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간호사의 관계지향 간호조직문화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 있어서 임파워먼트, 직무 스트레스,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Empowerment,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Relation-oriented Nursing Organization Culture and Turnover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9 no.3, 2013년, pp.372 - 381  

강순정 (제주한마음병원 수술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empowerment, job str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relation-oriented nursing organization culture on turnover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Methods: Participants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were 382 nurses working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간호사의 관계지향 간호조직문화와 이직의도 간 관련된 요인으로 임파워먼트, 직무 스트레스, 조직몰입을 중심으로 이직의도를 예측하는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지속적인 임파워먼트를 통한 간호사의 조직몰입을 증가시키고, 나아가 직무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유능한 간호사의 이탈을 방지하고 효율적인 인력관리를 통한 바람직한 간호조직문화를 형성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가설 설정

  • 가설 1. 관계지향 간호조직문화는 직무 스트레스, 이직의도, 임파워먼트,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 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임파워먼트는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직무 스트레스는 이직의도와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 조직몰입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파워먼트란? 임파워먼트는 둘 이상의 인간관계에서 서로를 믿고 신뢰하고 존경하며 타인의 파워 증진을 위해 서로 격려하고 지지하며 자원과 기회를 제공해 주는 정도로 Kanter (1983)의 이론을 근거로 Chandler (1986)가 개발한 도구를 Yang (1999)이 번역하여 수정 ‧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총 23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Likert 5점 척도로 측정되었고 점수가 높을수록 임파워먼트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직무 스트레스란? 직무 스트레스는 환경으로 인해 개인이 가지고 있는 생리적, 사회적인 자원을 초과하여 발생되는 개인 안녕의 위협 상태이며 또한 간호사가 업무상황에서 불안, 갈등, 압박감을 느끼는 것으로 환경적 또는 내적 요구를 충족한 능력 정도가 초과되거나 적응력이 혹사되어 일어나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Kim 과 Gu (1984)가 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직무 스트레스 도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직무 스트레스는 어떠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는가? 직무 스트레스는 환경으로 인해 개인이 가지고 있는 생리적, 사회적인 자원을 초과하여 발생되는 개인 안녕의 위협 상태이며 또한 간호사가 업무상황에서 불안, 갈등, 압박감을 느끼는 것으로 환경적 또는 내적 요구를 충족한 능력 정도가 초과되거나 적응력이 혹사되어 일어나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Kim 과 Gu (1984)가 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직무 스트레스 도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총 28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Likert 5점 척도로 측정되었고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 스트레스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ae, B. R. (2011).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9: Principles and practice. Seoul: CheongRam Publishing. 

  2. Chandler, G. E. (1986). The relationship of nursing work environment to empowerment and powerlessn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ollege of Nursing, University of Utah, Utah, Salt Lake. 

  3. Han, S. J. (200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4. Kanter, R. M. (1983). The change masters. New York: Basic Books. 

  5. Kim, D. E. (2008). AMOS A to Z. Seoul: Hakhyunsa. 

  6. Kim, G. B., & Lee, Y. J. (2008),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turnover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248-257. 

  7. Kim, K. J. (1986). An empirical study on turnover decision process model. Seoul: Korea University Press. 

  8. Kim, M. J., & Gu, M. O. (1984). The development of the stress measurement tool for staff nurses working in the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4 (2), 28-37. 

  9. Kim, M. R. (2007). Influential factors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The effect of nurs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commitment to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3, 335-344. 

  10. Kim, M. S., Han, S. J., & Kim, S. J. (2004). The development of the nursing organization culture measurement too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0, 175-184. 

  11. Kim, S. I., & Kim, J. A. (1997). A study on nursing unit culture, efficiency on nursing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3 (2), 17-40. 

  12. Kim, S. W., & Jung, H. Y. (1999). A review on assessment methods of fit for structural model. The Journal College of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38, 179-196 

  13. Kim, Y. J. (2013). Field research on the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in hospital sett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4. Lee, E. J., Han, J. Y., & Kim, M. Y. (2008). Effects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4, 5-12. 

  15. Lee, H. K. (2001). Nurses' perceptions of job-related empowermen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6. Lee, M. H. (1996).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involvement, and role stress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6, 467-782 

  17. Moon, S. J. (2010). Structural model of nurses' intentions of changing workplac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18. Mowday, R. T., Steers, R. M., & Porter, L. W. (1979).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4, 224-247. 

  19. Oh, E. H., & Chung, B. Y. (2011). The effect of empowerment on nursing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 391-401. 

  20. Park, J. S., & Lee, M. S. (2011). The effect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general hospital: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5 (3), 1-11. 

  21. Seong, T. J., & Si, G. J. (2006). Research methodology. Seoul: Hakjisa. 

  22. Shon, K. H. (2003).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general hospitals. The Korean Academic Associat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41, 2277-2294. 

  23. Suh, I. D., & Do, J. W. (2007).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 identifi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 culture, organization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s. Korea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14 (2), 77-97. 

  24. Yang, G. M. (1999).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owerment, the job-related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 work performance of nur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25. Yang, Y. S. (2008). ICU new nurses's job stres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6. Yoo, S. J., & Choi, Y. H. (2009). Predictive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in Daegu c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 16-25. 

  27. Yoon, J. A., & Lee, H. J. (2007). Internal marking, job str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in nursing organiz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3, 293-30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