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상등급 (clinical ladder)별 간호역량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Nursing Competency Scale according to a Clinical Ladder System for Intensive Care Nurse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9 no.4, 2013년, pp.501 - 512  

박지은 (마산대학교 간호학과.연세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김소선 (연세대학교 간호대학.간호정책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 nursing competency scale according to a clinical ladder system for intensive care nurses. Methods: Index of content validation was done by 20 clinical experts and 80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s (ICU). Results: The process and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근거로 본 연구의 각등급별 역량 항목은 상위 등급으로 갈수록 그 문항수가 증가됨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 등급의 역량이 완성되기 위해서 어떤 기본역량이 기반이 되어야 하는지를 스스로 인식 하게 해 주고, 등급이 상향되면서 자신에게 요구되는 간호수준 또한 향상되어져야 한다는 책임감을 느끼게 할 수 있는 유용성이 있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상등급별 간호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상등급별로 요구되는 간호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함이다.
  • 이에 본 연구자는 중환자실 간호 업무를 토대로 하여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상등급에 따른 간호역량 측정도구 개발을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간호사의 훈련과 보상은 경력 간호사에 의한 질적인 간호제 공과 함께 이들이 임상에서 계속 환자 곁을 지키게 하는 계기와 동기부여로 작용하여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Buchan, 1997; Corley et al., 1994; Goodloe et al.
과거에 비해 환자의 중증도가 높아지고 있는 이유는? 이와 더불어 소비자 중심의 의료서비스 제공과 의료비 절감을 위한 외래 중심의 건강관리가 강조되고 임상지침서를 활용한 조기퇴원의 추세로 중환자실의 입실기준이 상향조정됨에 따라 환자의 중증도는 과거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아지고 있다. 이에 중환자실 간호사는 날로 높아져 가는 환자의 중증도와 평균수명의 연장에 따른 질병의 복잡성, 그리고 이와 관련된 다양한 기기 및 장비 관리를 위한 역량을 필요로 한다(Kim, 1991).
중환자 간호에서 최상의 간호를 제공 할 수 있는 체계적 역량을 요구하는 이유는? 중환자실은 생명의 위기에 처해 있는 환자를 위한 특수 의료기기와 개방된 병실구조, 다양한 의료요원을 접해야 하는 독특한 환경과 함께 기계 환기 보조에 대한 의존, 죽음과 미래 에 대한 두려움, 감각의 변화, 수면의 박탈 등의 문제들이 공존 하는 복잡한 상황 속에 있다(Hupcey, 2000; Woodrow, 1997). 따라서 중환자 간호는 환자의 생리적 요구뿐만 아니라 중환자에게서 호발되는 정서적 문제를 사정하여 적절한 간호 중재를 수행함과 동시에 타부서 직원 및 의료팀과도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통한 협력체제를 구축하여 최상의 간호를 제공할수 있는 체계적 역량을 요구한다(Benner, Tranner, & Chesla, 199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enner, P. (1984). From beginner to expert: Excellence and power in clinical nursing practice. Menlo Park: Addison-Wesley. 

  2. Benner, P., Tanner, C., & Chesla, C. (1992). From beginner to expert gaining a differential clinical world in critical care nursing. Advanced Nursing Science, 14 (3), 13-28. 

  3. Buchan, J. (1997). Clinical ladders: The ups and downs.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44 (2), 41-46. 

  4. Carper, B. A. (1997). Fundamental patterns of knowing in nursing.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 (1), 13-23. 

  5. Chinn, P. L., & Kramer, M. K. (1995). Theory and nursing: A systemic approach. St. Louis: Mosby. 

  6. Choi, J. S., & Eun, Y. (2006). A study on the clinical competence according to clinical ladder of operating room nurses. Journal of Academic Society Nursing Education, 12 (1), 60-69. 

  7. Corley, M. C., Farley, B., Geddes, N., Goodloe, L., & Green, P. (1994). The clinical ladder: Impact on nurse satisfaction and turnover.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4 (2), 42-48. 

  8. Dean-Baar, S. L. (1993). Application of the new ANA framework for nursing practice standards and guidelines.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8 (1), 33-42. http://dx.doi.org/10.1097/00001786-199310000-00005 

  9. Deckert, B., Oldenburg, C., Pattison, K. A., & Swartz, S. L. (1984). Clinical ladders. Nursing Management, 15 (3), 54-60. 

  10. Goodloe, L. R., Sampson, R. C., Munjas, B., Whitworth, T. R., Lantz, C. D., Tangley, E., et al. (1996). Clinical ladder to professional advancement program: An evolutionary process.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6 (6), 58-64. 

  11. Gustin, T. J., Semier, J. E., Holcomb, M. W., Gmeiner, J. L., Brumberg, A. E., Martin, P. A., et al. (1998). A clinical advancement program: Creating an environment for professional growth.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8 (10), 33-39. http://dx.doi.org/10.1097/00005110-199810000-00008 

  12. Hupcey, J. E. (2000). Feeling safe: The psychosocial needs of ICU patient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2, 361-367. 

  13. Jang, B. H. (2000). A study on critical care practice and development of standards for critical care nursing pract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4. Jang, K. S. (2000). A study on establishment of clinical career development model of nurses.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5. Kim, D. W. (2001). Modes on nursing care decision making in novice critical care nurses: Changes through experience.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6. Kim, G. J. (1991). The role of critical care nurses. Nursing life, 9, 46-67. 

  17. Kim, H. Y. (2005). A development of nursing competency for operating room nurses using a clinical ladder syst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18. Kwon, E. K. (2001). Evaluation of clinical competency weight and content validity of behavioral indicators for developing nursing performance apprais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un, Korea. 

  19. Lee, E. O., Lim, N. Y., & Park, H. A. (1998). Nursing medical research and statistics. Seoul: Soomoonsa. 

  20. Lynn, M. R. (1986).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35, 382-386. 

  21. Park, H. O. (2001). A study on the analysis of performance appraisal tools for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2. Torstad, S., & Bjork, I. T. (2007). Nurse leaders' view on clinical ladders as a strategy in professional development.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5, 817-824. http://dx.doi.org/10.1111/j.1365-2934.2007.00769.x 

  23. Woodrow, P. (1997). Nursing perspectives for intensive care.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13, 151-155. 

  24. Youk, S. Y. (2003). Nursing competency and indicator development by emergency nurse's clinical ladd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n Nursing Administration, 9, 481-4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