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공원 유치거리를 고려한 녹지취약지역 분석 - 대구광역시 남구를 대상으로 -
Analysis on Green Vulnerable Areas Considering the Catchment Area of Urban Parks - Focused on Nam-gu in Daegu -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9 no.2, 2016년, pp.117 - 131  

엄정희 (계명대학교 도시학부 생태조경학전공) ,  이윤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신기술융합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근린생활권 측면에서의 녹지취약지역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대구광역시 남구에 위치한 공원를 대상으로 공원별 법적 유치거리를 기준으로 도시공원의 녹지서비스 공급지역과 녹지서비스 취약지역을 분석하였다. 또한, 녹지공간을 조성할 수 있는 후보지역을 선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녹지서비스 공급지역을 분석하여, 향후 녹지서비스 취약지역의 개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행정구역 대비 서비스 면적률을 비교하였을 때, 현재 조성되어 있는 16개 공원에 의한 녹지서비스가 충분한 지역은 대명6동(94.4%) 및 대명5동(92.3%)이었고, 녹지서비스가 취약한 지역은 이천동(1.6%)과 대명10동(24.1%)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남구에 계획되어있는 12개의 미집행공원이 조성된다면 이천동의 녹지서비스 면적률이 88.6%로 향상되고, 관공서와 학교를 중심으로 녹지공간이 추가로 조성된다면 대명10동 역시 녹지서비스 면적률이 40.1%로 향상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공원의 접근성에 따른 형평성을 고려하는 녹지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patial accessibilities to urban greens considering the catchment areas of urban parks to improve those areas with lower spatial accessibility in the neighborhood units. Nam-gu in Daegu was selected as the study area.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16 existing park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 남구의 근린공원, 어린이공원, 소공원 및 문화공원에 대한 공간데이터를 생성하고, 각 공원의 법적 유치거리를 기준으로 도시공원의 녹지서비스 공급지역과 녹지 서비스 취약지역을 분석하였다. 또한, 녹지공간을 조성할 수 있는 후보지역을 선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녹지서비스 공급지역을 분석하여, 향후 녹지서비스 취약지역의 개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근린생활권 측면에서의 녹지 취약지역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고 자, 대구광역시의 8개 행정구역 중 가장 높은 1인당 공원면적률을 가지고 있지만 대부분이 도시자연공원구역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1인당 근린생활공원 면적은 가장 낮은‘남구’를 대상으로 근린생활권 측면에서의 녹지취약지역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의 8개 행정구역중 가장 높은 1인당 공원면적률을 가지고 있지만, 대부분이 도시자연공원구역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1인당 근린생활공원면적은 가장 낮은 ‘남구’를 대상으로, 근린생활권 측면에서의 녹지취약지역을 분석해보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의 오픈스페이스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도시의 오픈스페이스(openspace)는 도시 내에서 자연과 오락의 장을 공급하고 인공 및 자연재해에 대한 피난처를 제공하며 도시미화, 생태계 기능, 도시 건강성 유지의 역할을 담당한 다(Ahn et al., 1991).
도시공원은 무엇인가? “도시공원”은「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제2조 제3호에 따라 도시지역에서 도시 자연경관을 보호하고 시민의 건강·휴양 및 정서생활을 향상시키는 데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치 또는 지정되는 기반시설로써,「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제30조에 의해 도시·군관리 계획으로 결정되는 공원이다. 도시공원을 계획할 때는 공정하게 도시공원 이용이 이루어지도록「공원녹지기본계획수립지침」에 따라 공원녹지의 공간적 배분과 질적 수준에 있어 지역간, 세대간, 계층간 형평성과 다양성 원칙에 맞게 계획해야 한다.
대구광역시 남구를 대상으로 공원의 녹지서비스 및 취약지역을 분석한 결과, 공원의 녹지서비스가 가장 취약한 지역은? 1%)는 조성공원에 의한 녹지서비스가 취약한 지역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이천동(1.6%)은 조성공원에 의한 녹지서비스가 매우 취약한 지역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hn, T.M., H.S. Choi, I.H. Kim and H.J. Cho. 1991. A Study on the method of measuring accessibility to urban open spac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18(4):17-28 (안동만, 최형석, 김인호, 조형준. 1991. 도시오픈스페이스의 접근성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8(4):17-28). 

  2. Daegu Metropolitan City. 2011. 2020 Daegu evergreen city master plan. p.509 (대구광역시. 2011. 2020년 대구광역시 공원녹지기본계획. 509쪽). 

  3. Daegu Metropolitan City. 2014a. Daegu statistical yearbook. http://statistics.daegu.go.kr (대구광역시. 2014a. 대구통계연보. http://statistics.daegu.go.kr). 

  4. Daegu Metropolitan City. 2014b. Present status of park, amusement park and greenery in Daegu for the year of 2014. p.575 (대구광역시. 2014b. 공원.유원지.녹지 현황. 575쪽). 

  5. Kim. H.J., S.G. Jung and W.S. Lee. 2011. Evaluation of supply adequacy of the urban park by spatial imbalance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4):18-27 (김형준, 정성관, 이우성. 2011. 도시공원의 공간적 불균형 분석을 통한 공급적정성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39(4):18-27). 

  6. Lee, D.H. and K.J. Lee. 2010. A study on park service provision assessment in Busa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1):164-172 (이동현, 이경주. 2010. 부산시 도시공원 공급 적정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1):164-172). 

  7. Lee, W.S. and S.G. Jung. 2012. Evaluating the imbalance of green space and establishing its management zone using spatial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2):126-138 (이우성, 정성관. 2012. 공간분석을 활용한 녹지의 불균형 평가 및 관리권역 설정: 녹지의 이용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2):126-138). 

  8.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6. Enforcement rule of the act on urban parks, greenbelts, etc: attached table 3. Ordinance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No.298 (국토교통부. 2016.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3. 국토교통부령 제298호). 

  9.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Green space ratio of 17 metropolitan cities. http://me.go.kr (환경부. 2014. 전국광역시 녹지비율 알고보니… 울산 1위. http://me.go.kr). 

  10. Seo, H.J. and B.W. Jun. 2011. Environmental equity analysis of the accessibility of urban neighborhood parks in Daegu c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4(4):221-237 (서현진, 전병운. 2011. 대구시 도시근린공원의 접근성에 따른 환경적 형평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4):221-237). 

  11. Shin, J.Y. 2009. The social equity of urban park distribution in Seonggam city.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2(2):40-49 (신지영. 2009. 도시공원 분포의 형평성 분석에 관한 연구-성남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2(2):40-49). 

  12. Shin, J.Y. 2010. Assessment of social equity in access to urban parks in regions with both new and old urban developments : focusing on first stage "new tow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Ph.D. Thesis, Seoul Nat'l Univ., Seoul, Korea. p.179 (신지영. 2010. 신구 도시가 공존하는 지역내 도시공원 접근성의 형평성평가연구: 수도권 1기 신도시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9쪽). 

  13. Son, S.W. and T.M. Ahn. 2013. Sensitivity analysis on the population within and outside of the urban park service areas - focused on Daegu metropolitan city neighborhood parks and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dat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1(5):9-18 (손승우, 안동만. 2013. 도시공원 서비스권역 내.외 이용 인구 정밀 분석 - 대구광역시 근린공원, 주민등록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41(5):9-18). 

  14. Song, W.K., S.M. Ryu, J.H. Yun and J.H. Lee. 2013. Mini-lot utilization strategy for improving park and greenery services in Suwon city. Suwon Research Institute. p.115 (송원경, 류수미, 윤조흔, 이지희. 2013. 수원시 공원.녹지 서비스 향상을 위한 자투리 공간의 활용 방안. 수원시정연구원. 115쪽).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