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 수세기(counting)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Children's Counting in Korea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1 no.3, 2015년, pp.129 - 148  

이정화 (부경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이루어진 유아 수세기(counting) 관련 연구물의 연구동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수세기를 주제어로 다루고 있거나 제목으로 명시한 국내의 학위 및 학술지 논문 59편을 선정하였고, 연구시기, 연구내용, 연구방법별 분석기준을 마련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시기별로 보면 수세기 연구물은 2001-2005년 사이에 현저하게 많았고 그 이외의 시기 동안에는 비슷한 비율로 발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용별로 보면 수세기의 발달적 경향을 알아보는 연구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수세기와 기타 수학적 개념 및 능력과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연구가 많았다. 셋째, 연구방법별로 보면 양적 연구가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고 질적 연구는 매우 미미했으며, 연구대상은 3-5세의 일반 유아에게 집중되어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에는 이전에 확인된 내용들에 대해 중복적인 연구를 피하고 새로운 주제가 탐색될 필요가 있으며 영아를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rends in research concerned with children's counting in Korea. A total of 59 studies on counting including journal articles, master's & doctoral thes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period of time, content, and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1)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우리가 익히 너무나 잘 알고 있다고 생각했던 수세기 활동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고, 무엇을 모르고 있으며, 앞으로 무엇이 더 필요한지를 면밀히 검토해볼 필요성을 제기한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수세기에 초점을 둔 국내 연구들의 동향을 분석해 봄으로써 유아수학교육의 기초로서의 수세기 활동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한다. 누리과정이 제정되기 이전에 유치원 교육과정에서는 수세기가 수학적 탐구의 중핵적인 내용으로 다루어지지는 않았다.
  • 본 연구는 수세기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진 국내 연구들의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수세기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문제에 따라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이에 대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 교육기관의 수세기 지도지침에는 어떤 것이 제시되어 있는가? 3세는 다섯 개, 4세는 열 개, 5세는 스무 개 가량의 구체물을 세어보고 수량 알아보기가 수세기관련 주요 내용이다. 이를 위한 지도 지침에는 집합 크기를 셀 때 수세기를 활용하도록 격려할것, 물체를 셀 때 효과적으로(즉, 전략적으로) 수 세는 방법을 안내할 것, 특히 4, 5세에게는 특정 수부터 이어 세기, 거꾸로 세기, 띄어 세기 등 수세기의 여러 방법을 경험하게 할 것 등이 제시되어 있어서 수세기가 유아교육기관에서 다루어져야 할 주요 교육내용임을 명시하고 있다.
수세기의 중요성 인식은 높지만 수세기 지도는 잘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는? 그럼에도 수세기를 포함한 수와 연산관련 활동의 지도는 월 2∼3회 혹은 월 1회 이하로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나 인식과 지도실태에 차이가 있음을 드러냈다. 수세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음에도 실제 지도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는 여러 가지 측면으로 생각해볼 수 있는데, 우선 유아교육 현장에 피아제의 수교육에 대한 견해가 강력한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이정희, 2009; 이지현, 1999). 즉, 유아기에는 사물간의 관계를 구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수 이전활동(예를 들면, 분류, 서열 등)이 더 우선되어야 한다는 인식 그리고 수세기, 수 조작, 연산 등과 같이 수를 다루는 활동은 유아기에 적절하지 않다는 인식이 많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 다른 이유로는 유아교육이 통합적 경험을 중시하는 교수방법을 강조하기 때문에 수세기 역시 통합적 경험으로 제시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실제로 최근 수세기 지도 실태를 조사한 한 연구(문선미, 2015)에 의하면, 3-5세 교사들 대부분은 수세기 활동을 다른 활동과 병행하여 실시하고 있으며 따라서 수세기 활동을 위한 교육계획안을 따로 준비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바 있다.
전통적 견해가 지배적이던 시대의 수세기는 어떤 특징이 있는가? 그러나 교육현장에서의 수세기 활동의 활용은 수세기에 대한 시대적 견해에 따라 차이를 보여 왔다. 예를 들어 수세기에 대한 전통적 견해가 지배적이던 시대에는 수세기를 수에 대한 이해의 출발점으로 보아 수에 대한 암기 및 계산을 중시했고 학습지를 통한 반복적 훈련 활동이 강조되었다(정현숙, 1999). 이러한 교육적 관점은 Piaget의 견해가 팽배해지면서 변화를 맞이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8)

  1. 강대은 (2003). 3,4,5세 유아의 수세기와 더하기, 빼기 능력 및 전략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강주희 (2012). 쌓기놀이 활동이 시각장애유아의 수세기능력 및 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고경나, 오은순 (2014). 유아 수와 연산 교육 실태와 교사 인식 조사. 육아지원연구, 9(1), 65-95. 

  4. 공정숙 (2003). 만 3세, 4세, 5세 유아의 수세기 능력과 나누기 개념에 대한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교육과학기술부 (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6. 권경옥 (1982). 유아의 연령수준에 따른 수세기 전략과 수보존개념과의 관계분석.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권영심 (1993). 유아 수개념 발달에서의 수세기와 짝짓기의 역할. 교육심리연구, 7(2), 1-31. 

  8. 기은옥 (2007). 2세와 3세 영유아의 수세기 능력과 나누기 개념에 대한 연구.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경철 (1990). 유아수학교육에서의 수세기에 관한 이론적 고찰. 유아교육연구, 10, 67-83. 

  10. 김미애 (1994). 수교육 교수 접근법에 따른 효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김수미 (2010). 초등학교 저학년 수학부진아의 수세기 능력 연구. 학교수학, 12(2), 137-150. 

  12. 김수정 (2003). 유아의 수세기 능력과 수표상 발달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김영실, 김지영(2002) 유아의 수세기 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 29(2), 247-265. 

  14. 김영실, 김지영, 김용님 (2003). 유아의 수세기, 분류하기, 배분하기 능력에 있어서의 계층차. 한국교육, 30(2), 163-186. 

  15. 김영중, 김경희 (2003). Gellman과 Galistel의 수세기 이론에 기초한 유아수학교육방향: 사회극놀이를 통한 유아수학교육프로그램 활동 제시. 제주관광대학 논문집, 9, 67-84. 

  16. 김은정, 신은수, 김소향 (1993). 3,4,5세 유아의 합리적인 수세기, 더하기, 빼기 능력 발달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14(1), 23-37. 

  17. 김지영 (2006). 유아 수학평가 도구를 사용한 수학 연구의 동향 분석: 1981년 이후 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6(1), 233-252. 

  18. 김지영 (2008). 자연물을 이용한 한 줌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량 어림하기와 수세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김지원 (1999). 정신지체아를 위한 수세기 CAI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김지은 (2009).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 연구. 중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나귀옥 (2009). 한국과 영국의 유아 수학교육 내용 및 교수활동 실제 비교(연구보고서 2007-013-B00079). 한국연구재단, 순천향대학교. 

  22. 라혜미, 이희영 (2012).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24(2), 246-262. 

  23. 문선미 (2015). 유아 수세기 지도에 대한 실태 및 교사의 인식.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문영주 (1982). 아동의 수세기와 수보존의 발달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민정아 (2008). 학령 전 아동의 수세기 능력에 따른 수, 양 차원의 변별. 카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박연숙 (2003). 수학관련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이 발달장애유아의 수세기와 일대일 대응학습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박향신 (1986). 유아의 큰 수세기 능력과 수세기, 수보전 개념 발달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박혜경 (2005). 유아 언어 관련 연구 동향: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 36(1), 393-406. 

  29. 박화섭 (2004). 구체물을 활용한 유아의 수세기 활동이 수개념과 더하기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방주옥 (1987). 아동의 기수개념 획득에 있어서 수세기 전략과 대응전략의 발달적 관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서동미, 윤은미, 문주형 (2005). 유아의 수세기 능력과 수세기에 대한 인식. 유아교육학회지, 9(2), 169-187. 

  32. 손경화 (2013). 스마트폰 학습용 앱을 이용한 수세기 학습이 뇌병변 장애 학생의 수세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손중곤 (2011). 퀴즈네어 막대를 활용한 교수프로그램이 지적장애아의 수세기와 덧셈, 뺄셈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4. 송연숙, 최혜진(1999). 유아의 수세기 지식과 산수 문장제 해결 능력 및 전략에 관한 연구. 아동교육, 9(1). 111-132. 

  35. 송연숙, 황해익 (2000). 유아의 수세기 지식과 산수문장제 해결능력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5(1), 49-69. 

  36. 송태근 (2004). 개별화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수세기 지도방안: 특수아를 중심으로.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신소영 (2012). 어린이집 교사관련 학위논문 분석.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신현기, 이병혁, 이태수, 박경옥 역. 아동의 수학발달 -연구와 실제의 적용-. 서울: 학지사. 

  39. 안진경, 김영실 (2005). 수학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교육과학연구, 36(1), 199-217. 

  40. 오재연, 이지현 (2004). 수어림하기 활동이 유아의 수세기와 수표상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9(1), 1-21. 

  41. 유민정 (2014).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초기 수세기 능력 조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2. 유수경, 황해익 (2009). 유아교육분야에 나타난 교사 전문성 관련 연구 동향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4(3), 293-314. 

  43. 윤선경, 조혜진 (2014). 유아교육기관장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6), 101-122. 

  44. 윤소영 (2001). 유아의 수세기 능력에 따른 수표상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5. 윤영숙 (2004). 악기를 활용한 수놀이 활동이 발달지체 유아의 수세기와 일대일 대응학습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6. 이만수, 홍은주 (2001). 국내 유아 수세기 연구의 동향 분석. 공주영상정보대 논문집, 8, 23-38. 

  47. 이미애 (2005). 유아 수학교육에 대한 소고: 최근 노문 분석을 통하여.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8. 이송희 (2014). 유아수학교육 관련 논문의 연구 동향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9. 이영미 (2006). 구체물을 활용한 큰 수에 관련된 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십진법과 자릿수 개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3), 37-58. 

  50. 이영주(1996). 유아수학교육 논문의 경향분석(1945-1995).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1. 이은희 (2005). 유아의 수세기 활동에 관한 고찰. 목포과학대학 논문집, 29, 71-88. 

  52. 이정수 (2004). 초등학교 저학년의 수세기 교육과 개선점. 교육논집, 5(2), 151-155. 

  53. 이정희 (2009). 유치원 교사가 지각한 유아수학교육의 내용-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 한국생활과학회지, 19(3), 597-607. 

  54. 이주영 (2013). 수 명명체계에 따른 수세기와 십진법 개념 이해.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5. 이지현 (1999). 유아 수교육 내용 및 방법에 관한 문화심리학적 고찰. 유아교육연구, 19(1), 111-132. 

  56. 이지혜 (2003). 유아의 수세기 행동 및 수세기에 대한 생각.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7. 이효정, 노희연, 김성숙 (2007). 유아수학교육 연구동향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50, 205-227. 

  58. 임옥경 (2004). 자극제시 조건에 따른 발달지체 유아의 수세기 오류유형 특성.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9. 전상숙 (2002). 유아의 수세기 활동이 수학성취와 수학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0. 정옥분 (2002). 아동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61. 정현숙 (1999). 유아의 수세기 활동에 관한 연구. 영유아교육연구, 2(1), 1-21. 

  62. 조삼아 (2007). 유아의 수세기와 분류하기, 배분하기 능력간의 관계.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3. 조은영(1993). 유아의 수세기 훈련프로그램이 수 개념과 수학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4. 조형숙, 박지희 (2014). 교사관련 국내 유아수학교육 연구동향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9(2), 1-20. 

  65. 채미영, 이위환 (2006). 자료 유형과 연령에 따른 유아의 수세기 능력. 아동교육, 15(3), 271-284. 

  66. 최형숙 (2007). 유아 측정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67. 최혜진 (2003). 유아수학능력검사 개발 연구.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68. 최혜진, 조은래, 김선영(2013). 수세기 능력이 유아의 수학능력과 수학학습잠재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 학회지, 34(1), 123-140. 

  69. 한석실 (1992). 논리조작과 수세기에 기초한 활동이 유아의 수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0. 한충현 (1998). 정신지체아의 수세기와 분류능력간의 상관관계.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1. 허해순 (2011). 세기를 활용한 덧셈 뺄셈 문장제 해결능력에 대한 고찰.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2. 홍혜경 (1990). 한국 유아의 수단어 획득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11(2), 5-19. 

  73. 홍혜경 (1991). 유아의 수세기능력과 수리능력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12(1), 78-90. 

  74. 홍혜경 (1992). 한국 유아의 수단어 획득을 위한 교수방법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13(1), 115-131. 

  75. 홍혜경 (2010). 영유아수학교육의 방향과 과제에 대한 고찰, 영유아교육학논집, 14(4), 29-51. 

  76. 황정숙 (2003). 자료유형(그림, 실물)과 제시 순서에 따른 3,4,5세의 수세기 능력. 열린유아교육연구, 8(3), 295-315. 

  77. Baroody, A. J. (199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der-irrelevance principle and counting skill.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2(1), 59-68. 

  78. Copley, J. V. (2004). The early childhood collaborative: A professional development model to communicate and implement the standards. In Clements, D. H., Sarama, J., & DiBiase, A. (Eds.). Engaging young children in mathematics.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79. Cross, C.T., Woods, T. A., & Scheingruber, H., (Eds.). (2009). Mathematics learning in early childhood: Paths toward excellence and equity.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c Press. 

  80. Fuson, K. C., Grandau, L., & Sugiyama, P. A. (2001). Achievable numerical understandings for all young children. Teaching Children Mathematics, 7(9), 522-526. 

  81. Gellman, R. & Galistel, C. R. (1978). The child's understanding of number.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82. Gelman, R. (1972). Logical capacity of very young child: Number invariance rules, Child Development, 43(1), 75-90. 

  83. Gelman, R. (1982). Basic numerical abilities. In R. J. Sternberg (Ed.), Advances in the psychology of human intelligence IV (pp. 181-205). NJ: Erlbaum. 

  84. Maclellan, E. (1997). The importance of counting. In I. Thompson (Ed.), Teaching and learning early number (pp. 33-40). Buckingham: Open University. 

  85. Munn, P. (1994). The early development of literacy and numeracy skills. Europ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Journal, 2(1), 5-18. 

  86. Payne, J. N., & Huinker, D. M. (1993). Early number and numeration. In R. J. Jensen (Ed.), Research ideas for the classroom: Early childhood mathematics (pp. 43-71). Old Tappan, NJ: Macmillan. 

  87. Schwerdtfeger, J. K., & Chan, A. (2007). Counting collections. Teaching Children Mathematics, 13(7), 356-361. 

  88. Thompson, I. (1997). Epilogue: The early years number curriculum tomorrow, In I. Thompson (Ed.), Teaching and learning early number (pp. 155-160). Buckingham: Open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