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남 신안군과 제주도에서 재배되고 있는 손바닥 선인장 두 종간의 생리활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기존에 밝혀진 바 있는 생리활성을 중심으로 in vitro 조건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 ${\alpha}$-glucosidase와 tyrosinase 활성 억제능, 대식세포의 cytokine 생성 증가효과 및 뇌세포 산화적 손상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alpha}$-glucosidase 활성 억제 및 대식세포의 cytokine 생성 증가효과에서는 OFI 추출물의 효과는 거의 없거나 미약하게 보이지만, OH 추출물에서는 매우 효과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능과 tyrosinase 활성 억제효과에서는 OFI와 OH 추출물간의 큰 차이가 없으나 OFI 추출물에서 조금 더 좋은 효과를 나타냈다. 손바닥선인장 줄기와 줄기 다당류 추출물의 생리활성 비교 연구에서는 DPPH 라디칼 소거능, ${\alpha}$-glucosidase 활성 억제능 및 대식세포의 cytokine 생성 증가효과가 손바닥선인장 줄기 다당류 추출물보다 줄기 추출물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OFI 줄기 다당류 추출물의 tyrosinase 활성 억제효과는 양성대조물인 ascorbic acid 보다 높게 나타났다. 뇌세포 산화적 손상 억제효과에서는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모든 추출물에서 뇌세포 사멸을 약간 감소시키는 경향만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에 재배되고 있는 손바닥선인장 두 종의 생리활성을 비교한 결과, OH-S 추출물은 ${\alpha}$-glucosidase 활성 억제능 및 대식세포의 cytokine 생성 증가효과 그리고 OFI-SP 추출물은 tyrosinase 활성 억제효과가 상대적으로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역농민의 소득창출을 위한 유용생물자원으로서 고부가가치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추출법, 전임상 동물실험 그리고 유효성분의 개발과정이 수반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puntia extract has been traditionally used to treat diabetes, inflammation, and rheumatoid arthritis in oriental medici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biological activity between Opuntia humifusa and Opuntia ficus-indica which is cultivating in korea using c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ficus-indica 두 종간의 생리활성에 관한 비교 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는 손바닥선인장 두 종간의 생리활성을 비교 연구함으로써 종의 차이에 따른 기능적 특성을 구별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전남 신안군과 제주도에서 재배되고 있는 손바닥선인장 두 종간의 생리활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기존에 밝혀진 바 있는 생리활성을 중심으로 in vitro 조건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 α-glucosidase와 tyrosinase 활성 억제능, 대식세포의 cytokine 생성 증가효과 및 뇌세포 산화적 손상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채선인장속(Opuntia) 선인장을 손바닥선인장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지구상에는 4,000여종의 선인장이 있는데 그 중 부채선인장속(Opuntia) 선인장을 손바닥 모양처럼 생겼다하여 손바닥선인장으로 부른다. 우리나라에서는 오래 전부터 민간요법으로 손바닥선인장의 열매와 줄기를 변비, 이뇨, 식욕증진, 피부질환, 류마티스 및 화상치료에 사용하고 있다(김, 1996).
손바닥선인장은 본초강목에서 어디에 효능이 있다고 하였는가? 우리나라에서는 오래 전부터 민간요법으로 손바닥선인장의 열매와 줄기를 변비, 이뇨, 식욕증진, 피부질환, 류마티스 및 화상치료에 사용하고 있다(김, 1996). 한의약고서인 본초강목(本草綱目)에 의하면 손바닥선인장은 기관지, 천식, 기침, 폐질환, 위염, 변비, 장염, 신경통, 관절염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ark et al., 2012).
부채선인장속(Opuntia) 선인장의 열매와 줄기 효능은? 지구상에는 4,000여종의 선인장이 있는데 그 중 부채선인장속(Opuntia) 선인장을 손바닥 모양처럼 생겼다하여 손바닥선인장으로 부른다. 우리나라에서는 오래 전부터 민간요법으로 손바닥선인장의 열매와 줄기를 변비, 이뇨, 식욕증진, 피부질환, 류마티스 및 화상치료에 사용하고 있다(김, 1996). 한의약고서인 본초강목(本草綱目)에 의하면 손바닥선인장은 기관지, 천식, 기침, 폐질환, 위염, 변비, 장염, 신경통, 관절염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ar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limi, H., N. Hfaiedh, Z. Bouoni, M. Hfaiedh, M. Sakly, L. Zourgui and K.B. Rhouma. 2010. Antioxidant and antiulcerogenic activities of Opuntia ficus indica f. inermis root extract in rats. Phytomedicine 17(14):1120-1126. 

  2. Benalla, W., S. Bellahcen and M. Bnouham. 2010. Antidiabetic medicinal plants as a source of alpha glucosidase inhibitors. Curr. Diabetes Rev. 6(4):247-254. 

  3. Butterweck, V., L. Semlin, B. Feistel, I. Pischel, K. Bauer and E.J. Verspohl. 2011. Comparative evaluation of two different Opuntia ficus-indica extracts for blood sugar lowering effects in rats. Phytother. Res. 25(3):370-375. 

  4. Chan, Y.Y., K.H. Kim and S.H. Cheah. 2011. Inhibitory effects of Sargassum polycystum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formation in B16F10 murine melanoma cells. J. Ethnopharmacol. 137(3):1183-1188. 

  5. Cho, J.Y., S.C. Park, T.W. Kim, K.S. Kim, J.C. Song, S.K. Kim, H.M. Lee, H.J. Sung, H.J. Park, Y.B. Song, E.S. Yoo, C.H. Lee and M.H. Rhee. 2006. Radical scavenging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xtracts from Opuntia humifusa Raf. J. Pharm. Pharmacol. 58:113-119. 

  6. Ginestra, G., M.L. Parker, R.N. Bennett, J. Robertson, G. Mandalari, A. Narbad, R.B. Lo Curto, G. Bisignano, C.B. Faulds and K.W. Waldron. 2009. Anatomical, chem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cladodes from prickly pear [Opuntia ficus-indica (L.) Mill.]. J. Agric. Food Chem. 57(21):10323-10330. 

  7. Hahm, S.W., J. Park and Y.S. Son. 2011. Opuntia humifusa stems lower blood glucose and cholesterol level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Nutr. Res. 31(6):479-487. 

  8. Iwai, K., N. Kishimoto, Y. Kakino, K. Mochida and T. Fujita. 2004. In vitro antioxidative effects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seven hydroxycinnamoyl derivatives in green coffee beans. J. Agric. Food Chem. 52(15):4893-4898. 

  9. Kim, J.H., S.M. Park, H.J. Ha, C.J. Moon, T.K. Shin, J.M. Kim, N.H. Lee, H.C. Kim, K.J. Jang and M.B. Wie. 2006. Opuntia ficus-indica attenuates neuronal injury in vitro and in vivo models of cerebral ischemia. J. Ethnopharmacol. 104(1-2): 257-262. 

  10. Kim, J.M., D.H. Kim, S.J. Park, D.H. Park, S.Y. Jung, H.J. Kim, Y.S. Lee, C. Jin and J.H. Ryu. 2010. The n-butanolic extract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enhances longterm memory in the passive avoidance task in mice. Prog. Neuropsychopharmacol. Biol. Psychiatry 34(6):1011-1017. 

  11. Kim, S.H., B.J, Jeon, D.H. Kim, T.I. KimI, H.K. Lee, D.S. Han, J.H. Lee, T.B. Kim, J.W. Kim and S.H. Sung. 2012. Prickly pear cactus (Opuntia ficus indica var. saboten) protects against stress-induced acute gastric lesions in rats. J. Med. Food. 15(11):968-976. 

  12. Kwon, M.C., J.G. Han, H.S. Jeong, S.A. Qadir, Y.B. Choi, J.R. Ko, T.I. Lim and H.Y. Lee. 2008. Enhancement of immune activities of Opuntia ficus-indica L. Miller by ultrasonication extraction proces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6(1):1-8 (in Korean). 

  13. Lee, J.A., B.G. Jung and B.J. Lee. 2012. Inhibitory effects of Opuntia humifusa on 7, 12-dimethyl- benz[a]anthracene and 12-O-tetradecanoyl -phorbol-13-acetate induced two-stage skin carcinogenesis. Asian Pac. J. Cancer Prev. 13(9): 4655-4660. 

  14. Lee, J.C., H.R. Kim, J. Kim and Y.S. Jang. 2002. Antioxidant property of an ethanol extract of the stem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J. Agric. Food Chem. 50(22):6490-6496. 

  15. Lee, K.S., C.S. Oh and K.Y. Lee. 2004. Antimicrobial effects of the extracts of Cactus Chounnyouncho (Opuntia humifusa) against food borne pathoge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8):1268-1272 (in Korean). 

  16. Lee, N.H., J.S. Yoon, B.H. Lee, B.W. Choi and K.H. Park. 2000. Screening of the radical scavenging effects, tyrosinase inhibition and anti-allergic activities using Opuntia ficus-indica. Korean J. Pharmacogn. 31(4):412-415 (in Korean). 

  17. Malterud, K.E., T.L. Farbrot, A.E. Huse and R.B. Sund. 1993. Antioxidant and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anthraquinones and anthrones. Pharmacology 47:77-85. 

  18. Moon, C.J., S.J. Kim, M.J. Ahn, S.J. Lee, S.J. Park, K.S. Jeong, D.Y. Yoon, Y.K. Choe and T.K. Shin. 2000. Effects of Opuntia ficus-indica extract on immune cell activation. Korean J. Life Sic. 10(4):362-364 (in Korean). 

  19. Moran-Ramos, S., A. Avila-Nava, A.R. Tovar, J. Pedraza-Chaverri, P. Lopez-Romero and N. Torres. 2012. Opuntia ficus-indica (nopal) attenuates hepatic steatosis and oxidative stress in obese Zucker (fa/fa) rats. J. Nutr. 142(11):1956-1963. 

  20. Park, S.H., H. Kim and D.Y. Rhyu. 2007. Flavonoids from the stems of eastern picklypear Opuntia humifusa, Cactaceae. J. Appl. Biol. Chem. 50(4):254-258. 

  21. Park, C.M., H.K. Kwak, R.S. Bhesh and D.Y. Rhyu. 2012. Anti-diabetic effect of Opuntia humifusa stem extract. Korean J. Pharmacogn. 43(4):308-315 (in Korean). 

  22. Shin, E.H., S.J. Park and S.K. Choi. 2011.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5):691-697 (in Korean). 

  23. Winitchai, S., I. Manosroi, M. Abe, K. Boonpisuttinant and A. Manosroi. 2011.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and fatty acids composition of oils from Pupae of Native Thai Silkworm (Bombyx mori L.). Kasetsart J. Nat. Sci. 45:404-412. 

  24. Yoon, M.S., J.S. Yoo, K.K. Lee and M.K. Kim. 2012. A study on biological activities of Opuntia humifusa cladode extracts. J. Appl. Biol. Chem. 55(2):117-121 (in Korean). 

  25. 김태정. 1996. 한국자원식물도감, 서울대학교 출판부, 대한민국. pp. 140-1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