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교 과학 우수아의 자기주도적 협동학습을 강조한 지구온난화 관련 의사결정 학습의 효과
The Effectiveness of Science Gifted Students' Self-directed and Cooperative Learning for Decision-Making about Global Warming Issues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3 no.4, 2013년, pp.567 - 592  

고선영 (신목중학교) ,  최승언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효과적인 SSI 관련 의사결정 학습 방법의 모색을 위하여, 중학교 과학 우수학생들을 대상으로 지구온난화와 관련한 논쟁 상황을 주제로 자기주도적 협동학습을 강조한 SSI 의사결정 학습을 진행하였다. 자기주도적 협동학습을 강조한 SSI의사결정 학습은 (1) 교사가 제시하는 자료에 의존하지 않고 자기주도적으로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2) 협동학습을 통해 찬성과 반대의 주장과 근거를 공유하며, (3) 마지막 글쓰기를 통해 자신의 의사결정과정을 정리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지막 단계에서 이루어진 학생들의 의사결정 글쓰기를 분석하여 학습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학습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지구온난화 관련 논쟁 상황의 분석 및 설명을 교사 강의로 진행한 그룹 A, 분석 자료를 정리하여 교사가 제공하고 소그룹 토의와 프리젠테이션 과정을 진행한 그룹 B를 대조 그룹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세 그룹의 수업 후 (1) 학생들의 의사결정 선택의 결과, (2) 학생들의 의사결정 글쓰기에 나타난 논증 구조의 수준, (3) 반성적 사고의 수준, (4) 과학의 본성을 포함한 과학적 정보의 활용 수준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자기주도적 협동학습을 강조한 SSI 의사결정 학습이 학생들의 정보에 기반한 의사결정, 보다 높은 수준의 논증구조, 보다 높은 수준의 반성적 사고, 과학적 정보에 대한 평가 및 해석,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 학습의 결과, 학생들은 관련된 과학적 정보에 기반하여 보다 과학적으로 의미있는 의사결정에 도달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teaching decision-making on Socio-Scientific-Issues(SSI) in science classroom. So we carried out new teaching and learning trial for decision-making about Global Warming issues. Our new trial focused on self-dir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과학적 소양의 관점에서 SSI를 다룰 때, 학생들은 정보에 기반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어야 한다(Sadler and Zeidler, 2005). 따라서 개별 자료 조사 단계를 명시적으로 넣은 것은 수동적으로 제공된 정보에 의존하지 않고, 관련된 정보를 보다 능동적으로 수집하여 자기주도적 의사결정에 도달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마지막 단계에서 의사결정 글쓰기를 넣은 것은 여러 가지 강조점이 있다.
  • 마지막으로 학생들이 활용한 근거의 특징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비교해 보았다. 잘 구성된 논증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것은 근거의 종류, 근거의 수, 근거의 수준 등이다.
  • 전체 7단계로 이루어지는 Reflective Judgement Model(RJM)은 크게 전-반성적 사고(pre-reflective thinking(1~3 Stages)), 준-반성적 사고(quasi-reflective thinking(4~5 Stages)), 반성적 사고(reflective thinking(6~7 Stages))로 나누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적용의 상황에서 글쓰기에 나타난 정보만으로 반성적 사고의 1~7단계를 명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고, 연구자의 주관성이 세부 단계에 반영될 수 있는 점을 감안하여, 보다 상위 범주인 전-반성적 단계, 준-반성적 단계, 반성적 단계의 세 가지 기준을 연구결과의 분석에 적용하여 오차를 줄이고자 하였다4). 각 세 단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2009년 개정된 새 교육과정에 따라 최근의 교과서에서는 다양한 SSI 관련 이슈를 다루고 있으며, 학교 과학교육의 현장에서 SSI를 보다 효과적으로 또 과학적으로 유의미하게 다룰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관련 정보를 직접 찾아 분석하는 자기주도적 참여에 기반한 협동학습을 강조한 SSI 의사결정 학습을 구성하여 적용하고 그 수업의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과학적으로 유의미한 SSI 의사결정 학습의 방향을 찾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이때 한 학생의 글쓰기에서 나열, 설명, 해석 및 평가가 동시에 활용되고 있는 경우 각각의 항목에 중복되게 반영하였다. 이와 함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기술을 근거로 활용하였는지 유무를 살펴보았다.
  • 세 그룹의 학생들은 지구온난화 논쟁과 관련한 의사결정의 학습에서 <표 2>와 같은 선택지를 제공받았다. 자기주도적 협동학습을 강조한 SSI 의사결정 학습이 학생들의 의사결정 선택의 결과에 영향을 주는지 판단하기 위해 그룹 B와 그룹 C의 사전 사후 글쓰기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의사결정 결과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알아보았다. 그룹 B의 경우 사전 글쓰기 자료가 없으나, 수업의 시작 부분에서 교사가 학생들 개개인의 선택을 물어보았고 학생들은 그에 대해 응답하였다.
  • 학생들은 지구온난화 논쟁과 관련한 과학적 지식과 관련된 불일치 국면에 대해 자료를 조사한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참고 문헌을 안내하고, 조원들은 중복되는 책이 없이 각각 한권씩 선택하여 과제를 완성한다.

가설 설정

  • (1) 자기주도적 협동학습을 강조한 SSI 의사결정 학습이 학생들의 의사결정의 결과에 영향을 주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주도학습이란 무엇인가? 자기주도학습의 정의나 구체적인 원리 등에는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자기주도학습은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주도권을 가지고 학습을 진행하는 학습의 과정(Knowles, 1980; 박영태, 현정숙, 2002)이면서 동시에 학습과정의 결과로서 기대되는 학습자의 학습 능력(Brookfield, 1993; 박영태, 현정숙, 2002)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현대 사회에서 과학기술의 발달이 가져온 엄청난 지식과 정보의 팽창은 학생 스스로 적절한 정보를 선택하고 학습하는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더 크게 필요로 하게 되었으며(양운택, 1999; 박경빈, 권혁민, 2011), SSI와 관련한 의사결정에서 이러한 자기주도적 정보의 선택과 조작 능력은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볼 수 있다.
현대 민주주의 사회는 구성원들에게 무엇을 요구하는가? 즉 과학자 뿐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일상에서 만나게 되는 수많은 문제들을 과학적으로 접근하여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현대 민주주의 사회는 구성원들에게 끊임없는 선택과 의사결정을 요구한다. 기후 변화를 포함하여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 역시 많은 부분 과학과 관련한 문제들이다.
SSI 관련 의사결정 학습 방법의 모색을 위하여, 중학교 과학 우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구온난화와 관련한 논쟁 상황을 주제로 자기 주도적 협동 학습을 강조한 SSI 의사결정 학습을 진행하여 조사 분석한 결과는? 그리고 세 그룹의 수업 후 (1) 학생들의 의사결정 선택의 결과, (2) 학생들의 의사결정 글쓰기에 나타난 논증 구조의 수준, (3) 반성적 사고의 수준, (4) 과학의 본성을 포함한 과학적 정보의 활용 수준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자기주도적 협동학습을 강조한 SSI 의사결정 학습이 학생들의 정보에 기반한 의사결정, 보다 높은 수준의 논증구조, 보다 높은 수준의 반성적 사고, 과학적 정보에 대한 평가 및 해석,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 학습의 결과, 학생들은 관련된 과학적 정보에 기반하여 보다 과학적으로 의미있는 의사결정에 도달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교육과학기술부 (2012). 과학 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 남정희, 곽경화, 장경화, Brian Hand (2008). 논의를 강조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Science Writing Heuristic)의 중학교 과학 수업에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922-936. 

  3. 박경빈, 권혁민 (2011). 영재아와 일반아의 독서성향과 진로태도성숙 및 자기주도적학습 특성의 관계. 영재교육연구, 21(1), 1-17. 

  4. 박영태, 현정숙 (2002). 자기주도학습력의 이해. 부산: 동아대학교 출판부. 

  5. 박은이, 홍훈기 (2011). 과학영재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견해의 주장형식 분석. 영재교육연구, 21(1), 163-174. 

  6. 박지영 (2009). 사회 속 과학 쟁점에 대한 소집단 논변활동의 이해: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의사소통 분위기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7. 배영주 (2005). 자기주도학습과 구성주의. 서울: 원미사. 

  8. 손정우 (2006). 과학논술능력 향상을 위한 과학적 사고력에 근거한 과학글쓰기 교수법. 교육과정평가연구, 9(2), 333-355. 

  9. 양운택 (1999). 평생학습사회와 자기주도적학습. 경기도 교육연구원. 

  10. 윤미향 (2006). 과학의 본성에 따른 의사결정 분석.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11. 이순재 (2003). 사회과 쟁점중심 수업이 비판적 사고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2. 이현주, 장현숙 (2007). 과학과 관련된 사회적.윤리적 문제 도입 측면에서의 미국 주별 과학과 교육과정과 중등 과학교사의 인식 탐색. 교육과정평가연구, 10(1), 189-209. 

  13.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1994). 교육학 용어 사전. 서울: 하우동설. 

  14. 최경희, 조희형 (2003). 과학의 윤리적 특성 교수-학습 방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2), 131-143. 

  15. 한국과학교육학회 (2005). 과학교육학 용어 해설. 서울: 교육과학사. 

  16. Bingle, W. H., & Gaskell, P. J. (1994). Scientific literacy for decisionmaking and the social construction of scientific knowledge. Science Education, 78(2), 185-201. 

  17. Boyd, L. D. (2008). Development of reflective judgement in the pre-doctoral dental clinical curriculum. European Journal of Dental Education, 12(3), 149-158. 

  18. Brookfield, S. (1993). Self-Directed Learning, Political Clarity, and the Critical Practice of Adult Education. Adult Education Quarterly, 43(4), 227-242. 

  19. Bruffee, K. A. (1993). Collaborative learning: higher education, interdependence, and the authority of knowledge.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 Driver, R., Leach, J., Millar, R., & Scott, P. (1996). Young People's Images of Science.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21. Eming, J. (1977). Writing as a mode of learning.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28(2), 122-128. 

  22. Grow, G. O. (1991). Teaching Learners To Be Self-Directed. Adult Education Quarterly, 41(3), 125-149. doi: 10.1177/0001848191041003001. 

  23. Johnson, D. W., & Johnson, R. T. (1987). Learning together and alone: Cooperation, competition, and individualization (2nd ed.). NJ: Prentice-Hall. 

  24. Kagan, M., Kagan, L., & Kagan, S. (2007). 협동학습 [중앙기독교초등학교 협동학습 연구회 역]. 서울: 디모데. (원본출간년도 불명) 

  25. King, P. M., & Kitchener, K. S. (1994). Developing reflective judgment: Understanding and promoting intellectual growth and critical thinking in adolescents and adults. San Francisco: Jossey-Bass. 

  26. King, P. M.의 인터넷 홈페이지. http://www.umich.edu/-refjudg/index.html (검색일: 2013. 8. 24) 

  27. Knowles, M. S. (1980). The modern practice of adult education(revised and updated). New York: Cambridge. 

  28. Kuhn, D. (1991). The skills of argument.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Osborne, J. (2005). The role of argument in science education. In K. Boersma, M. Goedhart, O. de Jong, & H. Eijkelhof (Eds.), Research and the Quality of Science Education. (pp. 367-380). Dordrecht: Springer. 

  30. Ratcliffe, M. (1997). Pupil decision-making about socio-scientific issues within the science curriculum.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9(2), 167-182. 

  31. Sadler, T.D., & Zeidler, D.L. (2005). The Significance of Content Knowledge for Informal Reasoning Regarding Socioscientific Issues: Applying Genetics Knowledge to Genetic Engineering Issues. Science Education, 89, 71-92. 

  32. Toulmin, S. E. (2006). 논변의 사용 [고현범, 임건태 역].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원본출간년도: 2003). 

  33. Zeidler, D. L. (2003). The role of moral reasoning on socioscientific issues and discourse in science education. Boston: Kluwer Academic Pub. 

  34. Zeidler, D. L., & Keefer, M. (2003). The role of moral reasoning and the status of socioscientific issues. In D. L. Zeidler (Ed.), The role of moral reasoning on socioscientific issues and discourse in science education. Boston: Kluwer Academic Pub. 

  35. Zeidler, D. L., Sadler, T. D., Applebaum, S., & Callahan, B. E. (2009). Advancing reflective judgment through Socioscientific Issu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1), 74-101. doi: 10.1002/tea.202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