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 장수 지역 거주 노인의 삶의 질 모형구축
Construction of a Model of Quality of Life in Longevity Region Dwelling Elder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4 no.3, 2013년, pp.302 - 313  

강서영 (광주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박인혜 (전남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 quality of life and to construct a model of quality of life in longevity region dwelling eld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to July, 2010 through direct interviews and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survey with 171 subjec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장수 지역 거주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규명하고 직접 및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경로를 파악하여 장수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 전략을 수립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선행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경제적 상태,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를 외생변수로 하고, 건강행위, 건강상태, 우울 및 삶의 질을 내생변수로 하였다.
  • 본 연구는 장수 지역 거주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이들 요인의 직접 및 간접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장수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 전략을 수립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장수 지역 거주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논의하기에 앞서, 장수 지역 혹은 장수와 관련한 선행연구들이 주로 장수 요인을 파악하는데 초점을 맞춘 결과들이 많아 본 연구결과와 비교하는데 제한점이 있으므로, 일반 노인을 대상으로 삶의 질을 파악한 선행연구들과 함께 비교하여 본 연구결과를 논의하였다.
  • 본 연구는 장수 지역 거주 노인의 삶의 질을 설명하고 예측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행연구의 문헌고찰을 근거로 하여 장수 지역 거주 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가설적 모형을 제시한 후 모형의 자료에 대한 적합도와 연구 가설을 검증하는 구조방정식 모형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수 지역 거주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관계를 규명하는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검증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밝혀진 장수 관련 요인과 삶의 질 관련 요인을 변수로 하는 개념적 틀을 구성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 장수 지역의 하나인 전북 S군 소재 마을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삶의 질을 조사하여 장수 지역 거주 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모형을 구축하고자 시도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를 통해 장수 지역 거주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함으로써, 장수 지역을 포함한 다른 지역 거주 노인들의 장수와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과 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밝혀진 장수 관련 요인과 삶의 질 관련 요인을 변수로 하는 개념적 틀을 구성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 장수 지역의 하나인 전북 S군 소재 마을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삶의 질을 조사하여 장수 지역 거주 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모형을 구축하고자 시도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를 통해 장수 지역 거주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함으로써, 장수 지역을 포함한 다른 지역 거주 노인들의 장수와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과 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장수 지역 거주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이들 요인의 직접 및 간접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장수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 전략을 수립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장수 지역 거주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논의하기에 앞서, 장수 지역 혹은 장수와 관련한 선행연구들이 주로 장수 요인을 파악하는데 초점을 맞춘 결과들이 많아 본 연구결과와 비교하는데 제한점이 있으므로, 일반 노인을 대상으로 삶의 질을 파악한 선행연구들과 함께 비교하여 본 연구결과를 논의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는 기존 문헌과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경제적 상태,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건강행위, 건강상태 및 우울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원인변수인 경제적 상태,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가 건강행위, 건강상태 및 우울이라는 매개변수에 영향을 주고 이들이 다시 결과변수인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구의 고령화는 어떤 노인 문제를 발생시키는가? 이처럼 빠르게 진행되는 인구의 고령화는 다양한 노인 문제를 발생시킨다. 즉, 노년부양비 및 의료비 지출 증가와 같은 경제 문제, 노인의 사회적 역할, 지위 및 삶의 질 보장과 같은 국가 차원에서 해결해야 할 사회 문제를 동반한다. 더불어 노인 개인의 차원에서는 노화에 따른 신체적, 정신적 증상을 경험하면서 소득상실로 인한 빈곤, 가정에서의 역할 축소 및 고독 등과 같은 사회 ․ 심리적 변화에 적응해야 하는 상황을 겪게 되며, 이러한 변화는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가져온다(Kang, 2008). 노인의 삶의 질은 자신의 일생에 관한 행복 및 생의 목표 달성과도 직접 연결되며, 노인의 성공적인 삶을 파악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므로 그 동안 노인의 삶의 질 연구는 여러 측면에서 꾸준히 수행되어 왔다.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는 삶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어떻게 변화시켰는가? 한편,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는 삶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단순히 오래 사는 것’에서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으로 변화시키면서 ‘장수(長壽)’ 혹은 ‘성공적인 노화’ 등에 대해 관심을 갖도록 만들었다. 일반적으로 장수는 평균 수명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장수 지역을 구분할 때도 그 지역 주민의 평균 수명으로 비교하고 있다(Park, 2002).
장수 지역이란? 장수 지역이란 장수도(85세 이상 노인 수/65세 이상 노인수×100) 6.0% 이상인 일정한 지역을 말하는데(Park, 2002), 본 연구 지역은 인구총조사(The Statistics Korea, 2010) 결과 85세 이상 노인 수가 187명, 65세 이상 노인 수가 2,279명이었으며 장수도 8.21%로 장수 지역 기준에 합당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ek, S. S. (2005). A study of the model construction of the quality of life in single aged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2.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2), 191-215. 

  3. Belloc, N., & Breslow, L. (1972). Relationship of physical health status and health practices. Preventive Medicine, 1 (3), 409-421. 

  4. Buono, M D., Urciuoli, O., & de Leo, D. (1998). Quality of life and longevity: A study of centenarians. Age and Ageing, 27 (2), 207-216. 

  5. Choi, M. A., Kim, J. I., Chae, Y. R., Jeon, M. Y., & You, C. H. (2004). Levels of physical activity and relationship of factors related to physical activity in Korean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isng, 6 (1), 99-106. 

  6. Choi, S. J. (2002). An exploratory study on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contributing to longevity: Research on characteristics of centenarians in Korea, Japan and Finland.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2 (2), 183-207. 

  7. Cohen, S., & Hoberman, H. M.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 (2), 99-125. 

  8. Han, H. K., Choi, S. S., Kim, M. W., & Lee, S. D. (2005). Food habits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long-lived elderly people in Ganghwa-gun Area.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0 (1), 111-121. 

  9. Hyde, M., Wiggins, R. D., Higgs, P., & Blane, D. B. (2003). A measure of quality of life in early old age: The theory, development and properites of a needs satisfaction model (CASP-19). Aging & Mental Health, 7 (3), 186-194. 

  10. Jacobsen, L. A., Kent, M., Lee, M., & Mather, M. (2011). America's aging population. Population Bulletin, 66 (1), 1-16. Retrieved June 10, 2011, from http://www.prb.org/pdf11/aging-inamerica.pdf 

  11. Kang, L. J. (2008). The effects of related factors on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6 (5), 129-142. 

  12. Kim, G. S. (2010). AMOS 18.0 Structural equation model. Seoul: Hannarae Publishing Co. 

  13. Kim, S. Y. (2003).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elderly people: Self efficacy,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5 (2), 171-181. 

  14. Liang, J. (1986). Self reported physical health aged adults. Journal of Gerontology, 41 (2), 248-260. 

  15. Netuveli, G., Wiggins, R. D., Hildon, Z., Montgomery, S. M., & Blane, D. (2006). Quality of life at older ages: Evidencefrom the English longitudinal study of aging(wave1).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60 (4), 357-363. 

  16. Oh, H. S. (1993).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of Korean women with arthriti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exas, Austin. 

  17. Park, S. C. (2002). Korean centenarian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18. Park, E. S., Kim, S. J., Kim, S. I., Chun, Y. J., Lee, P. S., Kim, H. J., et al. (1998). A structural model for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18 (3), 37-61. 

  19. Park, E. Y., Park, H. C., Park, K. S., Sohn, S. J. (2000).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health behaviors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Family Medicine, 21 (11), 1436-1450. 

  20. Park, S. O., Park, S. C., Choi, S. J., Lee, J. J., Han, G. H., Lee, M. S., et al. (2007). Long-lived persons and areas of longevity in Korea: Changes and response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1. Sheikh, J. I., & Yesavage, J. A. (1986).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Clinical Gerontologist, 5 (2), 165-173. 

  22. Sherer, M., Maddux, J. 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 Rogers, R. W.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2), 663-671. 

  23. Sohn, S. Y. (2006). A model construction of the quality of life in the rural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4. Sohng, K. Y., Cho, O. H., Moon, J. S., & Chaung, S. K. (2000). A comparative study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patterns, self-esteem and self-efficacy between Korean elderly and Korean-American elderly. Journal of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4 (2), 355-371. 

  25. Song, M. R., Kim, E. K., & Yu, S. J. (2010). A study of ADL, social support, self-efficacy between the aged groups with and without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24, 61-80. 

  26. Song, M. S. (1991). Construction of a functional status prediction model for the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7. The Statistics Korea. (2010). Population census. Retrieved June 10, 2011, from http://www.kosis.kr/region/region_04List.jsp# 

  28. United Nations. (2009). World population ageing 2009.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Retrieved August 30, 2010, from http://www.un.org/esa/population/publications/WPA2009/WPA2009_WorkingPaper.pdf 

  29. Wingard, D. L., Berkman, L. F., & Brand, R. J. (1982). A multivariate analysis of health related practices: A nine year mortality follow up the Alameda county stud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16 (5), 765-7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