을에서 소비자니즈는 무엇인가? 농촌관광마을은 농촌 6차산업화의 진행형 모델이라고 할 수 있으며 성공사례 마을 중 완주, 김포, 안성 로컬푸드 등이 농산물 생산, 가공, 직거래 판매장 등을 부각하여 성공한 농촌관광마을로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소수지역의 사례이며 지역단위로 범위가 넓어 모든 농촌관광마을들이 참여하기에는 애로사항이 있으며 소비자니즈는 마을을 방문해서 체험 및 관광과 동시에 현장에서 신선한 농특산품 구매를 원한다. 이에 부응하기 위해 지자체별 ‘농특산품 전시판매장 설치 및 운영조례’을 제정하고 전시판매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운영시간, 농산물 수급 관련 조항, 허가조항 등이 기재되어 있다.
농촌관광마을이란 무엇인가? 농촌관광마을은 정부부처의 정책적 성격으로 다양한 사업(최형두, 2009)을 통해 시작되어 현재 국내 700여개가 넘는 농촌관광마을이 조성되어 있다. 농촌관광마을은 농촌성(amenity)을 기반으로 자연환경과 농촌문화를 접할 수 있는 공간으로 Figure2와 같이 숙박, 서비스, 농산물 생산, 판매, 가공, 직판, 체험, 관광 등 이들의 상호유기적인 관계가 형성(박영일, 2008)되어 생산자가 공급자가 되고 소비자와의 편익과 신뢰를 공유하는 구도이다.
전시판매장디자인을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의 주관적, 객관적 측면에는 어떤것이 있는가? 전시판매장디자인은 마을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차별화 할 수 있는 요소로 주관적, 객관적 측면을 고려하여 소비자들에게 이미지 제고를 통해 랜드 마크적 성향을 기대할 수 있다. 주관적 측면에는 소비자 감성 자극 이미지, 만족도, 신뢰도 , 컬러 등이 속하며 객관적 측면에는 이용자 편리성, 동선, 공간 사이즈, 재질, 형태 등이 속한다. 이와 같은 전시판매장 구성 및 디자인을 위한 요소와 관련한 분석 연구 및 디자인개념 도입 관련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여 농촌관광마을에 실제적으로 적용하여 농업인 소득 증대 및 지역 활성화에 파급 효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김경화, 2009, 브랜드 이미지 강화를 위한 공간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제 11권 제1호. 

  2. 김정희, 2002, 점포의 물리적 환경이 품질지각과 고 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관리학회, 마케팅관리연구 제7권 제2호. 

  3. 김지현, 2010, 스페이스 마케팅을 적용한 식음공간 연출에 관한 연구 : 상호작용과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현정 외, 2007, 마케팅 전략을 기본으로 한 실내 공간의 브랜드화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제9권 제1호. 

  5. 민문희, 2006, 한국 소비문화 변화를 통한 로하스적 소비공간 디자인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박성신, 2007, 공간 디자인 마케팅의 전략과 효과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박영일, 2008, 체험유형 선호에 따른 농촌체험관광마을태도가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박철 외, 2001, 농협 상설매장을 통한 농산물 직거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유통학회, 유통연구 제5권 제2호. 

  9. 박혜숙 외, 2001, 생활양식에 따른 실내 디자인 선호 유형,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제27권. 

  10. 서형수, 2007, 효율적인 감성공학적 인테리어 디자인 분석도구의 설계,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제16권 2호. 

  11. 이소영 외, 2009, 브랜드 확립을 위한 상점공간 디자인 분석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제18권 5호. 

  12. 이종호 외, 2008, 점포환경으로 인한 환기와 즐거움, 행동의도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유통학회, 제13권 제4호. 

  13. 조성희 외, 2010, 마케팅 관점에서 상업공간 인테리어 디자인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제12권 제3호. 

  14. 최광수, 2012, 국산농산물에 대한 생산지 인식 및 매장 이용형태가 브랜드 충성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최철재, 2011, 친환경농산물의 매장환경에 따른 소비감성과 고객만족,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제23권 제2호. 

  16. 최형두, 2009, 농촌마을 주민의 농촌관광 사업 참여와 관광영향 지각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Baker,Julie, A. Parasuraman, Dhruv Grewal and Glene B. Voss, 2002, The Influence of Multiple Store Environment Cues on Perceived Intentions, Journal of Maketing, 66(April). 

  18. Bither Mary Jo, 1992, Servicecapes: The Impact of Physical Surroundings on Customers and Employees, Journal of Maketing, 56(April). 

  19. Inskeep, E, 1988, Tourism Planning,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20. Kotler, Philip, 1973, Atmosphere as a marketing tool, Journal of Retailing, 49(Winter). 

  21. www.choroc.com(초록마을) 

  22. www.fromfarmers.co.kr(농부로부터) 

  23. www.happystation.kr(전라북도 완주군 해피스테이션) 

  24. www.hof-butendiek.de(Biolandhof) 

  25. www.orga.co.kr(Orga Whole foods) 

  26. www.pickyourown.com(Larriland Farm)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