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폐소생술(CPR) 및 자동제세동기(AED)에 대한 웹사이트 내용성 분석
Analysis of Contents of Website Information about CPR an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7 no.3, 2013년, pp.29 - 44  

강보라 (아주대학교 응급의학과) ,  양현모 (청주서부소방서) ,  이인수 (한국교통대학교 응급구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the users, who wants to know the information about CPR and AED on the Internet, more accurate information which is analyzed and considered with the factors to improve the contents of them. The source of the instrument for this study is from the contents of twen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럼에도 본 연구는 심폐소생술 및 자동제세동기에 관심 있는 일반인들이 웹사이트를 통해 제공 받을 수 있는 정보의 품질 및 부정확한 정보의 내용 등을 분석하여, 향후 인터넷상의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정확하고 적절한 인터넷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략 마련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목격자에 의한 응급처치 제공이 중요한 심폐소생술 시행 및 자동제세동기 사용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국내 인터넷 웹사이트의 내용제시 여부, 내용정확도와 부정확한 정보를 평가 및 분석하였다. 특히, 이들 웹사이트가 교육기관 웹사이트인지 비교육기관 웹사이트인지에 따라 내용성 및 부정확한 정보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해 보았다.
  • 심폐소생술은 일시적으로 심폐기능부전 상태에 빠진 환자의 생명을 소생시키는 기초적인 의료기 술로 모든 의료인과 다수의 국민이 관심을 갖어야 하는 중요한 의료 기술이다. 본 연구는 소비자 건강정보원으로서 급부상하여 자리매김하고 있는 인터넷 웹사이트의 심폐소생술 시행 방법과 자동제세동기 사용 방법에 대한 내용 제시 여부, 내용 정확도와 부정확한 정보를 평가 및 분석하여 향후 심폐소생술 및 자동제세동기와 관련하여 정확한 인터넷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네이버’와 ‘다음’등의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웹사이트와 인터넷 카페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심폐소생술’,‘CPR'과‘자동제세동기’, ‘AED' 등의 검색어로 검색을 시행하여, 24개의 웹사이트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 본 연구는 인터넷 웹사이트상의 심폐소생술과 자동제세동기 관련 정보 내용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 심폐소생술 및 자동제세동기 관련 웹사이트의 내용성과 부정확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대한심폐소생협회에서 미국심장학회의 2010년 심폐소생술 및 심혈관 응급처치에 관한 지침을 기반으로 2011년 3월에 발간한 한국형 공용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하였다[5].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웹사이트상의 심폐소생술 및 자동제세동기 관련 정보를 일부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결과의 정확도를 떨어뜨릴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한시적인 분석이나마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 향후 웹사이트에서 정확하고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략 마련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심폐소생술 및 자동제세동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 웹사이트의 내용성 및 부정확한 정보를 분석하고, 특히 이들 웹사이트가 교육기관 웹사이트인지 비교육기관 웹사이트인지에 따라 내용성 및 부정확한 정보에 차이자 있는지 검증해 보고자 시행되었다. 향후 인터넷상에 심폐소생술 실시 및 자동제세동기 사용과 관련되어 적절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목격자에 의한 응급처치 제공이 중요한 심폐소생술 시행 및 자동제세동기 사용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국내 인터넷 웹사이트의 내용제시 여부, 내용정확도와 부정확한 정보를 평가 및 분석하였다. 특히, 이들 웹사이트가 교육기관 웹사이트인지 비교육기관 웹사이트인지에 따라 내용성 및 부정확한 정보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중 심폐소생술과 자동제세동기에 대하여 일반인이 사용할 수 있는 근거가 되는 것은? 우리나라에서는 2008년 12월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선의의 응급의료에 대한 면책’을 신설하여 일반인들의 사고 목격시 119로 신고한 목격자들의 적극적인 구호활동을 하도록 하였으며 심폐소생술과 자동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에 대하여 일반인이 사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자동제세동기 보급을 위하여 공공기관과 일정 가구 이상의 아파트 단지 등의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우리나라 심정지 생존율은? 8% ,일본 27% 와 비교해 보았을 때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수준이다[10]. 우리나라 심정지 생존율 역시 3% 정도로 선진국의 심정지 생존율인 미국 8.4%, 일본 10.
우리나라의 병원 전 심정지 환자 중 목격자에 의한 CPR 시행률은? 그러므로 구급대원이 현장으로 오기 전까지 목격자에 의한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시행 및 자동제세동기 사용이 심정지 환자의 생명과 예후에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2만 5천여명 정도 발생하는 병원 전 심정지 환자 중 목격자에 의한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2% 정도로 선진국의 심폐소생술 시행률인 스웨덴 55%, 북아메리카의 30.8% ,일본 27% 와 비교해 보았을 때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수준이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T.M. Song, E.J. Park, E.J. Lim(2002), Demand analysis of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American Medical Informatics Association, Vol.8(2);17-24. 

  2. J.M. Kim, H.G. Ryu(2010), A Study On Web Contents Accessibility of Hospital Web Site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4(2);33-46. 

  3. J.S. Han(1999), The Effectivenes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Targeted for Nursing Students,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6(2);493-506. 

  4. M.S. Kim, J.D. Yeo(2007), A Study on the Tasks 119 Fire Service -The Two City of Fire & Disaster Management Department-,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1);90-109. 

  5.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ssocia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ational Medical Center, Central Emergency Medical Center(2011), Development and deployment of public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guidelines, pp.1-28. 

  6. G.H. Lee, S.O. Hwang, J.W. Lee, J.C. Lim, H. Kim, G.H. Gang, S.H. Kim, B.S. Lee, O.J. Kim(1997), Training Nurses, Trainee for Emergency Medical Technitian, and Firefighters to use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the korean society emergency medicine, Vol.8(4);505-512. 

  7. E.G. Jeong, H.W. Yoon(2013), The Effectiveness of Quality Control of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s on Survival Rate of Cardiac Arrest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7(1);21-34. 

  8. H.A. Bae(2008), Public Access Defibrillation Program,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law, Vol.16(1);7-22. 

  9. J.G. Kim(2002), Clinical Analysis of Resuscitation in Victims of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 the korean society emergency medicine, Vol.13(1);5-11. 

  10. http://www.chasilver.com/05_service/board_atta ch_download.asp?id170 

  11. N.M. Gang, J. Kim, T.H. Tak(1999), Unlike the Internet, American Medical Informatics Association of evaluation of health information site in Korea, Vol.5(1);119-124. 

  12. M.S. Sim, G.J. Song, P.J. Choi, W.Y. Kwon, H.G. Song, Y.K. Jeong(2003), Comparison of the reliability and accuracy of resuscitation basic information on the Internet in Japan and South Korea. Journal of Emergency, Vol.14(1);93-98. 

  13. D.M. Shin(2009), The accurate comparative analysis and appropriate information abou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video on the Internet: Domestic Movement Sciences, Korean society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35(2);1197-1103. 

  14. H.J. Oh(2010), Analysis of Ethics and Contents of Infants and Young Child Emergency Management Websites, Master's thesis of Hanyang University, pp.11-56. 

  15. P. Safar, S.W. Winchell(1996), Teaching and testing lay and paramedical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esth Anag Vol.45(4);441-449. 

  16. R. Rosen, H. Cabat, J.P. Anderson(1943), Acute arrest of cerebral circulation in man, Arch Neurik, Vol.50(5);510. 

  17. S.L. Cole, E. Corday(1956), Four-minute limit for cardiac resuscitation, Emergency Management Agency, Emergency activities and achievements structure, JAMA Vol.161(15);1454. 

  18. S.H. Jeong(2006), The recognition survey of emergency treatment education on the rural region, Kyung-gg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 pp.10-44. 

  19. H.R. Jeong(2009), Knowledge and Education Needs for First Aid of Primary,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Teachers, Han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 pp.9-47. 

  20. G.J. Jo, E.S. Choi, H.J. Lee(2007), To educational needs and realities of training of first aid of grade and elementary school, Korea Society of Emergency, Vol.11(3);175-189. 

  21. S.W. Kang(2005), Development of criteria for health information web site of diabetes related, J Korean Soc Med Inform, Vol.11(4);345-352. 

  22. S.H. Kim(2006), Evaluation on appropriateness of stroke related information on internet, Master's thesis of Yonsei University master's thesis, p.39. 

  23. S.W. Ryu, Y.J. Ha(2003), Management practices in the quality of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Health and welfare forum, Vol.86;68-82. 

  24. S. Lawrence, C.L. Giles(1998), Searching the world wide web. Science, Vol.280(5360);98-100. 

  25. http://www.kacpr.org/func/download.php?typemai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