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방공무원에서 탄력성이 외상후스트레스 증상과 해리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 효과
Depression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Dissociation in Firefighters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4 no.1, 2016년, pp.109 - 116  

권태훈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현소연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정영기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임기영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노재성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강대용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교실) ,  하귀염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의학통계실) ,  김남희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에서 탄력성이 외상후스트레스 증상 및 해리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탄력성과 각 외상후스트레스 증상 및 해리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총 115명의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생활사건 체크리스트, 사건충격척도-개정판, 해리경험척도, 벡 우울척도, 코너-데이비슨 탄력성 척도를 시행하였다. 탄력성이 외상후스트레스 증상과 해리에 미치는 영향 및 우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과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결 과 탄력성이 높을수록 낮은 외상후스트레스 증상과 낮은 해리를 보였으며, 각 탄력성과 외상후스트레스 증상 및 해리의 관계는 우울이 완전 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탄력성이 외상후스트레스 증상 및 해리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이 아닌 우울을 통해 간접적으로 각 증상을 감소시킴을 보여주었다. 결 론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에서 외상후스트레스 증상 및 해리의 예방과 치료에 있어 탄력성 강화와 우울 증상 감소를 목표로 한 임상적 개입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silience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dissociation and whether depression medi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resili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dissociation. Methods : A total of 115 firefighters participated in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에서 탄력성이 외상후스트레스 증상 및 해리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각 탄력성과 외상스트레스 증상의 관계와 탄력성과 해리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D-RISC에는 어떤 것들이 포함되어있는가? CD-RISC은 총 25문항으로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0=전혀 그렇지 않다, 1=약간 그렇지 않다, 2=보통이다, 3=약간 그렇다, 4=매우 그렇다) 총점이 높을수록 강한 탄력성을 나타낸다. ‘개인의 성취와 유능함’, ‘부정적인 정서에 대한 인내와 스트레스에 대한 강인성’, ‘변화에 대한 긍정적인 수용과 안정된 인간관계’, ‘통제력’, ‘영성’이 포함되어 있다. Baek 등31)이 표준화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Cronbach α 신뢰도 계수는 0.
PTSD의 측면에서 해리는 어떠한 특징을 가지는가? 해리는 광의적 의미로 의식, 기억, 정체성, 정서, 인지 및 신체감각, 행동 등의 정상적 통합과정의 장애를 뜻하고, PTSD의 측면에서 보면 이인화나 비현실감을 특징으로 한다.9) 해리는 PTSD와 함께 발생할 수 있고 외상기억의 재처리와 외상기억 관련 정서와 인지의 활성화를 방해하여 외상-중심 치료의 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광의적 의미로서 해리란? 해리는 광의적 의미로 의식, 기억, 정체성, 정서, 인지 및 신체감각, 행동 등의 정상적 통합과정의 장애를 뜻하고, PTSD의 측면에서 보면 이인화나 비현실감을 특징으로 한다.9) 해리는 PTSD와 함께 발생할 수 있고 외상기억의 재처리와 외상기억 관련 정서와 인지의 활성화를 방해하여 외상-중심 치료의 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Corneil W, Beaton R, Murphy S, Johnson C, Pike K. Exposure to traumatic incidents and prevalence of posttraumatic stress symptomatology in urban firefighters in two countries. J Occup Health Psychol 1999;4:131-141. 

  2. Chung Y, Kim NH, Kim D, Bae JH, Kwon JS, Jang JH, Jung WH, Kim SH, Kim JK, Oh DH.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indings in firefighters with partial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the effect of treatment by using 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reprocessing.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4;53:122-133. 

  3. 성시경, 형시영, 이현국, 김윤호. 소방공무원 보건안전복지 실태조사 및 정책방안 연구. 소방방재청 용역보고서;2014. 

  4. 배점모. 소방공무원의 출동충격, 사회적 지지, 대처행태와 PTSD 증상 및 심리적 복지감 간의 관계. 한국행정학보;2010; 44:141-163. 

  5. Kim TW, Kim KS, Ahn YS.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field firefight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10;22:378-387. 

  6. Chen YS, Chen MC, Chou FHC, Sun FC, Chen PC, Tsai KY, Chao SS.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r major depression for firefighters in kaohsiung, taiwan. Quality of Life Research 2007;16:1289-1297. 

  7. Lee JS, Ahn YS, Jeong KS, Chae JH, Choi KS. Resilience buffers the impact of traumatic events on the development of PTSD symptoms in firefighters. J Affect Disord 2014;162:128-133. 

  8. Sattler DN, Boyd B, Kirsch J. Trauma-exposed firefighters: Relationships among posttraumatic growth, posttraumatic stress, resource availability, coping and critical incident stress debriefing experience. Stress and Health 2014;30:356-365. 

  9.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5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2013. 

  10. Cloitre M, Stovall-McClough KC, Miranda R, Chemtob CM. Therapeutic alliance, negative mood regulation, and treatment outcome in child abuse-relate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J Consult Clin Psychol 2004;72:411-416. 

  11. Karam EG, Friedman MJ, Hill ED, Kessler RC, McLaughlin KA, Petukhova M, Sampson L, Shahly V, Angermeyer MC, Bromet EJ. Cumulative t raumas and risk thresholds: 12-month PTSD in the world mental health(wmh) surveys. Depress Anxiety 2014;31:130-142. 

  12. Tsai J, Armour C, Southwick SM, Pietrzak RH. Dissociative subtype of DSM-5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u.S. Veterans. J Psychiatr Res 2015;66-67:67-74. 

  13. Lanius RA, Vermetten E, Loewenstein RJ, Brand B, Schmahl C, Bremner JD, Spiegel D. Emotion modulation in PTSD: Clinical and neurobiological evidence for a dissociative subtype. Am J Psychiatry 2010;167:640-647. 

  14. Lanius RA, Brand B, Vermetten E, Frewen PA, Spiegel D. The dissociative subtyp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Rationale, clinical and neurobiological evidence, and implications. Depress Anxiety 2012;29:701-708. 

  15. Saleebey D. The strengths perspective in social work practice: Extensions and cautions. Social Work 1996;41:296-305. 

  16. Ko YN. The effects of emotional trauma in childhood on the depression and anxiety level for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Journal of Youth Welfare 2016;18:105-132. 

  17. Levine SZ, Laufer A, Stein E, Hamama-Raz Y, Solomon Z.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J Trauma Stress 2009;22:282-286. 

  18. Kukihara H, Yamawaki N, Uchiyama K, Arai S, Horikawa E. Trauma, depression, and resilience of earthquake/tsunami/ nuclear disaster survivors of hirono, fukushima, japan. Psychiatry Clin Neurosci 2014;68:524-533. 

  19. Ying L, Wu X, Lin C, Jiang L. Traumatic severity and trait resilience as predictor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adolescent survivors of the wenchuan earthquake. PLoS One 2014;9:e89401. 

  20. Besser A, Weinberg M, Zeigler-Hill V, Neria Y. Acute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and dissociative experiences among female israeli civilians exposed to war: The roles of intrapersonal and interpersonal sources of resilience. J Clin Psychol 2014;70:1227-1239. 

  21. Lee HE, Kang SH, Ye BS, Choi JH. The effect of resilience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and comorbid symptoms in firefighters. Anx Mood 2012;8:86-92. 

  22. Cho Y. The influence of resillience on mental well-being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of trauma-exposed individuals: Mediating effects of post-traumatic growth and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Cognitive Behavior Therapy 2014;14:359-386. 

  23. Bae HL, Kim DH, Koh H, Kim YS, Park JS.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life events checklist-korean version. Psychiatry Investig 2008;5:163-167. 

  24. Weiss DS. The impact of event scale: Revised. Cross-cultural assessment of psychological trauma and PTSD: Springer;2007. p. 219-238. 

  25. Lim HK, Woo JM, Kim TS, Kim TH, Choi KS, Chung SK, Chee IS, Lee KU, Paik KC, Seo HJ, Kim W, Jin B, Chae JH.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Compr Psychiatry 2009;50:385-390. 

  26. Park J, Choe B, Kim M, Han H, Yoo S, Kim S. Standardization of dissociative experiences scale-korean version. Korean J Psychopathol 1995;4:105-125. 

  27. Carlson EB, Putnam FW. An update on the dissociative experiences scale. Dissociation: progress in the dissociative disorders; 1993. 

  28. Beck AT.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1967. 

  29. Lee YH, Song JY.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BDI, SDS, and MMPI-D scales. Korean J Clin Psychol 1991;10:98-113. 

  30. Connor KM, Davidson JR. Development of a new resilience scale: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CD-RISC). Depress Anxiety 2003;18:76-82. 

  31. Baek HS, Lee KU, Joo EJ, Lee MY, Choi K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Psychiatry Investig 2010;7:109-115. 

  32. Hooper D, Coughlan J, Mullen M.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Guidelines for determining model fit. Electronic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Methods 2008;6:53-60. 

  33. Hoge EA, Austin ED, Pollack MH. Resilience: Research evidence and conceptual considerations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Depress Anxiety 2007;24:139-152. 

  34. Haeffel GJ, Vargas I. Resilience to depressive symptoms: The buffering effects of enhancing cognitive style and positive life events. J Behav Ther Exp Psychiatry 2011;42:13-18. 

  35. Wingo AP, Wrenn G, Pelletier T, Gutman AR, Bradley B, Ressler KJ. Moderating effects of resilience on depression in individuals with a history of childhood abuse or trauma exposure. J Affect Disord 2010;126:411-414. 

  36. Pietrzak RH, Johnson DC, Goldstein MB, Malley JC, Southwick SM. Psychological resilience and postdeployment social support protect against traumatic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in soldiers returning from operations enduring freedom and iraqi freedom. Depress Anxiety 2009;26:745-751. 

  37. 김희숙, 박경란, 이호진. 소방공무원의 사건충격에 미치는 영향요 인: 구미시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한국위기관리논집 2013;9:1-16. 

  38. Bryant RA, Guthrie RM. Maladaptive self-appraisals before trauma exposure predict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J Consult Clin Psychol 2007;75:812-815. 

  39. Lee JS, Joo EJ, Choi KS. Perceived stress and self-esteem mediate the effects of work-related stress on depression. Stress and Health 2013;29:75-81. 

  40. Pedrelli P, Feldman GC, Vorono S, Fava M, Petersen T. Dysfunctional attitudes and perceived stress predict depressive symptoms severity following antidepressant treatment in patients with chronic depression. Psychiatry Res 2008;161:302-308. 

  41. Hammack SE, Cooper MA, Lezak KR. Overlapping neurobiology of learned helplessness and conditioned defeat: Implications for PTSD and mood disorders. Neuropharmacology 2012;62:565-575. 

  42. Maier SF. Exposure to the stressor environment prevents the temporal dissipation of behavioral depression/learned helplessness. Biol Psychiatry 2001;49:763-773. 

  43. Pietrzak RH, Johnson DC, Goldstein MB, Malley JC, Rivers AJ, Morgan CA, Southwick SM. Psychosocial buffers of traumatic stress, depressive symptoms, and psychosocial difficulties in veterans of operations enduring freedom and iraqi freedom: The role of resilience, unit support, and postdeployment social support. J Affect Disord 2010;120:188-192. 

  44. Saijo Y, Ueno T, Hashimoto Y. Twenty-four-hour shift work, depressive symptoms, and job dissatisfaction among japanese firefighters. Am J Ind Med 2008;51:380-391. 

  45. Kim SY, Jung NY, Yeon B, Hwang SY, Lee KU. The effect of interpersonal sensitivity/resilience on depression and anxiety in firefighters. Anx Mood 2011;7:107-112. 

  46. Powers A, Cross D, Fani N, Bradley B. PTSD, emotion dysregulation, and dissociative symptoms in a highly traumatized sample. J Psychiatr Res 2015;61:174-179. 

  47. Fergus S, Zimmerman MA. Adolescent resilience: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healthy development in the face of risk. Annu Rev Public Health 2005;26:399-419. 

  48. Southwick SM, Charney DS. The science of resilience: Implication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pression. Science 2012;338:79-82. 

  49. Karatsoreos IN, McEwen BS. Psychobiological allostasis: Resistance, resilience and vulnerability. Trends Cogn Sci 2011;15: 576-58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