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가구 유형별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비교연구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Residential Satisfaction by Elderly Household Types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4 no.5, 2013년, pp.27 - 37  

천현숙 (국토연구원) ,  오민준 (국토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cause of rapid aging, housing stability of elderly household is becoming an important social problem. The population of the elderly people was 11.3% and that of the elderly household was 23.2%, about 407 million, in 2010. Yet, social policies for elderly people are focusing on the household who t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노인가구의 주거안정이 중요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노인인구는 2010년 현재 총 인구의 11.
2010년 노인인구의 비율은?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노인가구의 주거안정이 중요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노인인구는 2010년 현재 총 인구의 11.3%에 달하고 있어서 조만간 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가구원 중 65세 이상 노인이 포함된 노인가구는 2010년 현재 407만 가구로 총가구의 23.
노인가구의 주거안정에 대한 현재 상황은? 2%이다. 현재 정부 정책은 저소득층 노인들에 대해 시설중심의 정책과 더불어 노인가구를 위한 주택공급과 편의시설 설치 등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노인가구유형별로 세분화된 정책이 마련되어 있지는 않은 상황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hn, K. (2005).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and Social Support of Married Couples and Single Households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5(1), 1-19. 

  2. Bae, H. (2011). A study on Older Adults' Use Social Services by Type of Elderly Households and Factors Affecting Service Utilization.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Kyungsung University, 27(3), 1-24. 

  3. Galster, G.C & Hesser, G.W. (1981). Residential satisfaction: Compositional and contextual correlates. Environment and Behavior, 13(6), 735-758. 

  4. Golant, S. M. (1984). The effects of residential and activity behaviors on old people's environmental experiences. Human behavior and the environment: Advances in Theory & Research. 7, 239-278. New York: Plenum Press. 

  5. Jung J. (2012) A study on the elderly's social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residence typ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19(6), 233-240 

  6. Kim, H. & Kang, M. (2008). A Study on Housing Support System for the Elderly based on Hosuing Demand Analysis. (Krihs Publication No. 2008-12). An-Yang: Korea Rese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7. Kim, S (2009). A Study on factors to influence on the housing satisfaction of the elderly. Social Welfare Policy, 36(1), 117-142. 

  8. Kim, Y. & Baek, J. (2010). Strategies to Improve Housing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with Low Income: Focused on Supplying Elderly Welfare Housing.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 23(4), 387-418. 

  9. Kim, Y. (2013). Analysis o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the intention to live of the elderly using personenvironment fit model. Residential Environment Institute of Korea, 11(10), 51-62. 

  10. Kwon, O., Lee,Y., Ha, H,. Shin, H., & Kim, H. (2011). Characteristics of Space Usage Patterns by Type of Single or Couple Elderly Households: Focused on an Analysis of Time Use Survey. Journal of The Korea Housing Association, 22(4), 33-42. 

  11. Lee, M., & Lee. J. (2010). A Study on the Choice of Housing Tenure and Housing Typ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in Elderly Households. Info Design Issue, 24, 88-103. 

  12. Lee, M. (2010). A Study on the Home Ownership Characteristics of Aged Householders. Journal of KAGIS Research, 12(1), 13-24. 

  13. Molit and Krihs. (2007, 2009, 2010). Housing Survey. 

  14. Park, N. (2005). Incentive Effect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Program in Korea. Korean Social Security Studies, 21(4), 227-254. 

  15. Park, N. & Song, M. (2006). A Study on Dynamics of Elderly Povert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31, 37-26. 

  16. Park, S. (2006). 한국의 고령자주거정책: 현황. 한국주거학회 제1회 심포지움, 3-37. 

  17. Yoon J, et al. (2004). Aging the Society, Housing Problems of Elderly Households and Policy Issues (Krihs Publication No. 2008-12). An-Yang: Korea Rese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