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청소년친화도시 평가지표 개발 및 타당화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Assessment Tool for Child Friendly Cities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4 no.4, 2013년, pp.83 - 104  

홍승애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이재연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ssessment tools to diagnose the child friendly level in a given community. To develop such assessment tools, the literature related to this issue was reviewed, and in order to reflect Korea specific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198 children and adol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청소년친화도시에 대한 개념을 재정리하고 지역사회의 아동․청소년친화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특히 아동․청소년친화도시에 대한 선행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우리나라 지역사회의 사회․문화적 특성과 아동․청소년의 욕구를 반영하기 위해 아동, 청소년, 그리고 부모가 생각하는 아동․청소년친화적 사회에 대한 개념과 구성요건을 탐색하여 그 내용을 평가지표에 반영하고자 한다.
  • 면접 내용은 UNESCO (2002)의 GUIC 프로젝트 인터뷰 가이드를 바탕으로 현재 살고 있는 지역사회 환경 중 아동청소년의 성장을 위한 ‘긍정적’인 요소(What do you think are the most positive features of your city, from a young person's perspective?), ‘부정적’인 요소(negative features?), ‘아동․청소년이 살기 좋은 지역’을 만들기 위해 ‘중요’한 요소 (What makes a city a good place in which to grow up?)를 개방형으로 질문하였다. 면접 질문을 중요요소뿐만 아니라 긍정적 요소, 부정적 요소도 함께 탐색하였는데, 이는 면접자와 함께 지역사회의 환경을 탐색하는 과정을 거쳐 보다 정확하게 중요 요소를 도출하기 위함이며, 아동청소년의 성장환경에 대한 전반적인 여건과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서이다. 본 평가지표의 구성요소를 위해서는 ‘중요’한 요소의 결과만 반영 하였다.
  • 그러나 선진외국(Gearin, 2008; Horelli, 2007; NSW, 2008; UNICEF, 2011) 보다는 구성요소가 구체적이고 포괄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책으로 바로 실천될 수 있도록 지방정부의 정책 영역을 준거 틀로 설정하였기 때문에 각 정책 영역별로 그 내용이 다양하게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즉, 교통 환경 및 시설, 주거 환경, 유해 환경, 복지 정책, 건강 의료 서비스 등 현재 지방자치단체에서 시행되고 있는 정책 내용을 아동․청소년의 관점에서 재분석하였기 때문에 구체적이며 면접 조사를 통해 정책 수요자의 욕구도 반영하였기 때문에 구성내용이 보다 포괄적인 것이다.
  • 그러나 우리나라는 사회 환경 변화에 따라 객관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정책과 제도가 수립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사건사고에 따른 사후처방적인 대응으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높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아동청소년의 성장 환경을 종합적체계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그 변화의 추이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아동청소년 친화도시 평가 지표를 개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청소년친화도시에 대한 개념을 재정리하고 지역사회의 아동․청소년친화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특히 아동․청소년친화도시에 대한 선행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우리나라 지역사회의 사회․문화적 특성과 아동․청소년의 욕구를 반영하기 위해 아동, 청소년, 그리고 부모가 생각하는 아동․청소년친화적 사회에 대한 개념과 구성요건을 탐색하여 그 내용을 평가지표에 반영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청소년친화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서울시는 어떤 노력을 하였나? 최근 우리나라 지역사회도 성장 지향적 개발 정책에서 벗어나 노인, 여성, 아동 등 취약계층이 보다 살기 편하고 모든 지역주민이 행복하게 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아동․청소년을 위해서는 서울시가 제 1기․제 2기 꿈나무 프로젝트 를통해 일반 아동․청소년의 성장환경을 개선하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시도하였으며(Lee et al., 2010), 서울시 성북구에서도 어린이 친화 도시 조성사업 을 진행하고 있다(Seongbuk-Gu, 2011). 또한 여성가족부는 화성․동탄 신도시 개발 시 청소년 유해환경 격리구획화를 이끌어 내는 등 아동․청소년친화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움직임이 일부 나타나고 있다(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1).
아동․청소년친화도시지표는 어떤 한계점이 있는가? 그러나 기존의 국제기구를 중심으로 개발된 아동․청소년친화도시지표(Chawla, 2002; UNICEF, 2010; UNICEF, 2011)는 아동권리협약의 이념을 기반으로 아동․청소년친화도시가 지향해야 할 정책적 지향점을 제시하고 있지만 지표의 내용이 제한적이며 우리나라 지역사회 여건과 아동․청소년이 처해있는 현실과 부합하지 않는 한계가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아동의 권리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 개발된 지표들(Kim et al.
아동․청소년친화도시의 목적은? 아동․청소년이 살기 좋은 환경 즉, 아동․청소년친화도시(Child Friendly Cities:CFC)는 지방정부차원에서 아동권리협약의 이념을 온전히 이행하고 실천하기 위해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도시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이다(UNICEF, 2004). 아동․청소년친화도시는 모든 아동과 청소년이 건강하게 성장하고, 안전하게 보호 받으며, 잠재능력을 충분히 발휘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아동권리협약에서 보장하는 이상적인 아동기를 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UNICEF, 2005). UNICEF(1996)는 아동․청소년은 도시 환경 속에서 특별한 욕구를 가진 존재이며, 국가와 지방정부는 현재 아동의 삶의 질을 높이고 미래 세대 존속을 위해 아동․청소년친화도시를 적극적으로 실천할 의무가 있음을 천명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Bartlett, S. (2002). Building better cities with children and youth. Environment & Urbanization, 14(2), 3-9. 

  2. Bradshaw, J., Hoelscher, P., & Richardson, D. (2006). Comparing child well-being in OECD countries : concepts and methods. Florence : UNICEF Innocenti research centre. 

  3. Chawla, L. (2002). Growing Up in an Urbanizing World. London : Earthscan. 

  4. Choi, C. Y., & Park, Y. K. (2006). Indicator of children's rights.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5. Gearin, E. (2009). The Kindered community : Using a child's perspective to improve urban planning and evaluate neighborhood friendlin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6. Haikkola, L., Pacilli, M. G., Horelli, L., & Prezza, M. (2007). Interpretations of urban child friendliness : A comparative study of two neighborhoods in Helsinki and Rome. Children, Youth and environments, 17(4), 319-351. 

  7. Horelli, L. (1998). Creating Child Friendly Environments - Case Studies on Children's Participation in Three European Countries. Childhood 5, 225-239. 

  8. Hong, S. A., Kim, H. Y., & Ryu, Y. K. (2007). Developing a guideline th the family friendly communities. Korea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9. Hwang, O. K., & Kim, Y. J. (2011). Developing a guideline to the youth friendly cities.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10. Jung, K. H., Lee, Y. K., Lee, S. J., & Yoo, S. H. (2008). Developing a guideline to the elder friendliness of highly aged communities. 

  11. Kim, S. J., & Kim, K. H. (2008). Assessment of the city's elder friendliness in seoul. Seoul Development Institute. 

  12. Kim, Y. J., Kim, H. J., Kim, J. S., Kim, J. H., Aan, J. H., & Lee, K. J. (2008). The state of korea youth rights III.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13. Ko, J. E. (2012). The neighborhood effect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Korean adults in Seou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ungang University. 

  14. Lee, J. Y., & Kang, S. H. (1997). Korean student's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s rights. 1(1), 65-83. 

  15. Lee, J. Y., & Lee, S. L. (1998).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Perception on the Children's Rights.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s rights. 11(1), 25-41. 

  16. Lee, J. H. (2007). Direction and task of the livable community making polic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 l Geogra, 13(1), 1-10. 

  17. Lee, J. Y., Hwang, O. K., & Lee, E. J. (2008). Seoul dream tree progect I. Seoul welfare foundation. 

  18. Lee, J. Y., Hwang, O. K., Kwun, O. L., & Choi, C. O. (2010). Seoul dream tree progect II. Seoul Youth center. 

  19. Lim, H. J., & Kim, H. S. (2011). The state of youth's rights I.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 Malone, K. (2004). UNICEF's Child Friendly Cities Initiative : a historical and critical review of a global program to support children in a rapidly urbanizing world, National Symposium on child friendly cities, Griffith University, 28-29 October. 

  21.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1). Guideline of 2011 Policy.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SNU Research center for Social welfare (2006). Key Child Indicators of Korea : 200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SNU R&D Foundation (2009). The state of Korea's Childre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1). Evaluation of social welfare policy of local government.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5. Mo, S. H., Kim, Y. J., Kim, Y. N., & Lee. J. S. (2010). Indicator of children's rights V.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6. Newell, P. (2003). Towards a European Child Friendly Cities Initiative. Florence : UNICEF Innocenti Research Center. 

  27. NSW(2008). Child Friendly Community Indicators - A literature review. NSW Commission for children & young people. Queensland : Griffith University press. 

  28. Prezza, M. (2004). Community psychology as a frame of reference for child friendly cities. In Horelli, L., & Prezza, M.(Eds), Child Friendly Environments : Approaches and Lessons. Espoo, Finland, Helsinki University of Technology, Center for Urban and Regional Studies, 35-53. 

  29. OECD(2009). Doing better for children. Paris : OECD. 

  30. Riggio, E. (2002). Child Friendly Cities, Environment & Urbanization, 14(2), 45-58. 

  31. Seo, M. H., Aan. H. A., & Lee, S. S. (2003). Developing of children's rights indicator.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32. Seongbuk-Gu Government (2011). Guideline of policy of Child Friendly Seongbuk-Gu. 

  33. Tashakkori, A., & Teddlie, C. (2003). Handbook of mixed metnods. CA : Sage Publication. 

  34. Tabachnick, B. G., & Fidell, L. S. (2001).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4th ed.). Needham Heights, MA : Allyn & Bacon. 

  35. The Korea Council for Children's Right (2001). Indicators of Children's well-being of Korea. Hakjisa. 

  36. UNESCO (2002). Growing up in cities. (http://www. unesco.org) 

  37. UNICEF (1996). Toward Child Friendly Cities : New York : United Nations Publication. 

  38. UNICEF (2001). Partnership to Create Child Friendly Cities : Programming for Child Rights with Local Authorities. New York : UNICEF/IULA. 

  39. UNICEF (2004). Building Child Friendly Cities : A Framework for Action. Florence : UNICEF Innocenti Research Centre. 

  40. UNICEF(2005). The State of the World's Children 2005 - Childhood under threat -. UNICEF. 

  41. UNICEF (2007). Child Poverty in Perspective : an Overview of Child Well-bing in Rich Countries. Florence : UNICEF Innocenti Research Centre. 

  42. UNICEF (2010). Child Friendly Community Assessment A Facilitator's Guide. Florence : UNICEF Innocenti Research Centre and Child watch International. 

  43. UNICEF (2011). Certification systems and other assessment mechanism for child friendly cities - A Study with a focus on europe -. Florence : UNICEF Innocenti Research Centre. 

  44. Yoo, H. J., Kim, Y. H., Lee, M. Y., Choi, J., & Moon, H. Y. (2010). Developing a guideline to the women friendly cities. Korea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45. Zero Population Growth (2001). Kids Friendly Cities Report Card 2001. (http://www. populationconnection.or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