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보건교육 요구도 및 정신건강보건교육
Health Education Needs and Mental Health Education of College Student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10, 2013년, pp.385 - 393  

박정민 (이화여자대학교 보건관리학과) ,  정원일 (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보건교육에 대한 실태분석을 통하여 보건교육의 실태와 요구도와의 괴리를 분석하고, 특히 정신보건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정신보건교육의 요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응답자의 정신건강상태를 통하여 찾아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정신보건교육과 지역사회보건 분야에서의 교육 요구도는 이미 이에 대한 교육을 받은 응답자가 교육을 받지 않은 응답자보다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정신보건교육 요구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건강상태를 분석한 결과 주위 환경에 많은 신경을 쓰고 있는 응답자일수록 정신건강보건교육의 요구가 높은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현재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보건교육의 컨텐츠 중 정신보건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향후 정신보건교육의 컨텐츠 강화 및 실효성 있는 교육이 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함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dicates that looking for what was main causes of needs in mental health education, searching through respondent's mental health statue. Respondent who received health education more emphasize than respondent who did not received health education in mental health education and communi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실제로 교육받은 경험이 있는 보건교육의 분야를 조사하고, 이에 대한 세부 항목별 요구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보건교육의 분야별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결국,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보건교육 실태를 조사하고 실제 대상자의 보건교육 요구도를 조사하여, 실제 보건교육 수혜 대상인 대학생들이 요구하는 보건교육 내용을 조사함으로써 향후 보건교육 수혜자에게 보건교육 요구도에 따른 적절한 보건교육 방향을 제시하도록 한다. 세부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첫째, 대학생의 보건교육 현황을 살펴보아, 실제 대학생이 어떠한 보건교육을 받고 있는지 살펴본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실제로 교육받은 경험이 있는 보건교육의 분야를 조사하고, 이에 대한 세부 항목별 요구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보건교육의 분야별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결국,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보건교육 실태를 조사하고 실제 대상자의 보건교육 요구도를 조사하여, 실제 보건교육 수혜 대상인 대학생들이 요구하는 보건교육 내용을 조사함으로써 향후 보건교육 수혜자에게 보건교육 요구도에 따른 적절한 보건교육 방향을 제시하도록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보건교육 수혜 여부와 함께 실제 보건교육이 필요한 분야에 대한 요구도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보건교육의 실행 강화 방안에 대하여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실제로 받은 보건교육의 컨텐츠별로 보건 교육의 요구도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보건교육에 대한 실태분석을 통하여 보건교육의 실태와 요구도와의 괴리를 분석하였다. 특히 대학생의 정신보건교육과 관련하여 이에 대한 요구도와 필요성을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 본 절에서는 정신보건교육 요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정신건강수준조사 항목에서 찾아보아 응답자의 특징을 살펴보도록 한다. 즉, 정신보건교육 요구도는 응답자의 정신건강수준에 의하여 결정된다는 가정 하에 본 연구에서 조사한 47개의 정신건강조사 지표를 설명 변수로 하여 단계적 회귀분석(stepwise regression)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 결국,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보건교육 실태를 조사하고 실제 대상자의 보건교육 요구도를 조사하여, 실제 보건교육 수혜 대상인 대학생들이 요구하는 보건교육 내용을 조사함으로써 향후 보건교육 수혜자에게 보건교육 요구도에 따른 적절한 보건교육 방향을 제시하도록 한다. 세부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첫째, 대학생의 보건교육 현황을 살펴보아, 실제 대학생이 어떠한 보건교육을 받고 있는지 살펴본다. 둘째, 조사 대상 대학생의 보건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살펴보아 보건분야의 세부항목별로 교육의 요구도를 살펴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보건교육을 강조하여 건강한 생활패턴 및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올바른 보건교육이 지속적이고 효과적으로 시행된다면 국민 전체의 건강수준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급변하는 경제사회 상황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국가경쟁력을 마련하는데도 중요한 기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학교보건교육을 강조하여 건강한 생활패턴 및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Vi는 무엇인가요? (단, Vi는 각 분야별 요구도의 평균값, Vj는 각 분야의 개별 항목별 요구도 점수이며, n은 답변한 사람들의 수를 나타냄)
설문의 구성은 어떠한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나요? 설문의 구성은 분야별 보건교육에 대한 수혜현황, 세부 분야별 보건교육의 요구도, SCL-90-R에 기반한 정신건강상태, 일반현황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인 내용으로써 교육수혜여부는 일상건강생활습관, 성장과 발달, 영양, 질병예방, 가족생활과 건강, 약물남용, 성교 육, 안전교육, 지역사회건강, 소비자보건, 정신건강, 환경보건 등 12개의 보기를 중복 응답하는 형식으로 구성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K. Goetz, Counseling demand overwhelms colleges, The Cincinnati Enquirer, 2002 

  2. L. Berger, The therapy generation, New York Times, 2002. 

  3. M. A. Kitzrow, "The Mental Health Needs of Today's College Students: Challenges and Recommendations," NASPA Journal, Vol.41, No.1, pp.167-181, 2003. 

  4. B. Rosenthal and W. Wilson, "Mental health services: Use and disparity among divers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Vol.57, No.1, pp.61-68, 2008. 

  5. J. Soet and T. Sevig, "Mental health issues facing a diverse sample of college students: Results from the College Student Mental Health Survey," NASPA Journal, Vol.43, No.3, pp.410-431, 2006. 

  6. 김경렬, 주현옥, 김영혜, "7차 교육과정 시행 후 초등 보건교사의 보건교육 실태",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2권, 제1호, pp.41-54, 2005. 

  7. 김정희, 송미령, 김고은, 김소희, 김수미, 박수정, 박진아, 안혜숙, 이정모, "대학생의 건강교육 경험 및 요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11권, 제1호, pp.66-81, 1997. 

  8. 문원희, 정길수, 김미자, "대학생의 정신건강수준과 스트레스, 대처능력 및 대처방식",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9권, 제3호, pp.103-114, 2012. 

  9. 박경민, 정혜선, 이종은, 김수은, "중학생의 건강 지식, 건강태도, 건강행동에 대한 학교보건교육의 효과", 한국학교보건학회지, 제25권, 제1호, pp.68-76, 2012. 

  10. 옥찬명, 문인옥, 김연희, "서울시 일부 대학생들의 건강습관과 건강상태의 관련성 연구", 대한보건연구, 제27권, 제3호, pp.198-208, 2001. 

  11. 유은영,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안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2호, pp.718-729, 2009. 

  12. 이규영, "보건교육 실태 및 내용 요구도 조사", 한국학교보건학회지, 제19권, 제2호, pp.1-12, 2006. 

  13. 이시백, "21세기 보건교육사업의 중요성과 보건소의 역할",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0권, 제2호, pp.217-221, 2003. 

  14. 이창국, 이명선, 서승희, 한성현, "일부고등학생들의 학교보건교육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지, 제22권, 제1호, pp.17-40, 2005. 

  15. 정원일, 이광석, 전용일, "산재발생요인과 근로손실 분석 : 소규모 제조업체에 고용된 국내 근로자와 외국인 노동자 비교분석", 한국경제연구, 제29권, 제2호, pp.139-174, 2011.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