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료곡 처리조건에 따른 동부나물 생산량과 생장반응
The Yield and Growth Responses of Cowpea Sprouts According to the Treatment Conditions of Raw Seed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6 no.5, 2013년, pp.636 - 644  

김동관 (전라남도농업기술원) ,  김용순 (전라남도농업기술원) ,  박흥규 (전라남도농업기술원) ,  신해룡 (전라남도농업기술원) ,  최경주 (전라남도농업기술원) ,  김영민 (동의나라(주)) ,  천상욱 ((주)이파리넷)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원료곡인 동부의 침종, 포화, 노화 조건이 동부나물 생산량과 생장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흡수량은 침종 초기 2시간까지는 급속히 증가하다 이후에는 완만히 증가하였으나, 발아력과 나물 생산수율 및 잔뿌리 발생량은 침종기간(1~6시간)이 길어질수록 낮았다. 5일간 포화(수분 $96{\pm}1%$, $20^{\circ}C$)처리가 무처리나 1, 3일간 포화처리에 비해 발아력과 나물 생산수율 및 잔뿌리 발생량이 높았다. 고온 노화처리에 따른 발아력과 나물 생산수율은 무처리에 비해 낮았는데, 이상의 결과로 동부나물 재배를 위한 원료곡 전처리 방법은 5일간 포화(수분 $96{\pm}1%$, $20^{\circ}C$)처리하고 세척하여 재배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examined the effects of soaking, saturation, and aging conditions of raw cowpea seeds, on the yield and growth responses of cowpea sprouts. The absorption caused rapid growth for the first two hours of soaking, then the growth slowed. The longer the soaking period (varied from 1 to 6 hours),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9) 외나물생산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원료곡인 동부의 침종, 포화, 노화 등 전처리 방법이 나물 생산량, 품질 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동부나물 상품화를 위한고품질 생산체계 확립에 적용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부의 침종, 포화, 노화 조건이 동부나물 생산량과 생장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원료곡인 동부의 침종, 포화, 노화 조건이 동부나물 생산량과 생장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흡수량은 침종 초기 2시간까지는 급속히 증가하다 이후에는 완만히 증가하였으나, 발아력과 나물 생산수율 및 잔뿌리 발생량은 침종기간(1∼6시간)이 길어질수록 낮았다. 5일간 포화(수분 96 ± 1%, 20℃)처리가 무처리나 1, 3일간 포화처리에 비해 발아력과 나물 생산수율및 잔뿌리 발생량이 높았다. 고온 노화처리에 따른 발아력과 나물 생산수율은 무처리에 비해 낮았는데, 이상의 결과로 동부나물 재배를 위한 원료곡 전처리 방법은 5일간 포화(수분 96±1%, 20℃)처리하고 세척하여 재배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
원료곡의 침종, 포화+침종 및 노화처리가 동부나물 생산량, 생장반응 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에서 생장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측정한 것은? 나물수율은 나물 재배용 원료곡인 동부의 종실중 대비 일정 재배기간별로 나물 생체중의 비로 나타냈고, 발아되지 않았거나 발아력이 약한 종실의 비율은 나물 재배용 원료곡인 동부의 종실중 대비 나물 재배 후에도 발아되지 않거나 발아력이 약한 종실중(수분흡수 전 원료곡 종실중으로 환산)의 비로 나타냈다. 그리고 일정 재배기간별로 나물의 전체, 상배축, 하배축 및 뿌리 길이를 측정하였다.
종자의 발아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를 발아시킨 동부나물은 우리나라에서 이용사례가 거의 없는 식품인 반면, 두류를 이용한 콩나물과 녹두나물은 고유의 전통식품으로 오랜 기간 이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종자의 발아과정에서 trypsin inhibitor의 활성을 저해하고 phytic acid를 감소시켜 무기물의 이용성이 증대된다고 알려져 있고(Kim et al., 1984; Suaaex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ae, K.G., S.W. Nam, K.N. Kim and Y.H. Hwang. 2002a. Effect of microbe control and water temperature on early growth and yield of soybean sprouts. Korean J. Crop Sci. 47(6):453-458 (in Korean). 

  2. Bae, K.G., S.W. Nam, K.N. Kim, S.J. Shin and Y.H. Hwang. 2002b. Water uptake and germination of soybean seed as affected by soaking condition. Korean J. Crop Sci. 47(3):244-249 (in Korean). 

  3. Choi, H.D., S.S. Kim, K.T. Kim, J.Y. Lee and W.M. Park. 2000. Effect of presoaking treatments on growth and rot of soybean sprou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3):584-589 (in Korean). 

  4. Chon, S.U. 2013. Change in polyphenol content,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oxidant enzyme status of cowpea during germination. Korean J. Plant Res. 26(1):60-67 (in Korean). 

  5. Doo, H.S., W.J. Baek and J.H. Ryu. 2001. Effects of scarification and soaking treatment on germination of sword bean seed. Korean J. Crop Sci. 46(3):165-169 (in Korean). 

  6. Kang, J.H., B.S. Jeon, S.W. Lee, Z.R. Choe and S.I. Shim. 2003. Enhancement of seed germination by aging, cold-stratification, and light quality during desiccation in burcucumber (Sicyos angulatus L.). Korean J. Crop Sci. 48(1):13-16 (in Korean). 

  7. J.H. Kang, Y.S. Ryu, S.Y. Yoon, S.H. Jeon and H.K. Kim. 2004a. Effect of benzyladenopurine soaking period on growth of mungbean sprouts. Korean J. Crop Sci. 49(6):477-481 (in Korean). 

  8. J.H. Kang, Y.S. Ryu, S.Y. Yoon, S.H. Jeon, and S.H. Cho. 2004b. Effects of aeration period and temperature after imbibition on growth of mungbean sprouts. Korean J. Crop Sci. 49(6):472-476 (in Korean). 

  9. J.H. Kang, Y.S. Ryu, S.Y. Yoon, S.H. Jeon, and S.R. Kim. 2004c. Effect of benzyladenopurine concentration in soaking solution on growth of mungbean sprouts. Korean J. Crop Sci. 49(6):482-486 (in Korean). 

  10. Kim, S.D., C.W. No, Y.H. Cha, J.T. Cho, K.C. Kwun and S.G. Som. 1986. A new high yielding, sun-elect and disease resistant cowpea variety "Seoweondongbu". Res. Rept. RDA (Crops) 28(1):168-170 (in Korean). 

  11. Kim, S.H., M.H. Chang, J.I. Chung and S.I. Shim. 2009. Effects of scarification and water soaking treatment on germination of hard-seeded legumes. Korean J. Crop Sci. 54(3):320-326 (in Korean). 

  12. Kim, W.J., N.M. Kim and H.S. Sung. 1984. Effect of germination on phytic acid and soluble minerals in soymilk. Korean J. Food Sci. Technol. 16(3):358-362 (in Korean). 

  13. Lee, Y.H., C.O. Rhee and S.J. Joe. 1986. Temperature dependence of leaching rate of soluble solids during soaking of soybeans. Korean J. Food Sci. Technol. 18(6):497-502 (in Korean). 

  14. Oh, M.K., S.H. Rhee and H.S. Cheigh. 1992. Changes of lipid composition of Korean black soybean before and after soak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1(1):29-35 (in Korean). 

  1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1. Food composition table (8th Revision). pp. 90-179 (in Korean). 

  16. Sinhg, S.B., H.H. Hadley and F.I. Collins. 1968. Distribution of fatty acids in germination soybean seed. Crop Sci. 8:171. 

  17. Suaaex, I., M. Clutter and V. Walbot. 1975. Benzyladenine reversal of ascorbic acid inhibition of growth and RNA synthesis in the germination bean axis. Plant Physiol. 56:575-578. 

  18. Yoshiga, H. and G. Kajimoto. 1978. Fatty acid distribution in glycolipids and phospholipid in cotyledons of germinating soybeans. Agro. Biol. Chem. 42:132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