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세기 능력이 유아의 수학능력과 수학학습잠재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unting Ability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and Mathematical Learning Potential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4 no.1, 2013년, pp.123 - 140  

최혜진 (강릉원주대학교 유아교육과) ,  조은래 (부산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김선영 (강릉원주대학교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unting ability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and mathematical learning potential.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75 young children of 4 & 5 years old who attended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 in the city of B. They were ev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 수학능력의 기초가 되는 수세기 하위요소들이 유아의 수학능력 및 수학학습잠재력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유아수학교육에서 수세기의 중요성을 재조명하고 유아교육현장에서 효과적인 수세기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유아의 수세기 능력이 유아의 현재 수학적 성취를 나타내는 수학능력과 수학학습에 대한 학습가능성을 예측해주는 수학학습잠재력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알아보았다. 또한 수세기 하위요인들 중 유아의 수학능력 및 수학학습잠재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하위 요인들을 밝혀 유아교육현장에서 효과적인 수세기 교수-학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연구문제에 따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유아의 수세기 능력이 유아의 현재 수학적 성취를 나타내는 수학능력과 수학학습에 대한 학습가능성을 예측해주는 수학학습잠재력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알아보았다. 또한 수세기 하위요인들 중 유아의 수학능력 및 수학학습잠재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하위 요인들을 밝혀 유아교육현장에서 효과적인 수세기 교수-학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 수학능력의 기초가 되는 수세기 하위요소들이 유아의 수학능력 및 수학학습잠재력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유아수학교육에서 수세기의 중요성을 재조명하고 유아교육현장에서 효과적인 수세기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학습잠재력의 측정을 역동적 평가의 중재과정에 해당하는 훈련검사와 전이검사에서 제공하는 단서 수의 차이로 보고 유아마다 제공해야 할 중재이 차이가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고자 한다. 결국 효율적인 학습자 및 전이자들이라면 가장 적은 수의, 그리고 일반적인 수준의 교수량으로도 학습준거에 도달한다고 보는 것이다(Hwang & Choi, 2000).
  • 교수량은 유아들이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지 못할 때 중재자가 단서를 유아들에게 제공하고 이때 해당 유아가 문제해결을 위해 필요로 한 단서의 수를 의미하는 것이다. 학습의 잠재력을 학습증진량으로 보는 관점에서는 중재자가 제공하는 도움의 양(단서 수)과는 상관없이 중재과정을 거친 후 점수가 얼마나 증진되었느냐에 관심을 갖지만, 교수량으로 보는 관점에서는 유아가 필요로 한 도움의 양(단서 수)의 많고 적음에 따라 학습잠재력의 높고 낮음의 정보를 얻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1세기는 어떤 사회라 할 수 있는가? 21세기가 글로벌 국가 경쟁사회와 다양한 정보 및 고도의 과학기술이 활용되는 사회로 변화됨에 따라 일상생활이나 직장에서 수학적 능력의 활용과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증가되고 있다(Hong, 2010). 이러한 첨단 과학의 급속한 발달과 정보화 사회에서 수학적 탐구 능력은 미래를 위한 준비과정으로 유아교육에서부터 필수적인 요소로 요구되고 있다.
생활 속에서의 유아의 수세기 활동은 왜 중요한가? 유아가 수를 인식하고 수의 개념을 획득하는 것은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발달되어 가는 복잡한 과정중의 하나이며, 수학은 기초 학문 분야의 하나로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인식하지 못하더라도 수학과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게 된다(Jeon, 2002). 생활 속에서 이루어지는 수세기 활동은 유아들에게 논리-수학적 사고를 할 수 있는 보다 많은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에 다른 어느 시기보다 중요하다.
유아의 수학능력은 어떤 상황에서 발현된다고 볼 수 있는가? 유아들은 자신의 생활 속에서 형식적 또는 비형식적으로 수와 관련된 경험을 하고 있다. 유아의 수학능력은 유아교육기관의 다양한 공간과 시간을 통해 형식적으로 가르치는 수 개념 교육 뿐 만 아니라 놀잇감을 나누어 갖거나 친구들과 간식의 개수를 헤아리는 등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발현되는데 이것이 유아수학교육의 출발점이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생일 케이크에 자신의 나이만큼 초를 꽂아 보기, 수 조작 영역에서 게임 순서 정하기, 흥미 영역에서 활동하는 유의의 수를 세어보기, 자기 집 전화번호 알아보기 등은 일상생활 속에서 수세기, 순서 짓기, 명명하기 등을 위해 수가 사용된다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Korea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udoff(1987). The validity of learning potential. In C. S. Lidz(Ed.), Dynamic assessment : An interactional approach to evaluating learning potential. New York : Guilfold Press. 

  2. Campoine, J. C, Brown, A. L., & Bryant, N. R.(1985). Individual differences in learning and memory. In R. J. Stenberg(Ed), Human abilities :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roach (pp. 103-126). New York : Freeman. 

  3. Chae, M., & Lee, W.(2006). Ability of Young Children's Counting Depending on Type of Material and Age. The Korean Journal Child Education, 15(3), 271-284. 

  4. Choi, A.(2010). A Study on the Initial Number Conceptions of Mathematics Underachievers in the Lower Grad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cheon, Korea. 

  5. Choi, H.(2003).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ability test for young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Korea. 

  6. Ferrara, R. A.(1987). Learning mathematics in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 The important of flexible use of knowledg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Illinois, Urbana Champaign. 

  7. Feuerstein(1979). The dynamic assessment of retarded performers : The learning potential assessment device, theory, instruments and techniques. Baltimore : University Park Press. 

  8. Fuson, K. (1988). Children's counting and concepts of numbers. New York : SpringerVerlag. 

  9. Gelman, R., & Gallistel, C. P. (978). The child's understanding of number. Cambridge, MA : Harvard University. 

  10. Han, S.(2008). An Assessment in Individualized Instruction-Learning : Dynamic Assessment perspective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0(1), 49-73. 

  11. Hong, H.(1991). Young Children's Oral Counting and Numerical Abilitie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12(1), 79-90. 

  12. Hong, H.(2010). The Future Directions and Challenges i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4(4), 29-51. 

  13. Hwang, H.(2007).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Personal Variables to Mathematical Learning Potential in Young Childre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1(4), 344-362. 

  14. Hwang, H., & Choi H.(2007). The Mathematical Ability Picture Test for Young Children. Seoul : Yangseowon. 

  15. Hwang, H., & Choi, H.(2000). The Vygotsky's Socio-Cultural Theor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mplications : Dynamic Assessment and Scaffolding for Young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5(2), 205-229. 

  16. Hwang, H., Kim, S., & Cho, E.(2011). A validation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Dynamic Assessment Tool for Pre-school Children's Mathematical Learning Ability.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6(5), 425-447. 

  17. Hwang, J.(2003). Three, Four, Five Year-Old Children's Counting In Terms of Material type and Order of Presentatio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8(3), 295-315. 

  18. Jeon, S.(2002). The effects of number-counting activities of young children on their mathematical concepts and solving abilities mathematical problem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Seoul, Korea. 

  19. Jung, H.(1999). A Study on the Counting of the Young Children. Journal of Young Child Studies, 2(1), 1-22. 

  20. Kim, E., Shin, E., & Kim, S.(1993).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 in Rational Counting, Addition and Subtraction in Three -, Four - and Five - Year - Old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14(1), 23-37. 

  21. Kim, K.(1990). A Theoretical Study on Young Children' is Counting.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0(1), 67-81. 

  22. Kin, Y., & Kim, J.(2002). The Counting Ability of Children Aged 3 to 5. The Korea Educatio, 29(1), 247-265. 

  23. Ko, E., & Jung, M.(2007). Review on dynamic assessment for young children's measurement ability assessment.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2(3), 317-336. 

  24. Choi, H., & Hwang, H.(2006). Exploring implications of the result through Dynamic Assessment of Mathematical Learning Ability for Young Childre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0(2), 5-31. 

  25.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07). The 2007 Revised Kindergarten Curriculum of the Republic of Korea. Seoul :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leaming early number (pp. 9-19). Buckingham : Open University. 

  26. Lee, J.(1999). A Study of Content and Method Used in Number Instruction forYoung Children from a Cultural Psychology Perspectiv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9(1), 111-131. 

  27. Lee, J., & Oh, J.(2004). The Effect of Young Children's Number Estimation Activity on Counting and Number Representation Abilities of Young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3(9), 1-21. 

  28. Lee, J., An, K., & Kim, S. (2001), A Study of Informal Number Knowledge in Three and Four-Year Old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1(1), 251-267. 

  29. Lee. M., & Hong, E.(2001). Analysis on trend mathematics education study for young children. Journal of Kongju Communication Arts University, 18(1), 23-38. 

  30. Munn, P. (1997). Children's beliefs about counting. In I. Thompson(Ed), Teaching and. 

  31. Nah, K.(2002). A Study on the Basic Concepts of Number and Operation of Young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 Early Childhood Education, 9(1), 83-113. 

  32. Seo, D., Yoon, E., & Mun, J.(2005). Number Counting of Children and their Ideas about Number Coun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9(2), 169-187. 

  33. Song, Y., & Choi, H.(1999). A Study on Young Children's Counting Knowledge , Arithmetic Story Problem Solving Ability , and Strategy.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9(1), 111-132. 

  34. Yoon, S.(2001). A study on the number representation according to the rational counting abilities of young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uksung Women's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