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조직문화, 셀프리더십, 임파워먼트가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Self-Leadership and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General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0 no.2, 2014년, pp.206 - 214  

최승혜 (수원대학교 간호학과) ,  장인순 (한국성서대학교 간호학과) ,  박승미 (호서대학교 간호학과.호서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  이해영 (호서대학교 간호학과.호서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 this study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were explored in the context of organizational culture, self- leadership, and empowerment. Methods: Participants were 286 nurses drawn from 3 general hospitals.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과 간호조직문화, 셀프리더십,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고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구성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조직문화 유형, 셀프리더십, 임파워먼트를 중심으로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여 향후 바람직한 조직문화를 형성하고 조직유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혁신지향문화가 직무만족에, 관계지향문화와 혁신 지향문화가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간호조직문화, 셀프리더십, 임파워먼트가 간호사의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 도구는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항상 그렇다(5점)’로 측정하는 Likert형 척도이며, 각 유형별 점수가 높을수록 그 유형의 문화를 강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16]. 본 연구에서는 4개의 조직문화의 평균 점수 중 가장 높은 간호조직문화를 대상자가 인식하고 있는 간호조직문화로 정하였다. 도구의 신뢰도는 Han[16]의 연구에서 관계지향문화 Cronbach's ⍺=.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과 간호조직문화, 셀프리더십,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고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구성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간호조직문화, 셀프리더십, 임파워먼트는 간호사의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서 간호조직의 노력 여하에 따라 간호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고 이직의도를 낮추는데 기여할 수 있는 전략 마련의 핵심 주제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조직문화 유형, 셀프리더십, 임파워먼트를 중심으로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주요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바람직한 조직문화 형성 및 조직유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셀프리더십은 무엇인가? 셀프리더십은 개인적 효과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고안된 특정한 행동적 그리고 인지적 전략들로 구성되어 높은 성과를 올리도록 이끌어주는 자율적인 힘을 의미하며[9], 본 연구에서는 Manz의 셀프리더십 측정도구를 Kim[21]이 수정 ‧ 보완한 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 이 도구는 자기기대, 리허설, 목표설정, 자기보상, 자기비판, 건설적 사고의 6개 요인으로 각 3문항씩 총 18문항으로 구성되었다[21].
간호조직문화란 무엇인가? 간호조직문화란 간호조직 안에서 간호사들이 공유하고 있는 가치와 신념, 행동방식으로 간호조직 구성원들의 사고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양식, 규범과 기대를 의미한다[16]. 본 연구에서는 Han[16]이 개발한 병원 간호조직문화 측정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의미하며, 관계지향문화(5문항), 혁신지향문화(6문항), 위계지향문화(5문항), 업무지향문화(4문항)의 네 가지 유형, 총 2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임파워먼트를 측정한 도구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임파워먼트의 사전적 의미는 권력이나 권한을 부여하는 것, 능력을 주는 것, 가능하게 함, 허락함 등으로 규정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Son[22]의 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 도구는 역량(competence), 의미성(meaning), 자기결정성 (self-determination), 효과성(impact)의 네 하위 영역 각 3문항씩 총 1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22]. 이 도구는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4점)’로 평가하는 Likert형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임파워먼트의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2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Huang CC, You CS, Tsai MT. A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ethical climat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Nursing Ethics. 2012;19(4):513-529. http://dx.doi.org/10.1177/0969733011433923 

  2. Park KO. The system and policy related to nursing personnel. Journal of Nursing Query. 2006;15(2):5-17. 

  3. Han YH, Sohn IS, Park KO, Kang KH.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fessionalism, job involve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0;16(2):17-31. 

  4. Jones CB. Revisiting nurse turnover costs: Adjusting for inflation.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8;38(1): 11-18. http://dx.doi.org/10.1097/01.NNA.0000295636.03216.6f 

  5. Lee YM, Kim BM. The mediator effect of empowerment in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8;38(4):603-611. 

  6. Coomber B, Barriball KL. Impact of job satisfaction components on intent to leave and turnover for hospital-based nurse: A review of the research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7;44(2):297-314.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06.02.004 

  7. Tourangeau AE, Cranley LA. Nurse intention to remain employed: understanding and strengthening determina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6;55(4):497-509.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6.03934.x 

  8. Gifford BD, Zammuto RF, Goodman EA. The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unit culture and nurses' quality of work life. Journal of Healthcare Management. 2002;47(1):13-25. 

  9. Kim EJ, Lee JK.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self-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2010;33:81-101. 

  10. Lee MH.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hospital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998;4(2): 363-385. 

  11. Lee HS, Kwon ME. Effect of empowermen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oderated by self-leadership.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07;19(2):1-18. 

  12. Park JS.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on job satisfaction and intension of turnover perceived by national hospital employees.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2005;10(1):1-24. 

  13. Park JS, Lee MS. The effect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general hospital: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1;5(3):1-11. 

  14. Kim JK, Kim MJ. A review of research on hospital nurses'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4):538-550. 

  15. Stone PW, Mooney-Kane C, Larson EL, Pastor DK, Zwanziger J, Dick AW. Nurse working conditions, organizational climate, and intent to leave in ICUs: An instrumental variable approach. Health Services Research. 2007;42:1085-1104. http://dx.doi.org/10.1111/j.1475-6773.2006.00651.x 

  16. Han SJ.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1. 

  17. Watson L. Self-leadership: Becoming an exceptional leader. Radiologic Technology. 2004;75(6):457-467. 

  18. Seomun GA, Chang SO, Cho KH, Kim IA, Lee SJ. The relation between self-leadership and outcome of nursing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6; 12(1):151-158. 

  19. Laschinger HK, Finegan J, Shamian J. The impact of workplace empowerment, organizational trust on staff nurses' work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ealth Care Management Review. 2001;26(3):7-23. 

  20. Seo YY, Ju HO. Influence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on empowerment as perceived by new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1):88-95. 

  21. Kim HS. The relation between self-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teachers [master's thesis]. Seoul: Soongsil University; 2003. 

  22. Son BK. The relationship among nurses' empowerment, leadership style of head nurse, and organization climate [master's thesis]. Kyongsan: Daegu Catholic University; 2003. 

  23. Choi HJ. Comparison of health conditions, sleeping condition, job satisfaction, burn-out and commitment to organization job between nurses working only during day and those working in shift [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08. 

  24. Lee SM.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and personal factors on work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995;25 (4):790-806. 

  25. Wi SM, Yi YJ.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intent to leave, and nursing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 18(3):310-319. 

  26. Kim SH, Lee MA. A study of the reward and the job satisfaction perceived by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6;12(1):122-130. 

  27. Park JS, Park BN. The influence of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 task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by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8;14(2):150-158. 

  28. Wang X, Chontawan R, Nantsupawat 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of registered nurses in a hospital in China.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2;68 (2):444-451.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11.05762.x. 

  29. Lee MY, Kim KH. Influence of head nurse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staff nurse's psychological well-being, stress and somatization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18(2):166-17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