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불안정 지지면과 안정 지지면에서의 발목균형훈련이 비만중년여성의 고유수용성감각, 균형 및 근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nkle Balance Traning on Unstable and Stable Surface on Proprioception, Balance and Muscle Strength in Obese Middle-Aged Woma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6 no.3, 2018년, pp.59 - 71  

한준호 (한국교통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이효정 (한국교통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ankle balance training on unstable and stable surfaces to discover on which surface the proprioception, balance and muscle strength of obese middle aged women improves more. Method : Thirty obese middle-aged women were randomly recrui...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무작위 임상실험을 통하여 비만중년여성을 대상으로 불안정한 지지면 또는 안정적인 지지면에서 발목균형훈련을 실시하고 고유수용성감각, 균형 및 근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고 또한 불안정 지지면에서의 발목균형훈련과 안정 지지면에서의 발목균형 훈련 중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인지 비교하고, 지역사회 비만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한 효과적인 운동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비만중년여성에게 불안정한 지지면과 안정적인 지지면에서 발목균형훈련을 실시하고 고유수용성감각, 균형, 근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지지면에 따른 발목균형훈련의 적용에 따른 비만중년여성의 고유수용성감각, 균형과 근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연구 목적에 따라 고유수용성감각, 균형 및 근력에 대한 변화를 분석 및 기술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지지면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관절의 경우 불안정한지지면에서 시행한 훈련의 경우 효과가 입증되고 있으나 지면에 가까운 발목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았다. 이와 같은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비만중년여성을 대상으로 불안정한 지지면 또는 안정적인 지지면에서 발목균형훈련을 실시하고 고유수용성감각, 균형 및 근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고 또한 불안정 지지면에서의 발목균형훈련과 안정 지지면에서의 발목균형훈련 중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인지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균형이란 무엇인가? 또한 근력 및 근지구력을 감소시키며 생리적인 변화를 초래한다. 균형은 정지해 있거나 움직이는 지지기저면(base of support)에 대하여 몸의 무게 중심(center of mass, COM)을 제어하는 과정이며(Rose, 2003) 운동감각, 중추신경계 그리고 역학적인 면에서 협응되어 발생하는 복합적인 과정이다(Duncan 등, 1990). 즉, 발목관절 주변의 근력과 균형이 정상기능을 유지할 때 발목의 동적 안정성과 정적 안정성이 모두 유지되고 이로 인해 손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고 보고된다(Maki & McIlroy, 1996).
발목관절은 체중이 증가함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가? 특히, 발목의 움직임은 건강상의 문제가 없다 할지라도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커다란 변화가 생기고, 남자보다 여자가 더 많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Vandervoort 등, 1992a). 또한 체중이 증가함에 따른 운동역학적인 연구들을 살펴보면, 발목의 발바닥쪽 굽힘각 및 발바닥쪽 굽힘 근력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고(김태완, 2006; 신성휴 등, 2006) 족저압 역시 정상인에 비해 비만인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노윤희 등, 2001; Birtane & Tuna, 2004; Gravante 등,2003; Hills 등, 2001). 또한 비만인의 경우 정상인보다 비만인의 안․가쪽 정적 안정성이 떨어진다고 하였고(McGraw 등, 2000), 정상체중인 사람과 비만체중인 사람의 보행속도에 따른 하지 근력 비교분석에서 비만인의 경우 발목 근력은 약해지고 흡수는 많아 발목 관절에 가해지는 부하가 커지게 되면서 이로 인한 손상이 늘어난다고 하였다(김태완과 김지태, 2007).
발목관절과 발의 일차적 기능은 무엇인가? 발목관절은 중력에 대항하여 인체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인체의 관절 중에서 가장 손상을 많이 받는 관절 중의 하나이다(Morrison & Kaminski, 2007). 발목관절과 발의 일차적 기능은 보행 시 충격을 흡수하고 신체의 전진을 제공해주는 것이다. 발목관절은 관절구조형태의 역학적 특성상 관절가동범위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 있어 발목관절의 발등쪽 굽힘, 발바닥쪽 굽힘의 가동범위도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감소한다(Vandervoort 등, 1992b).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강동훈, 유일영, 이건철(2013). 다양한 지지면에서의 스쿼트 운동이 무릎관절 근력 및 위치감각 향상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회지, 1(2), 47-57. 

  2. 강수빈(2017). 지면의 종류에 따른 발레 훈련이 자세, 근력, 민첩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강호길(2016). 고유수용감각 운동이 유소년 축구선수의 발목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한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고다현(2008). 고유감각운동 프로그램이 아급성기 발목 염좌환자의 통증, 관절가동범위, 고유감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기종(2012). 근력 및 고유수용성 통합운동이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에 미치는 효과. 동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영민(2014).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에 대한 안정 지지면과 불안정 지지면에서의 균형훈련 의 효과 비교.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20(2), 1-7. 

  7. 김예지(2016). 만성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국가대표 태권도 시범단 단원들의 발목 관절 근력, 고유수용성감각 및 균형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김태완(2006). 보행속도가 비만인의 하지관절각과 지면반발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지, 16(4), 83-94. 

  9. 김태완, 김지태(2007). 정상체중인과 비만체중인의 보행속도에 따른 하지근 파워 비교분석. 한국체육과학연구지, 18(1), 19-29. 

  10. 김희승, 오정아(2007). 40, 50대 여성 비만도와 연령 별대사증후군 위험인자 비교. 한국간호과학회지, 37(4), 79-82. 

  11. 나영무, 문재호, 성연재 등(1999). 기능적 족관절 불안정성 환자에서 발목 원판 훈련의 효과. 대한스포츠의학회지, 17(2), 406-412. 

  12. 노윤희, 박종진, 이계산(2001). 여중생의 체지방율에 따른 보행 특성 분석. 한국운동역학회지, 10(2), 195-203. 

  13. 백상준, 박익렬, 서한교(2004). 원판 트레이닝이 배구 선수의 발목 근력과 평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3(4), 389-395. 

  14. 보건복지부(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15. 서용곤(2009). 균형감각 및 발목근력 강화 운동이 고교축구 선수의 체력 및 슈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신성휴, 김태완, 권문석(2006). 비만인들의 보행속도와 하지관절모멘트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 한국운동역학회지, 16(3), 105-115. 

  17. 이승찬(2016). 비만중년여성의 아쿠아로빅 운동유형이 건강체력 및 대사증후군인자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8. 이제승(2013). Squat 운동시 지지면 상태와 부하량에 따른 코어근육의 근활성도 비교.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이주연(2012). 지지면의 안정성과 시각적 자극에 따른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의 고유수용성감각기능과 균형능력 비교.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정다연(2017). 여성들의 비만관리 관심도와 현황에 대한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차승혜, 김종신(2009). 밸런스 운동이 염좌 환자의 발목관절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운동학학술지, 11(2), 73-83. 

  22. 최남영(2015). 불안정한 지면에서의 스미스머신 스쿼트 운동이 체간근육과 하지근육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Andersen RE, Crespo CJ, Bartlett SJ, et al(2003). Relationship between body weight gain and significant knee, hip, back pain in older Americans. Obes Res, 11(10), 1159-1162. 

  24. Bernier JN, Perrin DH(1998). Effect of coordination training on proprioception of the functionally unstable ankle. J Orthop Sports Phys Ther, 27(4), 264-275. 

  25. Birtane M, Tuna H(2004). The evaluation of plantar pressure distribution in obese and non-obese adults. Clin Biomech(Bristol, Avon), 19(10), 1055-1059. 

  26. Bohannon RW(1997). Comfortable and maximum walking speed of adults aged 20-79 years: reference value and determinants. Age Ageing, 26(1), 15-19. 

  27. Borg FG, Laxaback G(2010). Entropy of balance - some recent results. J Neuroeng Rehabil, 7(1), 38. 

  28. Duncan PW, Weiner DK, Chandler J, et al(1990). Functional reach: A new clinical measure of balance. J Gerontol, 45(6), 192-197. 

  29.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et al(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 Res Methods, 41(4), 1149-1160. 

  30. Gauffin H, Tropp H, Odenrick P(1988). Effect of ankle disk training on postural control in patients with functional instability of the ankle joint. Int J Sports Med, 9(2), 141-144. 

  31. Gravante G, Russo G, Pomara F(2003). Comparison of ground reaction forces between obese and control young adults during quiet standing on a baropodometric platform. Clin Biomech(Bristol, Avon), 18(8), 780-782. 

  32. Hills AP, Hennig EM, McDonald M, et al(2001). Plantar pressure differences between obese and non-obese adults: a biomechanical analysis.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5(11), 1674-1679. 

  33. Horak FB, Nashner LM(1986). Central programming of postural movements: Adaptation to altered support-surface configurations. J Neurophysiol, 55(6), 1369-1381. 

  34. Horak FB, Shupert CL, Mirka A(1989). Components of postural dyscontrol in the elderly: A review. Neurobiol Aging, 10(6), 727-738. 

  35. Kiers H, Brumagne S, van Dieeen J, et al(2012). Ankle proprioception is not targeted by exercises on an unstable surface. Eur J Appl Physiol, 112(4), 1577-1585. 

  36. Kynsburg A, Halasi T, Tallay A, et al(2006). Changes in joint position sense after conservatively treated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14(12), 1299-1306. 

  37. Lee AJ, Lin WH(2008). Twelve-week biomechanical ankle platform system training on postural stability and ankle proprioception in subjects with unilateral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Clin Biomech, 23(8), 1065-1072. 

  38. Maki BE, McIlroy WE(1996). Postural control in the older adult. Clin Geriatr Med, 12(4), 635-658. 

  39. McGraw B, McClenaghan BA, Williams HG, et al(2000). Gait and postural stability in obese and nonobese prepubertal boys. Arch Phys Med Rehabil, 81(4), 484-489. 

  40. Morrison KE, Kaminski TW(2007). Foot characteristics in association with inversion ankle injury. J Athl Train, 42(1), 135-142. 

  41. Nashner LM, Wolfson P(1974). Influence of head position and proprioceptive cues on short latency postural reflexes evoked by galvanic stimulation of the human labyrinth. Brain Res, 67(2), 255-268. 

  42. Rose DJ(2003). Fall proof!. A comprehensive balance and mobility training program. australia, IL: Human kinetics. Older adult: Research and its implications. Champaign, IL: Human Kinetics. 

  43. Shumway-Cook A, Wollacott MH(1995). Motor control: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s. 1st ed, Baltimore, Williams & Wilkins. 

  44. Vandervoort AA, Chesworth BM, Cunningham DA, et al(1992a). Age and sex effects on mobility of the human ankle. J Gerontol, 47(1), 17-21. 

  45. Vandervoort AA, Chesworth BM, Cunningham DA, et al(1992b). An outcome measure to quantify passive stiffness of the ankle. Can J Public Health, 83(Sup2), 19-23. 

  46. Wolfson L, Whipple R, Judge J, et al(1993). Training balance and strength in the elderly to improve function. J Am Geriatr Soc, 41(3), 341-3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