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초등 영재와 일반 학생의 인지발달 및 논리적 사고력 형성 수준 비교
Comparison of Cognitive Development, and Logical Thinking Formation Levels between Elementary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3 no.3, 2013년, pp.335 - 354  

이종섭 (매탄중학교) ,  유미현 (아주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영재 학생의 인지발달논리적 사고력 형성 수준을 조사하고 일반 학생과 비교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영재학급 학생 79명과 초등학교 일반 학생 114명을 대상으로 논리적 사고력 검사(GALT)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영재 학생은 일반 학생에 비해 논리적 사고력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다(p<.05). 인지발달 수준 분포를 비교한 결과 초등 영재 학생은 일반 학생에 비해 형식적 조작기에 도달한 비율이 매우 높았으며, 구체적 조작기에 머물러 있는 비율은 매우 낮았다. 이로써 영재는 일반 학생에 비해 인지발달이 빠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둘째, 초등 영재 학생의 학년에 따라서 논리적 사고력 점수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5). 5학년 영재에 비해 6학년 영재의 논리적 사고력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형식적 조작기에 도달한 학생의 비율도 34% 높았다. 논리적 사고력 영역별로 비교한 결과 보존논리와 상관논리를 제외한 4개의 논리에서 6학년 영재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6학년 모두 조합논리의 형성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상관논리 형성 비율이 가장 낮았다. 셋째, 영재의 성별에 따른 논리적 사고력 점수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형식적 조작기에 도달한 비율은 영재 남학생이 높았으나 구체적 조작기에 머물러 있는 비율도 영재 남학생이 높았다. 논리적 사고 영역별로 비교한 결과 상관논리에서는 영재 여학생이 영재 남학생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gnitive development and logical thinking formation levels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and to compare with those of elementary regular students. For this purpose, 79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114 regul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yungg...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영재 학생의 인지발달 수준 및 논리적 사고력 형성 정도를 조사하고 일반 학생과 비교함으로써 영재 지도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가설 설정

  • 셋째, 초등 영재 학생의 성별에 따른 인지발달 수준 및 각 논리적 사고 형성에는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기 영재를 판별하는 근거로 사용된 지표는? 이와 같은 독특한 영재의 특성은 영재를 판별하는 준거가 되기도 한다. 초기에는 지능지수(IQ)를 근거로 영재를 판별하기도 하였으나 현재는 다양한 판별 준거를 사용하여 영재를 선발하고 있다. 현재 영재 판별에 활용되는 인지적 측면의 특성으로는 지능지수, 특정 분야의 높은 성취도, 논리적 사고력 등이 있다(이항로, 2011).
현재 영재 판별에 활용되는 인지적 측면의 특성은? 초기에는 지능지수(IQ)를 근거로 영재를 판별하기도 하였으나 현재는 다양한 판별 준거를 사용하여 영재를 선발하고 있다. 현재 영재 판별에 활용되는 인지적 측면의 특성으로는 지능지수, 특정 분야의 높은 성취도, 논리적 사고력 등이 있다(이항로, 2011). 영재로 판별된 아동의 인지와 사고에 관한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져 왔으나 여러 영재교육 연구 분야 중 상대적으로 뒤쳐져 있다(윤초희, 김홍원,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강순희 (2002). 과학 교수 전략에서 학생의 인지 수준과 교과 내용의 인지 요구수준. 교과교육 연구소 2002-01: 이화교육총서.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2. 강철웅 (2012).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논리적 사고력 수준에 따른 과학적 개념 이해.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3. 고승옥 (1989). 과학적 사고력의 발달수준과 물리개념 이해정도와의 관계: 중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4. 구자억, 조석희, 김홍원, 서혜애, 장영숙 (1999). 영재교육과정 개발연구(I)- 초 ? 중학교 영재 교육과정 시안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5. 구자억, 조석희, 김홍원, 서혜애, 임희준, 장영숙, 방승진 (1999). 영재교육과정 개발연구 (II)- 고등학교 영재교육과정 시안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6. 권재술, 허명, 최병순 (1987).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및 그 운영 진단(II)- 지적발달수준과 학업성취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7(1), 1-14. 

  7. 김영민, 이성이 (2001). 학교 과학 우수아들의 논리적 사고력 수준과 물리심화 학습성취도의 상관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4), 677-688. 

  8. 김용미 (1997). 중학교 학생들의 인지수준과 과학 교과 내용의 인지요구도 수준과의 관계 분석-제6차 교육과정 2학년 과학교과서 중 화학영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9. 김은정 (2007). 남 ? 여 과학 영재들의 인지적 ? 정의적 특성 비교.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10. 김희영 (1991). 과학적 사고력의 발달수준과 물리개념 이해정도와의 관계: 중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1. 박민숙 (1994). 중학교 학생들의 인지수준과 과학교과 내용과의 관계 연구- 제5차 교육과정 중 2학년 화학 영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2. 양혜영 (2012). '생각하는 과학' 활동을 경험한 초등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 신장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3. 윤초희, 김홍원 (2004). 지적으로 우수한 영재아의 형식적 사고, 초인지 및 창의력에 관한 연구. 교육심리연구, 18(1), 241-260. 

  14. 이명재 (2010). 초등학교 영재 학생 집단의 영재성 수준편차에 대한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인식.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15. 이영미 (1991). 고3 자연계 학생의 논리적 사고 발달 수준과 물리 교과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6. 이정석 (1998). 논리적 사고력, 지능, 과학성적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물리 개념.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7. 이항로 (2011). 과학 영재의 행동 특성 분석. 한국지구과학학회지, 32(3), 294-305. 

  18. 천혜정 (2009).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인지 수준과 과학 교과서의 내용 인지 요구도 수준 비교 분석: 제7차 교육과정 8학년 화학 영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9. 최영준, 이원식, 최병순 (1985). 중 ? 고등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5(1), 1-9. 

  20. 한종하 (1982). 중 ? 고등학교 학생의 과학적 사고 발달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84-24. 

  21. 최영재, 고영신, 이재희 (2001). 초등학생의 그래프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에 관한 태도와의 관계. 과학과 수학교육논문집, 27, 69-88. 

  22. Adey, P., Shayer, M., & Yates, C. (2001). Thinking Science. London: Thomas Nelson and Sons Ltd. 

  23. Bitner-Corvin, B. L. (1988). Is the GALT a reliable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logical thinking abilities of students in grades six through twelv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4. Brown, A. L. (1978). Conservation of number of continuous quantity in normal, bright, and retarded children. Child Development, 44, 376-379. 

  25. Carter, K. R., & Kontos, S. (1981). The application of developmental theories. Roeper Review, 4, 17-20. 

  26. Carter, K. R., & Ormrod, J. E. (1982). Aquisition of formal operations by intellectually gifted children. Gifted Child Quarterly, 26, 110-115. 

  27. Douglas, J. D., & Wong, A. C. (1977). Formal operations: Age and sex differences in Chinese and American children. Child Development, 48, 689-692. 

  28. Karplus, R. (1977). Science teaching and development of reason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4(2), 169-175. 

  29. Keating, D. (1975). Precocious cognitive development at the level of formal operations. Child Development, 46, 276-280. 

  30. Keating, D., & Schaefer, R. (1975). Ability and sex differences in the acquisition of formal operations. Developmental Psychology, 11, 531-532. 

  31. Leskow, S., & Smock, C. (1970) Developmental changes in problem-solving strategies: permutations. Developmental Psychology, 2(3), 412-422. 

  32. Linn, M. C, & Swiney, J. F. (1981). Individual differences in formal thought: Role of expectations and aptitud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3, 274-286. 

  33. Maccoby, E., & Jacklin, C. (1974). The psychology of sex differences. Stanford, Calif: Stanford University Press. 

  34. Mwamwenda, T. (1993). Sex differences in formal operations. The Journal of Psychology, 127(4), 419-425. 

  35. Otaala, B. (1973). The development of operational thinking in primary school children. N.Y.: Teachers College Press. 

  36. Robers, C. H. (1981). Equilibration and intelligence: Individual variation in conservation development as afunction of CA, MA and IQ.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ryn Mawr College. 

  37. Roadranka, V., Yeany, R. H., & Padilla, M. J. (1983).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GALT).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RST. 

  38. Piaget, J. (1952). The origins of intelligence in children. N.Y.: Norton. 

  39. Piaget, J., & Inhelder, B. (1958). The growth of logical thinking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An essay on the construction of formal operational structures. N.Y.: Basic Books.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