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노인의 주거환경과 생활만족도 변화추이
The Changes of the Elderly's Residential Environment and Life Satisfaction in Rural Area 원문보기

韓國農村建築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v.17 no.4, 2015년, pp.1 - 8  

정재훈 (한남대학교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designed to identify the changes of the elderly's residential environment and life satisfaction in rural area during the past 20 years. Data from the survey of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onducted in 1994, 1998, 2004, 2008, and 2014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subjects of the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에서는 지난 20년 동안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도시지역보다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농촌지역에서 노인의 주거환경과 삶의 변화양상을 다각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그동안 전국의 노인을 대상으로 주기적으로 조사된 노인실태조사 자료들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시대의 흐름에 따른 변화추이를 종적으로 파악하여 앞으로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전국 농촌지역의 노인을 대상으로 지난 20년 동안 가구형태, 주거환경, 그리고 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분석 결과가 노인복지에 갖는 함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에서는 지난 20년 동안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도시지역보다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농촌지역에서 노인의 주거환경과 삶의 변화양상을 다각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그동안 전국의 노인을 대상으로 주기적으로 조사된 노인실태조사 자료들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시대의 흐름에 따른 변화추이를 종적으로 파악하여 앞으로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65세 이상의 노인인구 비율 증가 추세는? 또한 출산율이 감소함에 따라 생산가능인구는 점차 줄어드는 반면 노인인구비율은 더욱 증가되어 노인복지가 앞으로 해결해야 할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1990년 65 세 이상 노인인구의 비율이 5.1%이었던 것이 2010년 11%로 증가하였으며 2026년에는 20% 이상으로 초고령사회(post-aged society)가 예상된다. 특히 농촌지역은 도시 지역보다 고령화 정도가 더 심각하여 2010년에 도시지역의 고령인구가 9.
고령사회에 적극적으로 대비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그동안 선행연구에서는 대부분 일부지역의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그 결과를 한국의 전체노인으로 일반화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단일시점에서 단편적인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어,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어온 시대적인 흐름을 파악하기가 어렵다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시간의 차이를 두고 종적으로 노인들의 생활환경이 어떻게 변해왔고 그들은 이러한 상황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 등을 다양하게 조명하여 고령사회에 적극적으로 대비할 필요가 있다.
주거는 무엇인가? 주거는 인간생활에서 가장 필수적이고 기본적인 환경으로, 단순히 물리적인 공간에서 벗어나 그 안에서 전개 되는 개인의 신체적․심리적 발달, 가족 간의 상호작용 및 사회관계 형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등 삶의 질을 결정 하는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2) 그럼에도 우리사회에 서는 아직까지 고령자를 위한 주거문제를 사회보다는 가족이 해결해야 할 영역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김동배?유병선.신수민, 노년기 주거빈곤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서비스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32(4), 2012 

  2. 박광희.한혜경, 농촌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연구, 11, 2002 

  3. 박순미, 노인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도시노인과 농촌노인의 특성 비교-, 노인복지연구, 47, 2010 

  4. 손신영, 농촌 노인과 도시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요인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인구학, 26(3), 2006 

  5. 윤명숙.이묘숙, 노인의 경제상태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노인학, 32(2), 2012 

  6. 정경희?이윤경?박보미?이소정?이윤환, 2011년도 노인실태조사 심층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2012 

  7. 정재훈, 가구형태에 따른 노인의 주거환경 및 삶의 만족도 비교,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9(12), 2013 

  8.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및 장래인구추계 2010, 2012, http://kosis.kr 

  9. Ball, R., and Chernova, K., Absolute Income, Relative Income, and Happiness. Social Indicators Research, 88, 2008 

  10. Asakawa, T.; Koyano, W.; Takatoshi A.; Hiroshi S., Effects of Functional Decline on Quality of Life among the Japanese Elderly,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 Human Development, 50(4),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