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공원 서비스권역 내 · 외 이용인구 정밀 분석 - 대구광역시 근린공원, 주민등록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
Sensitivity Analysis on the Population within and outside of the Urban Park Service Areas - Focused on Daegu Metropolitan City Neighborhood Parks and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Data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1 no.5, 2013년, pp.9 - 18  

손승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안동만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도시공원 공간적 분포의 문제점을 도시공원 서비스권역과 주소별 주민등록 데이터를 사용한 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도시공원 중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해 지정된 "거주자의 보건 휴양 및 정서생활의 향상에 이바지 하기 위해 설치"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크게 1) 근린공원 서비스권역 분석, 2) 근린공원 서비스권역 내 외 인구분석, 3) 기존 연구와의 비교 검토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들에서 나타났던 거주민 분석의 한계를 개선하고자 차별성을 두어, 각 주소별로 등록된 거주민 주민등록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제 거주하는 주민수를 적용하였다. 근린공원 서비스권역 또한 기존에 주로 사용되었던 직선거리를 적용한 버퍼분석이 아닌 보행로, 새주소길 등을 적용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도출한 결과, 근린공원 서비스권역 면적은 전체면적의 7.99%의 비율을 보였으며, 전체 주거지역 중 근린공원 서비스권역 면적은 31.23%의 비율을 보였다. 근린공원 서비스권역 내에 거주하는 인구는 대구광역시 인구의 43.03%만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 인구 반 이상의 인구가 서비스권역 외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존 연구방법과의 비교 검토 결과는 근린공원 서비스권역 및 서비스권역 내 외 인구 수치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rban parks are public spaces that provide various services for any urban resident to use and enjoy. Parks should be fairly distributed so that the urban parks can be equally used amongst different regions, generations and classes. Researches on spatial distribution of urban parks have been continu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거주민이 도보로 이용할 수 있는 도시공원의 공간적 분포를 법적 유치거리를 적용한 서비스권역과 주소별 주민 등록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평가하였다. 본 논문에서의 유치거리란 거주지에서 도보로 공원을 이용할 수 있는 거리로 여길 수 있는데, 특정 공원에서 유치거리 최대 지점을 연결한 면 형태가 그 공원의 서비스권역이라고 할 수 있다.
  • 기존 연구들에서 시행하였던 서비스권역 분석과 거주민 분석에 차별성을 두어,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네트워크 분석을 사용한 서비스권역 설정, 각 주소별로 등록된 거주민 주민등록 데이터를 활용한 실제 거주민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시공원 분포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도시공원이 조성되어야 할 곳의 객관적 기준 마련을 최종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기존에 진행되었던 도시공원 서비스권역 및 거주민 분석 방법을 적용한 결과와 본 연구 방법을 적용한 결과를 비교․검토하였다.
  • 이처럼 도시공간에서의 공원 부족은 심각하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도시공원이 조성되어야 할 곳의 객관적 기준이 마련 되어 공원조성계획의 근간이 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주거지역 중 근린공원 서비스 권역이 미흡한 곳, 근린공원 서비스 권역 외 인구가 많이 거주하는 곳을 도출하여 공원 조성 정책 과정에서 공간의사결정에 객관적 근거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공원이란? 도시공원은 누구에게나 접근이 용이한 공간이고, 도시민에게 다양하고 긍정적 기능을 제공하는 도시계획시설(신지영, 2010)이며, 도시에 거주하거나 이용하는 불특정 다수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두가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공공재이다(Walker, 2004; Chiesura, 2004; 신지영, 2010).
본 논문에서의 유치거리란? 본 연구는 거주민이 도보로 이용할 수 있는 도시공원의 공간적 분포를 법적 유치거리를 적용한 서비스권역과 주소별 주민 등록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평가하였다. 본 논문에서의 유치거리란 거주지에서 도보로 공원을 이용할 수 있는 거리로 여길 수 있는데, 특정 공원에서 유치거리 최대 지점을 연결한 면 형태가 그 공원의 서비스권역이라고 할 수 있다. 기존 연구들에서 시행하였던 서비스권역 분석과 거주민 분석에 차별성을 두어,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네트워크 분석을 사용한 서비스권역 설정, 각 주소별로 등록된 거주민 주민등록 데이터를 활용한 실제 거주민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부분 연구에서 서비스권역 설정을 공원에서 일직선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고, 무엇보다 공원을 이용하는 주체인 거주민에 대한 분석에 한계가 있었던 이유는? 하지만 대부분 연구에서 서비스권역 설정을 공원에서 일직선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고, 무엇보다 공원을 이용하는 주체인 거주민에 대한 분석에 한계가 있었다. 이는 필지에 대한 인구 정보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도시공원 서비스권역 내에 거주하는 주민 수를 동일한 규모(같은 크기의 격자), 우편번호, 최소 행정구역 등으로 일정하게 분류하고, 인구수를 분석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법률 제11292호, 2012.2.1., 일부개정. 

  2. 국토해양부(2010) 공원녹지기본계획수립 지침 일부 개정안. 국토해양부 보고서. 

  3. 국토해양부(2011) 2011년도 주택업무 편람. 국토해양부 보고서. 

  4. 대구광역시(2012) 2012년 대구광역시통계연보. 대구광역시. 

  5.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국토해양부령 제456호. 2012. 4.13. 타법개정. 

  6.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대통령령 제23718호. 2012.4. 10. 타법개정. 

  7.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법률 제10599호. 2011.4.14. 타법개정. 

  8. 서현진, 전병운(2011) 대구시 도시근린공원의 접근성에 따른 환경적 형평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4): 221-237. 

  9. 성현찬, 이양주(2012) 신, 구시가지의 도시공원 불균형 분포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5(3): 1-15. 

  10. 신지영(2010) 신구도시가 공존하는 지역내 도시공원 접근성의 형평성 평가연구: 수도권 1기 신도시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안동만, 최형석, 김인호, 조형준(1991) 도시 오픈스페이스의 접근성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8(4): 17-28. 

  12. 오규식, 정승현(2005) GIS 분석에 의한 도시공원 분포의 적정성 평가. 국토계획 40(3): 189-203. 

  13. Bach, L.(1981) The problem of aggregation and distance for analyses of accessibility and access opportunity in location-allocation models. Environment and Planning A 13(8): 955-978. 

  14. Chiesura, A.(2004) The role of urban parks for the sustainable cit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8(1): 129-138. 

  15. Lotfi, S. and J. M. Koohsari(2009) Measuring objective accessibility to neighborhood facilities in the city (A case study Zone 6 in Tehran, Iran). Cities 26: 133-140. 

  16. Pearce, J., K. Witten and P. Bartie(2006) Neighborhoods and health: a GIS approach to measuring community resource accessibility.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60: 389-395. 

  17. Samoyer-Tonic, K. E,, J. N. Hewko and M. J. Hodson(2004) Spatial accessibility and equity of playgrounds in Edmonton, Canada. Canadian Geographer 48(3): 287-302. 

  18. Sister, C., J. Wilson and J. Wolch(2008) Access to parks and park facilities in the green visions plan regio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Center for Sustainable Cities and GIS Research Laboratory, Los Angeles, CA. 

  19. Talen, E. and L. Anselin(1998) Assessing spatial equity: an evaluation of measure of accessibility to public playgrounds. Environment and Planning A 30: 595-613. 

  20. Talen, E.(2003) Neighborhoods as service provider: a methodology for evaluating pedestrian acces. Environment and Planning B 30: 181-200. 

  21. Walker. C.(2004) The public Value of Urban Parks. The Urban Institute. 

  22. Wolch, J., J. P. Wilson and J. Fehrenbach(2005) Parks and park funding in Los Angeles: an equity mapping analysis. Urban Geography 26(1): 4-35. 

  23. http://www.kopss.go.kr 

  24. http://www.daegu.go.kr 

  25. http://www.gis.go.kr 

  26. http://www.mltm.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