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방공무원의 우울증상과 외상후스트레스장애와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Firefighters 원문보기

한국방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13 no.5, 2013년, pp.219 - 224  

조선덕 (아주대학교 직업환경의학과) ,  박재범 (아주대학교 직업환경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소방공무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직무특성, 우울,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수준을 알아보고, 우울증상과 외상후스트레스장애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기도 31개 시군 소방공무원 4,446명을 대상으로 경기도 광역정신보건센터에서 2010년 11월 10일부터 11월 23일까지 실시한 단면연구 자료 중 외상후스트레스장애와 우울에 관한 자료를 재분석하였다. 인구 사회학적, 직무특성, 우울증 각 특성에 따른 외상후스트레스장애의 수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카이검정(chi-squar test)을 실시하였다. 소방공무원의 우울증상이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소방공무원의 우울수준은 경한 우울군 710명(16%), 중증 우울군 409명(9.2%), 심한 우울군 173명(3.9%)으로 나타났으며, PTSD 저위험군 2,862명(86.9%), 고위험군 584명(13.1%)으로 조사 되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성별, 나이는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직무특성 중 출동건수, 외상경험, 정신과 치료여부는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우울증상에 따른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수준의 차이는 저위험군에서 290명(7.5%)이고, 고위험군 294명(50.5%)로 나타났다. 우울수준 고위험군에서 PTSD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우울증상은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수준을 높이는 요인으로 관련성이 가장 높았다.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정신건강 관리에 대한 기초 연구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firefighters. We re-analyzed the survey data conducted by Gyeonggi Provincial Mental Health Center from November 10th to 23th in 2010 with final sample size 4,446. The important factors t...

주제어

참고문헌 (10)

  1. Hypetension 97 1 1967 

  2. J. Nerv. Ment. Dis. 183 267 1995 10.1097/00005053-199504000-00014 

  3. Korean Neuro Psychiatric Associatio. 44 303 2005 

  4.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64 1 1992 10.1007/BF00625945 

  5.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2 2276 2005 10.1176/appi.ajp.162.12.2276 

  6. The Korean Jounal of Health Psychology 13 25 2008 10.17315/kjhp.2008.13.1.002 

  7. J. Korean Acad Fundam Nurs 13 96 2006 

  8. Stress and Health 19 189 2003 10.1002/smi.974 

  9. Scand J. Work Environ Health 32 443 2006 10.5271/sjweh.1050 

  10.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8 833 2009 10.15842/kjcp.2009.28.3.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