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설치된 간선도로의 서비스수준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Level of Service Analysis Method of Arterials including Exclusive Median Bus Lanes 원문보기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v.15 no.5 = no.61, 2013년, pp.135 - 144  

조한선 (한국교통연구원 교통안전.도로본부) ,  김태형 (한국교통연구원 미래교통창조경제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methodology to estimate level of service of arterial including Exclusive Median Bus Lanes. METHODS : On 6 Exclusive Median Bus Lanes routes in Seoul, bus travel time and number of bus-stop per km were investigated. Also whether or not passing la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USHCM 2010(TRB, 2010)에서는 도시 및 교외간선도로의 서비스 수준 분석방법론을 전면적으로 개정하여 교통량 및 신호현시를 고려한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방법론을 개정하는 것은 곤란하고 기존의 도로용량편람 상의 분석방법론을 준용하되 중엉버스전용차로에 대한 서비스 수준 분석방법론과 일반차로와 중앙버스전용차로의 서비스 수준을 통합하여 하나의 값으로 제시하는 방법에 대해서만 연구를 수행하기로 하였다.
  • 가로변 버스전용차로와 중앙버스전용차로의 효율성을 비교하고 중앙버스전용차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있었으며(임광수 외 1인,2006), 이 연구에서는 가로변 버스전용차로의 한계를 지적하였고, 중앙버스전용차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교차로 통과 버스전용차로(Queue jumping bus lane, QJBL) 도입을 제안하여 그 효과를 입증하였다. 현실적인 문제로 현장에 적용하여 시험은 못하였으며,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해 교차로 통과 버스전용차로를 이용함으로써 버스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교차로 지체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기존의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설치된 간선도로”에 대한 용량 및 서비스수준 분석방법은 없으며,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개발하는 상황으로 “도시 및 교외간선도로”의 용량 및 서비스수준 분석방법과 관련연구를 검토해 봄으로써 중앙버스전용차로의 용량 및 서비스수준 분석방법에서 고려해야 할 요인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 도로용량편람에서의 “도시 및 교외간선도로” 서비스 수준 분석절차에 따른 방법론 및 버스전용차로 분석과 관련이 있는 사항들을 중심으로 검토해 보고자 한다.
  • 즉 버스전용차로의 유형을 결정할 때 간선도로 유형 분류표를 이용하여 결정하되, 버스전용차로의 기능 특성상 고규격이나 저규격에 포함되기 보다는 중간규격 범주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고 더욱이 링크 편도 3차로 이상의 양호한 도로여건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버스전용차로의 도로 유형은 I 하나 만으로 분류되는 것이 타당할 것이고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도로유형을 버스전용차로 유형이라는 독립된 도로유형으로 분류하여 서비스수준 결정과정에서 사용하고자 한다.
  • 또한, 버스전용차로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교통신호체계 개선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도 있었으며(김보겸 외 3인, 2006), 이 연구에서는 버스전용신호 도입시 교차로 정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신호설계방법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방안으로 중첩현시 및 동시신호 등 Dual-Ring방식의 다양한 신호 운영방안에 대해 제안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
  • 기존의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설치된 간선도로”에 대한 용량 및 서비스수준 분석방법은 없으며,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개발하는 상황으로 “도시 및 교외간선도로”의 용량 및 서비스수준 분석방법과 관련연구를 검토해 봄으로써 중앙버스전용차로의 용량 및 서비스수준 분석방법에서 고려해야 할 요인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또한, 중앙버스전용차로의 용량 및 서비스수준 분석방법론과 관련된 연구는 극히 제한적인 관계로 버스전용차로의 운영효율성에 관한 연구 위주로 검토해 보고자 한다.
  • 버스정류장 정차로 인한 버스의 지체시간은 개별 버스간에도 편차가 크지만 링크별 편차가 너무 커서 이를 그대로 반영하여 버스의 주행시간을 산정할 시 링크 길이에 따른 영향보다 오히려 버스정류장 정차시간에 영향을 더 받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버스정류장 지체시간의 편차를 줄이기 위해 버스정류장 정차시간을 전체 중앙버스전용차로 노선의 평균값인 정류장 당 21.29초를 적용하기로 하였다. 이때, 버스정류장에 의한 가·감속지체시간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정류장 정차없이 통과하는 버스에 대한 통행시간 자료가 요구되나, 현장 조사 시 이와 같은 자료를 구하기 어려워 버스정류장에서 발생하는 버스의 가·감속시간은 교차로에서 발생되는 버스의 접근지체시간을 활용하기로 하였다.
  • 2004년 도입이후 중앙버스전용차로는 하나의 중요한 도시교통 시설로 자리 잡아가고 있으나 중앙버스전용차로에 대한 용량 및 서비스수준 분석방법 등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이 시설의 운영상태파악 및 효율적인 운영에 지장을 주고 있어 이 시설에 대한 용량 및 서비스수준 분석방법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중앙버스전용차로의 용량 및 서비스 수준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중앙버스전용차로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이를 용량 및 서비스수준 분석과정에 반영하는 방향으로 중앙버스전용차로의 용량 및 서비스수준 분석방법을 개발할 것이다.
  • 우선 가로변 버스전용차로 운영개선방안으로 버스전용차로 단속, 제도 및 운영관련 문제점을 중심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한 연구가 있다(서종환, 2010). 이 연구에서는 단속과 관련해서는 전용차로내 긴급상황발생 시 돌발상황 관리시스템 도입과 전용차로 설치구간의 본선차로 혼잡을 최소화하기 위해 불법주정차 단속, 교통수요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버스전용차로 운영시간대를 확대하고, 전용차로 운영시간에 택시의 가로변차로 진입을 금지시키며, 버스 또한 일반차로 이용금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 현장조사의 목적은 현재 국내에서 시행 중인 버스전용차로가 설치된 간선도로의 서비스수준 분석방법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는 것이다. 현장조사를 수행하기에 앞서 서울교통정보센터(Seoul Transport Operation and Information Service: TOPIS)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이용하여 서울시의 중앙버스전용차로에 대한 버스노선, 버스정류장 위치 및 버스정류장 별 노선수 등을 파악하였다.

가설 설정

  • 순행시간 산정표를 이용하여 각각의 평균통행속도와 두 개 차로군의 교통량을 적용하여 Eq. (2)와 같이 가중평균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기존방법과 다른 점은 버스전용차로를 포함한 간선도로의 서비스수준 평가를 위해서는 일반차로와 버스전용차로 각각의 교통량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앙버스전용차로의 도입의 목적은? 서울시는 2004년에 대중교통 서비스 향상과 이를 통한 대중교통이용 활성화를 목적으로 버스체계의 전면적인 개편과 함께 중앙버스전용차로의 도입을 시작하였으며, 도입당시에는 4개축, 총연장 36.1km에 불과하였던 것이 2012년에 12개 축, 총연장 115.
중앙버스전용차로 같은 시설의 용량분석방법 및 서비스 수준 판정기준 마련이 시급한 이유는? 0km로 운영되고 있다. 도입이후 중앙버스전용차로의 효과가 여러차례 입증되는(윤병조, 2008) 등 운영자 및 이용자의 평가역시 긍정적이어서 중앙버스전용차로는 지속적으로 증가될 전망이다. 이렇듯 중앙버스전용차로는 하나의 중요한 도시교통 시설로 자리 잡아가고 있으나 중앙버스전용차로에 대한 용량 및 서비스수준 분석방법 등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이 시설의 운영상태 파악 및 효율적인 운영에 지장을 주고 있는 형편이다. 서울시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중앙버스전용차로가 확대 설치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 시설에 대한 용량분석방법 및 서비스 수준 판정기준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가로변버스전용차로 현황은? 3km로 점차 확대되었다. 반면, 가로변버스전용차로는 2004년까지 전일제 및 시간제 총 65개 구간, 총연장 170.9km로 운영되었으나 중앙버스전용차로의 도입 이후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어 2011년에 총 44개 구간, 총연장 101.0km로 운영되고 있다. 도입이후 중앙버스전용차로의 효과가 여러차례 입증되는(윤병조, 2008) 등 운영자 및 이용자의 평가역시 긍정적이어서 중앙버스전용차로는 지속적으로 증가될 전망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Hong, Y., (2009)," The development of service evaluation model for transferring process of bus user in Seou", Thesis of Myongji University 

  2. Kim, B., Kim, S., Kim, Y., Kim, J., (2006), "Development of Determining Technique of Optimum Signal Time of Intersections On Median Exclusive Bus Lane using Bus-only Signal"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24, No. 5. 

  3. Kim, J., (2010), "A study of Establish Criterion of Median Bus Lanes for Application", Thesis of Dankook University 

  4. Kim, W., (2007), "A Development of Measure for Operational Effectiveness of the Exclusive Median Bus Lane", Seoul Institute 

  5. Lim, K., Shin. U., (2006), "A Study on Intersection Passing Bus Lane At An Signalized Intersection", Capital Region Research, Vol. 3, pp.71-81. 

  6.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1), "Highway Capacity Manual" 

  7.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2010), Design Guideline of Bus Rapid Transit(BRT), Gyeonggi-do, Korea 

  8. Relly, W. R., Gardner, C. C., and Kell, J. H., (1976.)," A Technique for Measurenment of Delay at Intersections",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Reports FHWA-RD-76-135, FHWA-RD-136, and FHWA-RD-137, Washington D.C., 

  9. Seo, J., (2010)", A Study on the Operation Improvement of Exclusive Bus Lane: In case of the Gwang-ju metropolitan area", Dissertation of Honam University 

  10.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2010), Highway Capacity Manual, Washington, D.C., U.S.A. 

  11. Yun, B.(2008), Change in Road Traffic Demand after the Operation of Exclusive Median Bus Lane in Seoul, J. Korea Soc. Road Eng., Vol.10 No. 3, pp.139-14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