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삼의 연근과 직경에 따른 뿌리 조직의 비율 및 Ginsenoside 함량 변화
Comparison of Ginsenoside Content and Ratio of Root Tissue According to Root Age and Diameter in Panax ginseng C. A. Meyer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21 no.5, 2013년, pp.342 - 347  

한진수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탁현성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이강선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김정선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라정우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최재을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hange of ginsenoside contents according to tissue ratio in ginseng root by age and diameter. The epidermis-cortex and xylem-pith extent, fresh weight, dry weight of ginseng increased with the root age increase. They increased higher in xylem-pith than in e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4, 5, 6년 근에서 연근과 직경에 따른 뿌리의 조직 비율 및 ginsenoside 함량 변화 등을 조사하여 ginsenoside 함량이 높은 원료삼의 선정 기준 및 고사포닌 품종의 선발법으로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삼 내부의 Ginsenoside 함량의 특징은 무엇인가? Ginsenoside 함량은 중심주보다 피층에서 높고, 직경이 클수록, 연근이 증가할수록 중심주의 비율이 증가하며, 중심주의 ginsenoside 함량은 연근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따라서 고년 근일수록, 직경이 클수록 gisnenoside 함량은 감소하게 된다.
ginsenoside의 함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인삼의 기능성 지표물질인 ginsenoside의 함량은 연근 (Jang et al., 1983; Lim, 2005), 뿌리의 조직 (Lee et al., 1978; Park et al., 1982; Tani et al., 1981), 뿌리의 부위 (Kim et al., 1984, 1987), 재배위치 (Li et al., 2009a), 재배품종 (Kwon et al., 1991), 재배지역 (Lee et al., 2004) 등에 따라 상이하다.
인삼의 ginsenoside 함량을 예측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상과 같이 인삼의 형태적 특성과 ginsenoside 함량 등은 재배기간과 재배지역의 기상, 재배 토양 등의 환경, 품종의 유전적 차이 등에 의하여 변화하기 때문에 원료삼의 생산년도, 생산지역, 품종 등에 따라 기능성 제품의 품질과 수율에 많은 영향을 줄 것이다. 그러므로 재배환경과 유전자의 발현에 의하여 표현된 인삼의 형태적 특성과 조직의 구조 등으로 인삼의 ginsenoside 함량을 예측할 수 있다면 원료삼은 물론 고사포닌 품종의 선발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hn IO, Lee SS, Lee JH, Lee MJ and Jo BG. (2008). Comparison of ginsenoside contents and pattern similarity between root parts of new cultivars in Panax ginseng C. A. Meyer. Journal of Ginseng Research. 32:15-18. 

  2. Bang KH, Seo AY, Kim YC, Jo IH, Kim JU, Kim DH, Cha SW, Cho YG and Kim HS. (2012). Variations of agromic characteristics of cultivars and breeding lines in Korean ginseng(Panax ginseng C. A. Mey.).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231-237. 

  3. Han JS, Tak HS, Lee KS, Kim JS and Choi JE. (2013). Comparison of ginsenoside content according to age and diameter in Panax ginseng C. A. Meyer cultivated by direct seeding.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1:184-190. 

  4. Jang JG, Lee KS, Kwon DW, Nam KY and Choi JH. (1983). Study on the changes of saponin contents in relation to root age of Panax ginseng. Korean Journal of Food & Nutrition. 12:37-40. 

  5. Jo JE, Kim KH, Kim MS, Choi JE, Byun MW and Yook HS. (2011). Antioxidant activity from different root parts of 6-yearold Panax ginseng C. A. Meyer(Yun-poo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40:493-499. 

  6. Kubo M, Tani T, Katsuki K, Ishzaki S and Arichi S. (1980). Histochemistry I. Ginsenosides in ginseng(Panax ginseng C. A. Meyer, Root). Journal of Natural Products. 43:278-284. 

  7. Kim MW, Lee JS and Nam KY. (1984). Saponin contents in various parts of raw red ginseng. Korean Journal of Ginseng Science. 8:8-14. 

  8. Kim MW, Ko SR, Choi KJ and Kim CS. (1987). Distribution of saponin in various sections of Panax ginseng root and changes of its contents according to root age. Korean Journal of Ginseng Science. 11:10-16. 

  9. Kwon WS, Chung CM, Kim YT and Choi KT. (1991). Comparisons of growth, crude saponin, ginsenosides and anthocyanins in superior lines of Panax ginseng C. A. Meyer. Korean Journal of Breeding Science. 23:219-228. 

  10. Lee CH, Nam KY and Choi KJ. (1978). Relationship between the age and chemical components of ginseng root's portion(Panax ginseng C. A. Meyer).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10:263-268. 

  11. Lee CR, Whang WK, Shin CG, Lee HS, Han ST, Im BO and Ko SK. (2004). Comparison of ginsenoside composition and contents in fresh ginseng roots cultivated in Korea, Japan and China at various age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6:847-850. 

  12. Lee MK, Park H and Lee CH. (1987). Effect of growth conditions on saponen content and ginsenoside pattern of Panax ginseng. Korean-Japan Panax Ginseng Symposium. p.89-107. 

  13. Lee SS. (2002). Characteristics of photosynthesis among new cultivars of ginseng(Panax ginseng C. A. Meyer). Journal of Ginseng Research. 26: 85-88. 

  14. Lee SW, Park JM, Kim SG, Park KC, Jang IB, Lee SH, Kang SW and Cha SW. (2012).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ginsenoside content of 6-year-old ginseng(Panx ginseng C. A. Meyer) by drainage class in paddy field.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177-183. 

  15. Li X, Nam KY and Choi JE. (2009a). Difference of the ginsenoside contents according to the planting location in Panax ginseng C. A. Meyer.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54:159-164. 

  16. Li XG. Kang SJ, Han JS, Kim JS and Choi JE. (2009b). Effects of root diameter within different root parts on ginsenoside composition of Yunpoong cultivar in Panax ginseng C. A. Meyer.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7:452-457. 

  17. Li X, Kang SJ, Han JS, Kim JS and Choi JE. (2010). Comparison of growth increment and ginsenoside content in different parts of ginseng cultivated by direct seeding and transplanting.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8:70-73. 

  18. Lim WS. (2005). Effects of interactions among age, cultivation method (location) and population on ginsenoside content of wild Panax quinquefolium L. one year after transplanting from wild.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3:254-261. 

  19. Park H, Lee MK and Cho BG. (1988). Shape and compound relationship in ginseng quality. Proceedings of the 5th International Ginseng Symposium. Seoul, Korea. p.133-138. 

  20. Park H, Park-Lee QH and Yoo KJ. (1982). Relationship between ginsenoside content and stem color intensity of Panax ginseng.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Chemical Society. 25:211-217. 

  21. Tani T, Kubo M, Katsuki T, Higashino M, Hayashi T and Arichi S. (1981). Histochemistry II. Ginsenosides in ginseng(Panax ginseng, Root). Journal of Natural Products. 44:401-4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