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얀 슈반크마이에르의 <영원의 대화>에 나타난 이미지 분석: 들뢰즈 『시네마』 이론의 이미지 분류를 중심으로
Analysis of Images Found in by Jan Svankmajer: Focusing on Classification of Images in the Theory of Cinema by Deleuze 원문보기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no.32, 2013년, pp.43 - 61  

염동철 (홍익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 ,  임용섭 (홍익대학교 대학원 영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질 들뢰즈(Gilles Deleuze)가 말하는 "일탈적 운동(aberrant movent)"은 '닫혀 있지 않은' 또는 '무한한' 가능성을 나타내며 존재(being)가 존재물(thing)로 드러내기까지의 무한한 잠재적(virtual)인 힘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들뢰즈의 논리를 바탕으로 얀 슈반크마이에르(Jan Svankmajer)의 애니메이션 중 하나인 <영원의 대화>(Dialogue Factual)를 분석하고 분류하였다. 그 결과 첫째, 폴 웰스(Paul Wells)의 실험 애니메이션의 일곱 가지 특성에 의거해 볼 때 <영원의 대화>가 실험적 애니메이션의 특성을 모두 갖추고 있었으며 칼 드레이어의 <잔 다르크의 수난>과의 비교를 통한 작품 분석에서는 얀 슈반크 마이에르의 작품이 감각운동 도식에 순응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일탈성은 들뢰즈의 시간-이미지(the time-image)와 관련 되어 있으며 시간-이미지의 중요 개념인 "수정 이미지"가 <영원의 대화>에 내재되어 있음을 잭슨 폴락의 작품인 <연보라빛 안개 넘버1>(Lavender Mist Number 1)과의 비교를 통해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쇼트 분석을 통해 <영원의 대화>에 운동-이미지(the movement-image)와 시간-이미지가 공존함을 알 수 있었으나 그 둘은 정확한 이분법으로의 분류가 불가능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berrant movement that Gilles Deleuze wanted to describe represents 'unclosed' or 'unlimited' possibility; it also means that a being has unlimited virtual power until it turns into a thing. In this paper, I analyzed and classified "Dialogue Factual,"one of the animation films by Jan Svankmaj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세 번째는 들뢰즈의 직접적인 시간-이미지가 얀 슈반크마이에르의 <영원의 대화>에서 나타나는 양상을 분석한다. 그를 통해 얀 슈반마이에르의 애니메이션이 운동-이미지와 시간-이미지로 양분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고는 들뢰즈의 시네마 이론의 이미지 분류를 중심으로 얀 슈반크마이에르의 를 분석하여 보았다.
  • 본고는 얀 슈반크마이에르의 애니메이션인 에서의 몽타주에서 표출되는 이미지를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분류해 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7) 의 몽타주들의 각 쇼트들은 구성되기 전에 이미 시간의 의미를 잠재적으로 가지고 있다.
  • 둘째, 에서 오브젝트들의 움직임은 일정한 규칙으로 이동하여 결합되지 않는다.
  • 첫째, 에서 얀 슈반크마이에르의 캐릭터들은 고정된 형상을 유지하지 않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질 들뢰즈가 말하는 일탈적 운동이란? 질 들뢰즈(Gilles Deleuze)가 말하는 "일탈적 운동(aberrant movent)"은 '닫혀 있지 않은' 또는 '무한한' 가능성을 나타내며 존재(being)가 존재물(thing)로 드러내기까지의 무한한 잠재적(virtual)인 힘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들뢰즈의 논리를 바탕으로 얀 슈반크마이에르(Jan Svankmajer)의 애니메이션 중 하나인 (Dialogue Factual)를 분석하고 분류하였다.
애니메이션 영원의 대화를 만든 사람은 누구인가? 본고는 얀 슈반크마이에르의 애니메이션인 <영원의 대화>에서의 몽타주에서 표출되는 이미지를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분류해 보고자 한다.
얀 슈반크마이에르의 애니메이션인 영원의 대화에서의 몽타주에서 표출되는 이미지를 어떻게 분석하고 분류하고자 하는가? 첫째, <영원의 대화>에 나타난 이미지를 들뢰즈의 시네마 이론을 중심으로 회화와 영화의 이미지로 비교 분석한다. 둘째, 실험 애니메이션의 정의를 일곱 개의 범주로 분류한 폴 웰스(Paul Wells)의 이론을 바탕으로 얀 슈반크마이에르의 <영원의 대화>를 분석한다. 세 번째는 들뢰즈의 직접적인 시간-이미지가 얀 슈반크마이에르의 <영원의 대화>에서 나타나는 양상을 분석한다. 그를 통해 얀 슈반마이에르의 애니메이션이 운동-이미지와 시간-이미지로 양분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김윤아, 예술로서의 애니메이션, 일지사, 2010. 

  2. 데이비드 노먼 로도윅, 김지훈 역, 질들뢰즈의 시간기계, 그린비, 2005. 

  3. 폴 웰스, 한창완, 김세훈 역, 애니마톨로지, 한울아카데미, 2001. 

  4. 전동열, 움직이는 그림"과 의미의 관계에 대한 기호학적 고찰 - 들뢰즈의 퍼얼스 수용을 중심으로, 독일어문학 제58집, 2012. 

  5. Gilles Deleuze, translated by Hugh Tomlinson & Robert Galeta, CINEMA2: the time-image, minesota, 1989. 

  6. , (Dialogue Factual, 1982). 

  7. , (Le Printemps), 주쎄페 아르침볼도(Giusppe Archimboldo), 1573. 

  8. , (Lavender Mist Number 1), 잭슨 폴락(Jackson Pollock), 19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