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기관 종사자들의 자동제세동기에 대한 인식과 시행의도 및 교육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wareness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Usage Intention and Related Educational Experience in Workers at Public Institution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1, 2017년, pp.416 - 424  

김무늬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  이현지 (강원대학교 응급구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공공기관 종사자들의 자동제세동기에 대한 인식과 시행의도 및 교육경험을 조사하고 그를 통해 효율적인 교육과 응급상황 시 자동제세동기의 실제 시행률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6년 6월 13일부터 8월 21일까지 강원도 공공기관에 근무하는 성인 남녀 243명을 연구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chi}^2$-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기관 종사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동제세동기 사용방법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 대한 결과, 성별($X^2=6.32$, p<.05), 최종학력($X^2=5.91$, p<.05)에서 유의미한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둘째, 공공기관 종사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동제세동기 시행의도 차이에 대한 결과, 최종학력($X^2=5.70$, p<.05)에서 시행의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공기관 종사자들의 자동제세동기 시행의도가 없는 경우의 원인은 '자동제세동기 사용법을 몰라서'가 31.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공공기관 종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동제세동기 교육경험은 연령($X^2=6.15$, p<.05), 최종학력($X^2=11.56$, p<.01), 근무경력($X^2=11.92$, p<.01)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공공기관 내 종사자들 자동제세동기 교육의 형태는 이론과 실습의 병행교육이 55.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로 보아 많이 사람들이 이용하는 공공기관의 종사자들은 표준화된 자동제세동기 교육을 필수적으로 이수하고 실제 응급상황시 심정지환자의 소생률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wareness of workers in public institutions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s, their usage intention and related educational experience in an effort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education and the rate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usage in emergenc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공공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자동제세동기에 대한 인식과 시행의도, 교육경험에 관한 연구를 토대로 효율적인 자동제세동기의 표준화된 교육이 이루어지며 응급상황시 목격자의 심폐소생술과 더불어 자동제세동기의 사용률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K도에 소재한 공공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기관에 근무하는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자동제세동기 인식과 시행의도 및 교육경험에 대해 조사하여 심폐소생술 및 자동제세동기에 대한 효율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한 서술적 연구이다. 공공기관 종사자들의 자동제세동기 사용에 관한 인식과 시행의도, 교육경험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 국외의 경우는 병원 외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공공장소 및 다중이용시설에 자동제세동기를 설치하고, 일반인에게 자동제세동기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 교육의 목적은 심정지 발생 위험이 높은 장소에 자동제세동기와 훈련된 일반인을 미리 배치하여 적절한 처치가 신속하게 시행되어 병원 외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증가시키는데 있다. 대표적으로 일본은 병원 밖 심폐소생술을 위한 일반인 제세동 프로그램을 통해 생존율 증가와 퇴원 후 신경학적 예후의 향상이라는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9].
  • 이에 본 연구는 공공기관 종사자들의 자동제세동기인식과 시행의도, 교육형태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효율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정지 원인으로 많은 것은 무엇인가? 따라서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심정지 발생 시 최초목격자에 의한 심폐소생술과 제세동기의 사용이 신속하게 이루어져야한다[7]. 심정지 원인은 초기의 심전도 리듬이 심실세동인 경우가 많고 이때 가장 효과적 치료는 심폐소생술과 더불어 제세동기를 사용하는 것이다[8].
국내의심정지 환자가 발생하는 장소와 그 확률은 무엇인가? 1% 상승했다[1]. 국내의심정지 환자 발생현황은 병원 외 심정지 환자의 발생장소 중 가정이 약 60%, 나머지 30-40%는 관공서, 공항, 철도역, 큰 규모의 산업단지 등 공공장소 및 다중이용업소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공공장소 및 다중이용시설에서의 심정지 환자 발생 비율이 결코 낮지 않으며, 이를 목격하는 사람은 비의료인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심정지 환자는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치료 가운데 중요한 것이 목격자에 의한 적절한 응급처치만 이루어진다면 생존율 또한 높다는 것이 다양한 연구를 통해 입증되고 있다[4,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Statistics Korea, 2015 Statistic Yearbook of Death Statistics, http://kostat.go.kr. 2016. 

  2. J. O. Spengler, D. P. Connaughton, A. T. Pittman, "Risk Management in Sport and Recreation, Champaign", IL: Human Kinetics, p. 58, 2005, 

  3. S. G. Jin, "A study on AED designforlifesavin", Department of Design Graduate School Kunkuk University Seoul Korea, 2014. 

  4. B. W. Kang, "Factors affecting the survivals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s", Departmen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005. 

  5. S. Y. Jeong, C. W. Kim, S. O. Hong, "The Factors Influencing Survival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with Cardiac Etiolog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2, pp. 560-569, 2016. DOI: https://doi.org/10.5762/KAIS.2016.17.2.560 

  6. Swor R, Khan I, Domeier R, Honeycutt L, Chu K, Compton S. CPR training and CPR performance: do CPR trained bystanders perform CPR? Acad Emerg Med, vol. 13, pp. 596-601, 2006. 

  7. S. O. Hwang, K. S. Lim,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Adve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Koonja publisher, 2017. 

  8. S. H. Hang, S. H. Kim, Y. M. Kim, H. Kim, K. N. Park, I. C. Park.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orea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Association, 2006. 

  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nd edition of Automatic Determinations Installation and Management Guidelines for Public Sector and Multi-Use Facilities", http://www.moleg.go.kr/, 2015. 

  10. C. M. Park. "The Implementation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in Sport Facilities - Focused on Health/Fitness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Sports and Entertainment Law, vol. 16, no. 4, pp. 165-189, 2013. DOI: http://dx.doi.org/10.19051/kasel.2013.16.4.165 

  11. S. M. Jin, "The public perception and importance of public education and information about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AED)",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2013. 

  12. B. K. Cho, S. C. Kim, H. Kim, M. J. Lee, Y. M. Kim, K. R. Lee, H. S. Choi, K. J. Song, I. C. Park, S. P. Chung, "Prospective Multi-center Evaluation and Outcome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for Victims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vol. 20, no. 4, pp. 355-364, 2009. 

  13. J. W. Lee, S. W. Son, D. S. Chung, "A Study on Usability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AED) for Public Area",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vol. 14, no. 1, pp. 19-32, 2015. 

  14. J. H. Shin, "Performance Ability after CPR Education of the ground workers in an airport", vol. 13, no. 3, pp. 29-40, 2009.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You can save more lives and save more lives", 2014. 

  16. S. G. Park, C. H. Park, M. J. Chae. "Knowledge and Current Status about AED in the Public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vol. 14, no. 3, pp. 13-28, 2010. 

  17. J. M. Park, "The effect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education for school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vol. 17, no. 2, pp. 29-41, 2013. DOI: http://dx.doi.org/10.14408/KJEMS.2013.17.2.029 

  18. Y. J. Oh, "Usability Study on Public Access Defibrillator",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vol. 32, no. 1, pp. 61-66, 2009. 

  19. J. H. Kim, "The Effects and Continuum of CPR Education Program on CPR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in Seafarers", Journal of 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ol. 28, no. 5, pp. 1301-1307, 2016. DOI: http://dx.doi.org/10.13000/JFMSE.2016.28.5.1301 

  20. S. H. Kim, "Plan for activation of CPR by laypersons : centered on training and legal support", Department of Public Health Medical Law and Ethics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007. 

  21. M. A. Park, "Attitudes and Intention to Execute 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CPR) among Workers in A University Hospital", Departmen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Seoul Korea, 2013. 

  22. M. H. Kim, E. S. Lee, S. E. Jun,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Ability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2, pp. 156-163, 2016. DOI: https://doi.org/10.5762/KAIS.2016.17.2.156 

  23. H. S. Kim, "The Analysis of Rate of Recognition of the Knowledge and Education in First Aid for Prospective Staff in Sports Industry",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vol. 9, no. 4, pp. 165-176, 2015. 

  24. J. H. Shin, "Performance Ability after CPR Education of the ground workers in an airpor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vol. 13 no. 3, pp. 29-40, 2009. 

  25. Y. J. Yang, I. S. Kwon, "Nursery Teachers'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Ability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 20, no. 4, pp. 304-313, 2014. DOI: http://dx.doi.org/10.4094/chnr.2014.20.4.304 

  26. M. S. Park, J. Y. Baek, J. H. Choi, J. Y. Hwang. "A Study on the Knowledge and Awreness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in Bystander", Institute of Basic Science Taejon University, vol. 27, pp. 185-197, 2016. 

  27. H. H. Kim, H. Kang, "The Private Security Officer' Actual Condition of First-Aid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ecurity Science Review, vol. 51, pp. 273-290, 2017. 

  28. J. M. Koh, T. M. Kim."CPR Training Effect for Civili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vol. 16, no. 1, pp. 19-29, 2012. 

  29. J. H. Lee, M. H. Sung, "Factors Influencing Performance Ability of CPR of Hospital Staff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ol. 19, no. 2, pp. 96-103, 2013. DOI: http://dx.doi.org/10.14370/jewnr.2013.19.2.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