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간호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열의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silience on Work Engagement and Burnout of Clinical Nurse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9 no.4, 2013년, pp.525 - 535  

문인오 (원광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박숙경 (전북대학교 간호대학) ,  정정미 (전북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work engagement and burnout among clinical nurses according to resilience.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descriptive survey an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182 clinical nurses who worked in hospitals in "J" province. Data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간호사의 직무열의와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 중 회복탄력성의 긍정적 결과 뿐 아니라 부정적 결과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직무열의와 소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파악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열의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사의 회복탄력성, 직무열의, 소진을 조사하고 회복탄력성이 직무열의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며 그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의의는 임상간호사의 회복탄력성 수준을 파악하고 직무열의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것이며,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구체적 방안 모색을 위한 후속 연구를 촉진 시킬 것으로 본다.
  • 간호사는 다른 전문분야에 비해 특히 스트레스가 많은 근무환경에서 직무를 수행하므로 소진에 쉽게 노출되고 있고, 이것은 숙련된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높이고, 간호의 질 저하 등을 가져오므로 소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요인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개인이 역경으로부터 회복하여 긍정적 적응결과를 가져오는 회복탄력성이 간호사의 직무열의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직무열의를 증가시키고,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방안을 모색해보고, 간호사 개인의 발전과 간호실무 활동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가 많은 스트레스에 노출된 이유는 무엇인가? 간호사는 다양한 건강요구를 가진 대상자와 가족, 의료팀등 많은 사람들과 접촉해야 하며, 인간의 고통과 죽음을 다루고 즉각적인 판단이 요구되는 직무특성 및 업무의 과중함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한된 직무자율성 등으로 많은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다. 일정 수준의 스트레스는 간호사의 직무수행에 도움이 되고 개인을 성장시키는 원동력이 되지만 과도하게 반복되는 스트레스는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온다.
회복탄력성이란 무엇인가? 회복탄력성은 물질이나 조직의 유연한 탄력적인 성질을 나타내는 용어였으나(Dyer & McGuinness, 1996), 이 개념이 인간에게 적용되면서 스트레스나 역경을 극복하고 성공적으로 적응하는 긍정적인 힘, 그리고 스트레스의 부정적 효과를 중재하고 적응을 증진시키는 정서적 활기 또는 긍정적 성격의 특성으로 정의되고 있고(Kim, 2011) 회복탄력성의 핵심은 개인이 스트레스를 받기 전의 적응 양상이나 효능감을 가진 상태로 회복하는 힘과 능력에 있다. 회복탄력성이 있는 간호사는 개인의 내․외적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어려움을 극복하고 안녕감과 좋은 간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나, 그렇지 못한 간호사는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조절하고 관리하는 능력이 떨어져 소진, 이직의도와 같은 부정적인 결과에 직면할 수 있다(Gillespie, Chaboyer, Wallis, & Grimbeck, 2007).
간호사의 회복탄력성은 긍정적인 내적 에너지를 활성화시키는 것뿐 아니라 간호의 질과 조직의 효율성에까지 영향을 주는 필수적인 속성인 이유는 무엇인가? 회복탄력성은 물질이나 조직의 유연한 탄력적인 성질을 나타내는 용어였으나(Dyer & McGuinness, 1996), 이 개념이 인간에게 적용되면서 스트레스나 역경을 극복하고 성공적으로 적응하는 긍정적인 힘, 그리고 스트레스의 부정적 효과를 중재하고 적응을 증진시키는 정서적 활기 또는 긍정적 성격의 특성으로 정의되고 있고(Kim, 2011) 회복탄력성의 핵심은 개인이 스트레스를 받기 전의 적응 양상이나 효능감을 가진 상태로 회복하는 힘과 능력에 있다. 회복탄력성이 있는 간호사는 개인의 내․외적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어려움을 극복하고 안녕감과 좋은 간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나, 그렇지 못한 간호사는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조절하고 관리하는 능력이 떨어져 소진, 이직의도와 같은 부정적인 결과에 직면할 수 있다(Gillespie, Chaboyer, Wallis, & Grimbeck, 2007). 그러므로 간호사의 회복탄력성은 긍정적인 내적 에너지를 활성화시키는 것(Kim, 2011) 뿐 아니라 간호의 질과 조직의 효율성에까지 영향을 주는 필수적인 속성인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bdelhadi, N., & Drach-Zahavy, A. (2011). Promoting patient care: Work engagement as a mediator between ward service climate and patient-centered car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8, 1276-1287.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11.05834.x 

  2. Baik, D. W., & Yom, Y. H. (2012).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8, 271-280.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3.271 

  3. Bakker, A. B., & Demerouti, E. (2007).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State of the art.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2, 309-328. http://dx.doi.org/10.1108/02683940710733115 

  4. Cho, E. A., & Oh, H. E. (2011).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depression, quality of life, resilience and immune responses in breast cancer surviv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 285-293. http://dx.doi.org/10.4040/jkan.2011.41.3.285 

  5. Choi, H. Y., & Chung, N. W. (2003). Perfectionism tendency, social support, and burnout among counselor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8, 279-300. 

  6. Choi, J. H., & Kang, H. A. (2012). Job stress, personal resources, burnout, and work engagement in child counselors.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8, 231-252. 

  7. Dyer, J. G., & McGuiness, T. M. (1996). Resilience: Analysis of the concept.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10, 276-282. http://dx.doi.org/10.1016/S0883-9417 (96)80036-7 

  8. Edelwich, J., & Brodsky, A. (1980). Burn-Out: Stages of disillusionment in the helping professions. New York: Human Sciences Press. 

  9. Garmezy, N. (1993). Children in poverty: Resilience despite risk. Psychiatry, 56, 127-136. 

  10. Gillespie, B. M., Chaboyer, W., & Wallis, M., & Grimbeck, P. (2007). Resilience in the operating room: Developing and testing of a Resilience Model.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9, 427-438.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7.04340.x 

  11. Hong, S. (2009). Concept development of resilience-focusing on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Nursing Education, 15, 109-119. 

  12. Kim, B. N., Oh, H. S., & Park, Y. S. (2011). A study of nurse's resilience, occupational stress and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 14-23. 

  13. Kim, D. H., & Yoo, I. Y. (2004).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resilience among children with nephrotic syndr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534-540. 

  14. Kim, G. M., Park, E. Y., Lee, Y. S., & Lee, J. N. (2012). Resilience of families with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1, 197-209. 

  15. Kim, J. W. (2011). Resilience. Goyang: Wisdom house Inc. 

  16. Kown, S. H., & Lee, S. Y. (2010). An analysis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resilience.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7, 137-157. 

  17. Lee, A. S., Yoon, C. K., & Lee, J. M. (2012).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the depression of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ccupation Health Nurses, 21, 46-54. 

  18. Lawrence, L. A. (2011). Work engagement, moral distress, education level, and critical reflective practice in intensive care nurses. Nursing Forum, 46, 256-268. 

  19. Maslach, C., & Jackson, S. (1981). Maslach burnout inventory manual. Palo Alto: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20. Park, E. H., & Jeon, S. B. (2010). The investigation of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that influence resilience in kindergarten teacher.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7, 253-76. 

  21. Park, M. S. (2010). The factors that affect work engagement and work burnout for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22. Reivich, K., & Shattea, A. (2003). The resilience factor. New York: Broadway Books. 

  23. Sawatzky, J. V., & Enns, C. L. (2012). Exploring the key predictors of retention in emergency nurse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 696-707. 

  24. Schafeli, W. B., Salanova, M., Gonzalez-Roma, V., & Bakker, A. B. (2002). The measurement of engagement and burnout: A confirmatory factor analytic approach.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3, 71-92. http://dx.doi.org/10.1023/A:1015630930326 

  25. Seligman, M. E. P. (2002). Positive psychology, positive prevention, and positive therapy. New York, NY: Wiley. 

  26. Setti, I., & Argentero, P. (2011). Organizational features of workplace and job engagement among Swiss healthcare workers. Nursing and Health Sciences, 13, 425-432. http://dx.doi. org/10.1111/j.1442-2018.2011.00636.x 

  27. Sim, M. K., Shin, Y. H., & Kim, T. I. (2006). Resilience, coping and adjustment to illness in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2, 151-159. 

  28. The Resilient Educator. (2007). Skills to succeed and flourish in today's schools. Retrieved April 26, 2013, from http://www.heartmath.org/training/educators/resilient-educator.html 

  29. Yi, R., Gim, W. S., & Shin, K. H. (2006). The role of emotional labor strategies in the job demand-resource model with burnout and engagement.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9 (4), 573-59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