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전처리 나물류 및 구근류에서 병원성 미생물의 성장예측모델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redictive Model for Foodborne Pathogens in Preprocessed Namuls and Wild Root Vegetabl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10, 2013년, pp.1690 - 1700  

엔크자갈 라왁사르나이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민경진 (장안대학교 식품영양과) ,  윤기선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 사용한 전처리 나물류 중 고사리 경우 $13^{\circ}C$에서 B. cereus 영양세포포자가, $8^{\circ}C$에서 S. aureus는 성장하지 않았다. 전처리 나물류 및 구근류에서 B. cereus 영양세포 및 포자의 성장특성을 비교한 결과, 도라지와 취나물에서 LT, SGR 및 MPD는 B. cereus 영양세포와 포자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우엉은 $13^{\circ}C$에 저장한 경우 B. cereus 영양세포와 포자의 유도기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고사리의 경우, 17, 24, $35^{\circ}C$ 온도에서 B. cereus 포자의 유도기는 영양세포의 유도기 값보다 2배 연장된 것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24^{\circ}C$$35^{\circ}C$의 상온에서는 모든 나물류 및 구근류에서 B. cereus 포자 유도기는 영양세포의 유도기보다 연장되었고, SGR 값은 포자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13^{\circ}C$$17^{\circ}C$에서는 B. cereus 영양세포와 포자의 유도기가 고온에 비하여 연장되어 B. cereus 영양세포와 포자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13^{\circ}C$ 이하의 온도 관리가 중요하다. 또한 B. cereus와 S. aureus 영양세포의 성장특성 비교 결과, $13^{\circ}C$ 이하에서는 B. cereus 성장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S. aureus는 $8^{\circ}C$에서도 성장하였다. 전반적으로 $13^{\circ}C$에서 모든 나물류 및 구근류는 B. cereus의 유도기가 S. aureus 의 유도기보다 3배 이상 연장되었다. 전처리 나물류 및 구근류에서 개발된 설사형 B. cereus 영양세포 및 포자 성장예측모델을 구토형 B. cereus 영양세포 및 포자의 실험값으로 검증한 결과, 도라지와 고사리의 LT 모델과 고사리의 SGR 모델을 제외한 모든 모델에서 Bf 값이 허용범위(0.07~1.15)에 속하여 설사형 B. cereus 영양세포, 포자 성장모델이 구토형 B. cereus 영양세포, 포자의 성장을 예측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처리 나물류 및 구근류에서 $8{\sim}35^{\circ}C$ 사이에 개발된 S. aureus의 성장예측 모델을 실험에 사용하지 않은 온도(18, $30^{\circ}C$)로 적합성을 검증한 결과, 도라지의 SGR 모델을 제외한 모든 모델에서 Bf와 Af 값이 가장 이상적인 1에 가까운 값으로 나타나 실험값과 예측값 사이의 일치성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개발된 전처리 나물류 및 구근류의 성장예측 모델은 병원성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기준과 규격 설정 시 활용 가능할 것이며, 전처리 나물류의 HACCP 공정의 CCP(critical control point) 및 CL(critical limit)을 설정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predictive growth models for Bacillus cereus (diarrhea type) vegetative cells, spores and Staphylococcus aureus in preprocessed Namul (bracken and Chwinamul) and root vegetables (bellflower and burdock). For validation of model performance, grow...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예측미생물학의 주된 연구분야는? 최근에 식품위생과 관련하여 안전성 확보를 위한 새로운 기술로서 특정한 환경조건에서 식품 내 미생물의 성장과 사멸 등의 변화를 수학적으로 기술하여 병원성 미생물의 변동 상태를 예측하려는 예측미생물학(Predictive Food Microbiology) 분야의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8). 예측미생물학은 주로 육류식품, 난류, 수산물을 중심으로 국외에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9-11). 국내에서는 즉석섭취편의 식품류의 정량적 기준제시를 위한 성장예측모델 개발 연구로서 김밥의 B.
2008년부터 2012년까지 국내에서 B. cereus 및 S. aureus에 의해 나타난 식중독 사고 건수는? cereus와 S. aureus에 의한 식중독 사고 건수는 각각 40건과 61건이었으며, 환자수는 986명과 2,150명으로 보고되었다(7). 따라서 소비량이 급증하고 있는 전처리 나물류에서 B.
Staphylococcus(S.) aureus가 검출된 나물류는? 최근에 발표된 전처리 나물류의 병원성 미생물 분석 결과에 따르면 Staphylococcus(S.) aureus는 전체 시료 중 고사리, 도라지, 머위, 우엉, 고구마줄기, 무시래기, 연근, 취나물, 더덕 등 총 11가지 샘플에서 검출되어 1.24~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Lee MJ. 2008. A feasibility study of using preprocessed and fresh-cut vegetables for school food services in Gyeong- Gi province. PhD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Yongin, Korea. p 1-3. 

  2. Kwak SJ, Kim SJ, Lkhagvasarnai E, Yoon KS. 2012. Analysis of microbiological hazards of preprocessed Namuls in school food service and processing plant. J Fd Hyg Safety 27: 117-126. 

  3. Jo SH, Chung HJ, Lee SH, Hwang SJ, Om AS, Eun JB. 2013. Microbial quality of fresh vegetables in restaurants around school. Korean J Food Preserv 20: 424-428. 

  4. Beuchat LR. 1996. Pathogenic microorganisms associated with fresh produce. J Food Prot 59: 204-216. 

  5. Gleeson E, O'Beirne D. 2005. Effects of process severity on survival and growth of Escherichia coli and Listeria innocua on minimally processed vegetables. Food Control 16: 677-685. 

  6. Kim JS, Bang OK, Chang HC. 2004. Examination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f ready-to-eat vegetable salad. J Fd Hyg Safety 19: 60-65. 

  7.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2. Foodborne Illness Statistics. Available from: http://www.mfds.go.kr/ e-stat/index.do. Assessed Aug 12, 2013. 

  8. Whiting RC. 1995. Microbial modeling in foods. Crit Rev Food Sci Nutr 35: 467-494. 

  9. Petchsing U, Woodburn MJ. 1990.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in nham (Thai-style fermented pork sausage). Int J Food Microbiol 10: 183-192. 

  10. Whiting RC, Buchanan RL. 1997. Development of a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model for Salmonella enteritidis in pasteurized liquid eggs. Int J Food Microbiol 36: 111-125. 

  11. Dalgaard P, Jorgensen LV. 1998. Predicted and observed growth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seafood challenge tests and in naturally contaminated cold-smoked salmon. Int J Food Microbiol 40: 105-115. 

  12. Jin SS. 2005. Development of model for predicitve growth of Bacillus cereus and Staphylococcus aureus in Kimbab. M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 p 3-5. 

  13. Park YB. 2005.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cereus isolated from grains and development of predictive growth model and inactivation techniques. PhD Dissertat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 

  14. Cho YS, Jung EY, Lee MK, Yang CY, Shin DB. 2008. Surviv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cereus from Sunshik. J Fd Hyg Safety 23: 343-347. 

  15. Chang HJ, Lee JH. 2009. Prevalence of Bacillus cereus from fried rice dishes and monitoring guidelines for risk management.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45-54. 

  16. Kang KA, Kim YW, Yoon KS. 2010. Development of predictive growth models for Staphylococcus aureus and Bacillus cereus on various food matrices consisting of ready-toeat (RTE) food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0: 730-738. 

  17. Park HS, Bahk GJ, Park KH, Pak JY, Ryu K. 2010. Predictive model for growth of Staphylococcus aureus in Suyuk.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0: 487-494. 

  18. Bae YM, Kim BR, Lee SY, Cha MH, Park KH, Chung MS, Ryu K. 2012. Growth and predictive model of Bacillus cereus on blanched spinach with or without seasoning at various temperatures. Food Sci Biotechnol 21: 503-508. 

  19. Jo HJ, Hong SH, Kim YG, Shin DB, Oh MH, Hwang JH, Lkhagvasarnai E, Yoon KS. 2012. Validation of broth model for growth of Bacillus cereus in blanched vegetabl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 558-565. 

  20. Park HS, Kim MY, Jeong HS, Park KH, Ryu K. 2009. Development of a predictive growth model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shelf-life estimation of cooked mung bean sprouts served in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618-1624. 

  21. Mazas M, Gonzalez I, Lopez M, Gonzalez J, Sarmiento RM. 1995. Effects of sporulation media and strain on thermal resistance of Bacillus cereus spores. Int J Food Sci Technol 30: 71-78. 

  22. Gibson AM, Bratchell N, Roberts TA. 1987. The effect of sodium chloride and temperature on the rate and extent of growth of Clostridium botulinum type A in pasteurized pork slurry. J Appl Bacteriol 62: 479-490. 

  23. Davey KR. 1989. A predictive model for combined temperature and water activity on microbial growth during the growth phase. J Appl Bacteriol 67: 483-488. 

  24. Ratkowsky DA, Olley J, McMeekin TA, Ball A. 1982.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and growth rate of bacterial cultures. J Bacteriol 149: 1-5. 

  25. McMeekin TA, Olley J, Ross T, Ratkowsky, DA. 1993. Predictive Microbiology: Theory and Application. John Wiley & Sons Ltd., Hoboken, NJ, USA. p 87-113. 

  26. Ross T. 1996. Indices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predictive models in food microbiology. J Appl Bacteriol 81: 501-508. 

  27. Abou-Zeid KA, Oscar TP, Schwarz JG, Hashem FM, Whiting RC, Yoon K. 200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predictive model for Listeria monocytogenes Scott A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pH, and commercial mixture of potassium lactate and sodium diacetate. J Microbiol Biotechnol 19: 718-726. 

  28. Oscar TP. 2005.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models for growth of Salmonella Typhimurium on sterile chicken. J Food Prot 68: 2606- 2613. 

  29. Bhatia A, Zahoor S. 2007. Staphylococcus aureus enterotoxins: A review. J Clin Diagn Res 1: 188-197. 

  30. McElroy DM, Jaykus LA, Foegeding PM. 2000. Validation and analysis of modeled predictions of growth of Bacillus cereus spores in boiled rice. J Food Prot 63: 268-272. 

  31. Park JY. 2011. Predictive models for growth of Staphylococcus aureus on steamed spinach with seasoning in commissary school food service. MS Thesis.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