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여성 노인의 대퇴경부 및 요추 골밀도 관련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the Lumbar Spine and Femoral Neck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Elderly Wome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10, 2013년, pp.4943 - 4952  

김영란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  이태용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4기 2 3차년도, 제 5기 1차 년도에 참여한 60세 이상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목적으로는 신체계측, 생활습관, 식이섭취, 골절 과거력, 골다공증 가족력, 병력, 월경력 및 산과적 요인 등의 제 요인들과 대퇴경부 골밀도와 요추골밀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각 변수의 단위별 BMD의 변화를 표현하기 위해 비율차이 계산식 ${\beta}{\times}$(단위/BMD의 평균)를 이용한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연속 변수의 단위는 1 표준편차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대퇴경부 및 요추 골밀도에 조사된 각 독립변수 중 여성노인의 골밀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대퇴경부 부위에서는 제지방량(B: 0.257), 요추 부위에서는 체지방(B: 0.237)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여성노인에서는 제지방량을 늘리고,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효과적인 방안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among Korean women over aged 60 who participated i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the 2nd and 3rd year at the 4th survey, and the 1st year at the 5th surve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gure out a relation between femoral neck and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에는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나이를 보정하고 신체계측, 생활습관, 식이섭취, 골절 과거력, 골다공증 가족력, 병력, 월경력 및 산과적요인과 골밀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그 결과 골밀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가장 강력한 골밀도 결정인자는 대퇴경부에서는 제지방, 요추에서는 체지방이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임상적으로 골다공증 골절이 흔히 발생하는 요추와 대퇴경부 부위에서 측정된 골밀도를 기준으로 요추와 대퇴경부 부위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60세 이상 한국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대퇴경부 골밀도와 요추골밀도의 골밀도 수준을 파악하고, 신체계측, 생활습관, 식이섭취, 골절 과거력, 골다공증 가족력, 병력, 월경력 및 산과적 요인 등의 제 요인들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다공증의 중요한 두 가지 위험인자는 무엇인가? 골다공증의 중요한 두 가지 위험인자는 청장년기에 낮게 형성된 최대골량과 빠른 골소실이다. 유전, 성별, 인종, 가족력 등은 최대골량 형성에 영향을 주며, 노화와 폐경은 골소실에 영향을 주고, 음주, 흡연, 신체활동량, 식습관 등의 생활방식과 질병, 약물 등은 최대골량 및 골소실 모두에 영향을 준다[4].
여성노인의 대퇴경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무엇인가? 한국의 여성노인에서 대퇴경부와 요추의 골다공증 유병률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유럽, 미국, 중동보다 높았지만 아시아 지역의 유병률과는 많은 차이가 없었다. 또한 여성노인의 대퇴경부에서는 제지방, 요추에서는 체지방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성노인에서는 제지방량을 늘리고, 적정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골밀도를 유지하여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효과적인 방안이 될 것이다.
폐경 후 골량의 감소가 일어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한국 여성 노인에서는 월경력 및 산과적 요인이 골밀도에 영향을 많이 미쳤는데 그 중 폐경 후 년수와 여성 호르몬제 복용이 골밀도에 영향을 미쳤다. 폐경 후의 급격한 골량 감소는 에스트로젠의 결핍으로 인하여 에스트로젠의 골 흡수 억제작용이 없어지기 때문으로 폐경기간이 길어질수록 골량 감소가 증가한다. 그러나 어느정도의 폐경기간이 지나면 에스트로젠 결핍에 의한 골밀도 감소보다는 연령증가 그 자체로 인한 골밀도 감소가 더욱 중요한 요인이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Statistics Korea. Http://sgis. kostat. go. kr/publicsmodel/, 2012. 

  2.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ve. Article 5 of the KNHANES year 1st(2010) report the results, 2010. 

  3. National Health Insurance. Http://www. nhic.or.kr/potal/site/main/menuitem.31f148, 2010. 

  4. Korean Journal of Bone Metabolism. Physicians Guide for Diagnosis & Treatment of Osteoporosis. 2008. 

  5. Lee HY, Choi SM. Metabolic syndrome and bone mineral density among elderly korean women. J Korea Biol Nurs Sci, 13(2), pp. 134-141, 2011. 

  6. Chung JW, Lee YH, Lee EK, Jin YS. Relationships of bone mineral density, body composition and fitness in older persons.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girls and women. 22(1), pp. 123-136, 2008. 

  7. Oh HJ, Moon WN, Han IK, Effects of obestiy on bone mineral density in aged Korean women, J Korean Acad Fam Med, 12(21), pp. 1560-1567, 2000. 

  8. Cameron JR, Sorenson JA. Measurement of bone mineral in vivo; an improved method. Science, 142, pp. 230-232, 1963. DOI: http://dx.doi.org/10.1126/science.142.3589.230 

  9. Cauley JA, Blackwell Terri, Zmuda JM, Fullman RL, Ensrud KE, Stone KL et al. Correlates of trabecular and cortical volumetric bone mineral density at the femoral neck and lumber spine: the osteoporotic fractures in men study(MrOS). JBMR, 25(9), pp. 1958-1971, 2010. 

  10. Hill DD, Cauley JA, Bunker CH, Carol EB, Patrick AL, Backles Gloria LA. Correlates of bone mineral desity among postmenopausal women of Africa Caribbean Ancestry: Tobago Women' Health Study. Bone, 43(1), pp. 156-161, 2008. DOI: http://dx.doi.org/10.1016/j.bone.2008.03.005 

  11. Jung JS. Difference by sex in the association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in middle aged and elderly Korea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010. 

  12. Lim Su. Body composition changes with age has different impact on the bone mineral den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004. 

  13. Chung JE, Hwang SJ, Kim MJ, Song JY, Cho HH, Kwon DJ, Lew YO, Lim YT, Kim EJ, Kim JH, Kim JH, Kim MR. Relationship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in Pre-and Post-menopausal wome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nopause, 16(1), pp. 29-38, 2010. 

  14. Blain H, Carriere I, Favier F, Jeandel C, Papoz L, EPIDOS study Group. Body weight change since menopause and Percent body fat mass are predictors of subsequent bone mineral density change of the proximal femur in women aged 75 years and older: results of a 5 year prospective study. Calcif Tissue Int, 75(1), pp. 32-39, 2004. DOI: http://dx.doi.org/10.1007/s00223-003-0192-4 

  15. Pluijm SM, Visser M, Smit JH, Popp-Snijders C, Roos JC, Lips P, Determinants of bone mineral density in older men and women: body composition as mediator, J Bone Miner Res, 16(11), pp. 2142-2151, 2001. DOI: http://dx.doi.org/10.1359/jbmr.2001.16.11.2142 

  16. Shin CS, Choi HJ, Kim MJ, Kim JT, Yu SH, Koo BK.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osteoporosis in Korea: A community-based cohort study with lumbar spine and hip bone mineral density. Bone, 47(2), pp. 378-387, 2010. DOI: http://dx.doi.org/10.1016/j.bone.2010.03.017 

  17. Han SH. The effects of several factors on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over 55 years old. In ha University, 2000. 

  18. Bjarnason K, Hassager C, Ravn P, Christiansen C. Early postmenopausal diminution of forearm and spinal bone mineral density : A cross-sectional study. Osteoporos Int. 5(1), pp. 35-38, 1995. DOI: http://dx.doi.org/10.1007/BF01623656 

  19. Writing group for the women's health initiative investigators. Risk and benefits of estrogen plus progestin in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principal results from the Women's Health Initia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88, pp. 321-333, 2002. DOI: http://dx.doi.org/10.1001/jama.288.3.3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