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불안정지지면 훈련을 통한 발목관절위치감각 변화와 동요면적 변화간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Changes of Ankle Joint Position Sense and Sway Area Through Unstable Surface Training 원문보기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8 no.9, 2013년, pp.1383 - 1389  

하나라 (을지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김명철 (을지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한슬기 (을지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불안정지지면 훈련을 통한 발목관절위치감각의 변화와 동요면적 변화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건강한 성인 남녀 48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불안정지지면군(n=24)과 안정지지면군(n=24)으로 나누어 동일한 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주 3회씩 6주 동안 실시하였다. 불안정지지면군은 균형운동 패드에서, 안정지지면군은 단단한 지면에서 운동을 실시하였다. 운동 전 후에 발목관절위치감각의 변화와 동요면적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불안정지지면군에서 발목관절위치감각 오차와 동요면적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그리고 불안정지지면군에서만 발목관절위치감각 오차의 변화량과 동요면적 변화량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불안정지지면에서의 고유수용성감각 운동을 통해 발목관절위치감각 변화와 동요면적 변화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see the correlation between changes of ankle Joint Position Sense and Sway Area through Unstable Surface training. For the study, 48 healthy males and females were randomly divided into an unstable surface group(n=24) and a stable surface group(n=24). Then, they were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불안정지지면에서의 훈련이 발목관절의 위치감각과 균형능력의 증진에 효과적인지 확인하고 발목관절의 위치감각과 균형능력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목의 관절구조물과 주변인대 및 근육의 역할은 무엇인가? 더 나아가 발목관절은 보행 시 충격을 흡수하고 신체의 전진을 제공하는 1차적인 기능을 하는 등[4] 보행과 균형 유지에 있어 필수적인 중요 구조이다[5]. 이러한 발목의 관절구조물과 주변인대 및 근육 등에는 상당히 많은 감각신경 수용기가 분포하여 고유수용성 감각을 중추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6].
균형은 무엇인가? 균형은 기저면 내에서 무게중심을 유지하고, 신체의 이동 시 평형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능력으로[1], 수의 동작 시 자세를 조절하면서 외부요동에 적절하게 반응하여 자세를 유지하는 복합적 과정이다[2]. 특히, 균형에 있어 발목관절은 운동의 초기나 적은 동요에 제일 먼저 나타나는 자세조절 전략이 시행되는 부분이다[3].
불안정지지면에서의 훈련이 발목관절의 위치감각과 균형능력의 증진에 효과적인지 확인하고 발목관절의 위치감각과 균형능력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에 대해 불안정지지면에서의 훈련은 발목관절의 위치감각 증진에 효과적이고[9] 균형능력증진에도 효과적이다[10]. 그러나 많은 선행연구들에서는 불안정지지면 훈련을 통한 발목관절위치감각의 증진으로 인해 균형능력이 증진되었는지 확인할 수 없었고, 발목관절위치감각과 균형능력간의 상관관계를 밝힌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Romero-Franco, N., Martinez-Lopez E., Lomas- Vega R. et al. "Short-term effects of proprioceptive training with unstable platform on athletes", Stabilometry, J Strength Cond Res, 2012. 

  2. Prata, M. G., Scheicher, M. E. "Correlation between balance and the level of functional independence among elderly people", Sao Paulo Med J, Vol. 130, No. 2, pp. 97-101, 2012. 

  3. Shumsway-cook A. Woollacott MH. "Motor control: t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3rd ed, Philadelphia, Williams& Wilkins, Vol. 3, No. 83, 2007. 

  4. Y. M.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ngth Balance and Joint Position Sense Related to Ankle Joint in Healthy Women",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Academic thesis, 2011. 

  5. K. H. Cho, S. K. Bok, Y. J. Kim et al. "Effect of lower limb strength on falls and balance of the elderly", Ann Rehabil Med, Vol. 36, No. 3, pp. 386-393, 2012. 

  6. Bernell, K. L., Hinman, R. S., Metcalk, B. R. "Relationship og knee joint proprioception to pain and disability in individuals with knee osteoarthritis", Journal of orthopedic research, 21, pp. 792-797, 2003. 

  7. J. W. Park, "Effects of shoulder range of motion and pain on Joint position sense", Journal of Korea sports research, Vol. 18, No. 6, pp. 443-50, 2007. 

  8. Callaghan MJ., selfe J., McHenry A. et al. "Effects of patellar taping on knee joint proprioception in patien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Manual Therapy. Vol. 13, No. 3, pp. 192-199. 2008. 

  9. Y. J. Jeong, "The Effects of Altered Surface conditions on Balance Ability for the Patients with Hemiplegia",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ol. 29, No. 75, pp. 67-74, 2008. 

  10. Gruber M, Gruber SB, Taube W et al. "Differential effects of ballistic versus sensorimotor training on rate of force development and neural activation in humans", J Strength Cond Res, Vol. 21, No. 1, pp. 274-282, 2007. 

  11. Dean CM, Richards CL, Malouin F., "Taskrelated circuit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locomotor tasks in chronic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81, pp. 409-147, 2000. 

  12. J. Y. Lee, H. L. Roh. "Comparison of balance ability between stable and unstable surfaces for chronic stroke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2, No. 8, pp. 3587-3593, 2011. 

  13. M. C. Kim, W. C. Lee, S. K. Han, "Effective of change obesity index by specific posture exercise using the vibrator",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8, No. 5, pp. 757-762, 2013. 

  14. Denegar C, Miller SJ. "Can chronic ankle instability be prevented?", Rethinking Management of Lateral Ankle Sprains, Athl Train, Vol. 12, No. 4, pp. 430-435, 2002. 

  15. Irion JM. "Use of the hym ball in rehabilitation of spinal dysfunction", J Am Orthopedic Phys Ther Clin, Vol. 1, No. 2, pp. 375-398, 1992. 

  16. Bruhn S., Kullmann N., Gollhofer A. "The effects of a sensorimotor training and a strength training on a postural stabilization, maximum isometric contraction and jump performance", Int J Sports Med, Vol. 25, No. 1, pp. 56-60, 2004. 

  17. Hoffman M. Gregory PV. "The effects of proprioceptive ankle disk training on healthy subjects. J Sports Phys Ther, 21, pp. 90-93, 1995. 

  18. Cox ED., Lephart SM., Irrgnag JJ."Unilateral training of non injured individuals and the effect on postural sway, J Sports Rehabil, Vol. 2, pp. 87-96, 1993. 

  19. J. H. Lee, "Comparison of Balance Ability between Stable and Unstable Surfaces for Chronic Stroke Patients", Journal of academia- industrial technology , Vol. 12, No. 8, pp. 3587-3593, 2011 

  20. J. H. Kim, S. M. Jeong, H. S. Park, "The effect of 3 balance training programs on improving capabilities of balancing among some female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8, No. 4, pp. 619-629, 2013. 

  21. K. S. Jeong, "The effects of weight shifting training on an unstable surface on onset latency of trunk muscles, balance performance, and proprioception for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Graduate School of Sahmyook University, 2009. 

  22. D. G. Kwon, Y.G. Park, D. W. Kim et al. "Analysis on the Training Effect of Postural Control for the Elderly Adults Using an Unstable platform", The Korea Society Mechanical Engineers, 5, pp. 96-97, 2008. 

  23. G. B. Yim, "The Effect of Balance and Pain in the Osteoarthritis Patients after Bio-feedback and Strengthening Exercises", Graduate School of Daegu University, 2008. 

  24. Sekendiz B., Cug M., Korkusuz F. "Effects of swiss ball core strength training on strength, endurance, flexibility, and balance in sedentary women, J strength cond Res, Vol. 24, No. 11, pp. 3032-40, 2010. 

  25. B. H. Lee, J. Y. Yoo, J. K. Jeong, "Changes in muscle activity and thickness of resistance exercise added aerobic exercise and pure resistance exercise",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8, No. 5, pp. 763-769,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