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경력정체, 자기효능감,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Plateau, Self-efficacy, Job Embeddedn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10, 2013년, pp.5078 - 5090  

김유미 (한국국제대학교 간호학과) ,  강영실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경력정체, 자기효능감,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J시에 소재한 5개의 중소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217명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3년 8월 5일부터 8월 20일까지였으며,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직의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07점 이었으며, 경력정체, 자기효능감, 직무배태성,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이직의도는 경력정체(r=.284)와는 정적관계로 나타났고, 자기효능감(r=-.165)과 직무배태성(r=-.432)과는 부적관계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이직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직무배태성이었으며, 현 병원 근무경력, 경력정체, 근무부서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한 관리 방안으로 직무배태성을 높이는 간호사 유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간호현장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small-medium sized hospitals nurse's career plateau, self-efficacy, job embeddedness and turnover intention.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on 217 nurses in five small-medium sized hospitals in J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5,...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병원종사자와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배태성 연구[19-22,27,28]와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경력정체 연구[12]가 있으나, 이들 변수들과 관련한 중소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다룬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소병원의 인적자원관리 측면에서 간호사의 경력정체, 자기효능감,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효율적인 간호인력 관리 및 이직의도 감소를 위한 방안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경력정체, 자기효능감,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를 파악하고, 이직의도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경력정체, 자기효능감,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중소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낮추는 방안을 제시하고 중소병원의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경력정체, 자기효능감,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중소병원의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병원 간호사의 경력정체, 자기효능감,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중소병원 간호사의 경력정체, 자기효능감,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서술적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는데, 어떠한 결과를 나타냈는가? 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직의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07점 이었으며, 경력정체, 자기효능감, 직무배태성,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이직의도는 경력정체(r=.284)와는 정적관계로 나타났고, 자기효능감(r=-.165)과 직무배태성(r=-.432)과는 부적관계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이직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직무배태성이었으며, 현 병원 근무경력, 경력정체, 근무부서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한 관리 방안으로 직무배태성을 높이는 간호사 유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간호현장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직무 배태성은 무엇인가? 한편, 자발적 이직과 이직의도를 예측하기 위한 직무 배태성은 조직 구성원이 직무와 관련하여 자신의 조직에 뿌리를 깊이 내리고 있는 정도이다. 이것은 이직이 발생하는 과정보다 자발적 이직과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총체적인 개념으로 직무배태성을 높이면 이직의도는 감소된다고 한다[19].
간호사가 높은 자기효능감을 가지면 어떠한 경향을 나타내는가? 또한, 간호사가 높은 자기효능감을 가지면 보다 도전적인 목표를 선호하고, 목표달성을 위해 더 많은 노력을 투자하며[14], 직무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직무만족과 간호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조직몰입을 높일 수 있다[15-17]. 이러한 인간의 행위와 성과에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구성되는 자기효능감[18]은 간호사의 직무 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어 연구되고 있다[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J. H. Jeong, J. S. Kim, K. H. Kim, "The Risk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4, No. 1, pp.35-44, 2008. 

  2. C. H. Kim, S. S. Yang, Y. J. Kim, Y. J. Son, M. A. You, J. E. So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Nurses'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5, No. 4, pp.550-562, 2009. 

  3. Y. H. Oh, "The Future Requirements and Supply of Registered Nurse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Vol. 16, No. 3, pp.139-161, 2010. 

  4. J. K. Kim, M. J. Kim, "A Review of Research on Hospital Nurses'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7, No. 4, pp. 538-550, 2011.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1.17.4.538 

  5. L. J. Hayes, L. O'Brien-Pallas, C. Duffield, J. Shamian, J. Buchan, F. Hughes, Laschinger, H.K.S., North, N., "Nurse turnover: A literature review- An updat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 49, No. 7, pp.887-905, 2012. DOI: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11.10.001 

  6. Hospital Nurses Association, "Survey on hospital nurse staffing status", http://www.khna.or.kr/, 2010. 

  7. Y. J. Son, S. K. Park, S. S. Kong, "Impact of Internal Marketing Activity, Emotional Labor and Work-Family Conflict on Turnover of Hospital Nurses", Hospital Nurses Association, Vol. 18, No. 3, pp.329-340, 2012. 

  8. S. J. Yoo, Y. H. Choi, "Predictive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in Daegu C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5, No. 1, pp.16-25, 2009. 

  9. J. O. Kwon, E. Y. Kim, "Impact of Unit-level Nurse Practice Environment on Nurse Turnover Intention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8, No. 4, pp. 414-423, 2012.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4.414 

  10. G. G. Park,, "Human Resource Management", Hongmoonsa, pp.356-368, 2013. 

  11. M. E. Lapalme, M. Tremblay, G. Simar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lateauing, Employee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Distress: The Role of Organizational and Supervisor Support",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 20, No. 5, pp.1132-1145, 2009. DOI: http://dx.doi.org/10.1080/09585190902850323 

  12. I. O. Moon, "The Structural Model about Impact of Nurse's Career Management, Career Plateau, Career Satisfaction on Career Commit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6, No. 2, pp.180-189, 2010. 

  13. E. K. Bae, M. G. Kang, H. J. Lee, D. Y. Kim, "The Moderating Effect of Career Plateau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HRD Consultants", Journal of Korean HRD Research, Vol. 7, No. 1, pp.93-112, 2012. 

  14. Y. S. Sea, Y. C. Kim,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Turnover Intention and Job Involvement of Nurses", Journal of Korea Management Education Vol. 12, pp.151-172, 2007. 

  15. Y. K. Ko, K. H. Kang,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Collective-efficacy and Job Stress in The Nursing Staff",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stration, Vol. 12, No. 2, 276-286, 2006. 

  16. K. Nielson, J. Yarker, R Randall, F. Munir, "The Mediating Effects of Team and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Healthcare Professionals: A Cross-sectional Questionnair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 .46, No. 9, pp.1236-1244, 2009. DOI: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09.03.001 

  17. Y. S. Bong, H. S. So, H. S. You,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5, No. 3, pp.425-433, 2009. 

  18. A. Bandur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 84, No. 2, pp.61-85, 1997. 

  19. T. R. Mitchell, B. C. Holtom, T. W. Lee, C. J. Sablynski, M. Erez, "Why People Stay: Using Job Embeddedness to Predict voluntary Turn over",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44, pp.1102- 1121, 2001. DOI: http://dx.doi.org/10.2307/3069391 

  20. B. Holtom, B. O'Neill, "Job Embeddedness-A Theoretical Foundation for Developing a Comprehensive Nurse Retention Plan",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34, No. 5, pp. 216-227, 2004. DOI: http://dx.doi.org/10.1097/00005110-200405000-00005 

  21. O. Ed. Reitz, M. A. Anderson, P. D. Hill, "Nursing Job Embeddedness and Nurse Retention", Nursing Administration Quarterly Vol. 34, No. 3, pp.190-200, 2010. DOI: http://dx.doi.org/10.1097/NAQ.0b013e3181e702b7 

  22. S. Y. Lee, "The Effects of Job Embeddedness and Leader-Member Exchange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The Nurses in Small and Midium Size Hospit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2011. 

  23. K. N. Kang,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Small-medium sized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8, No. 2, pp.155-165, 2012.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2.155 

  24. S. K. Lee, "Predictive Factors of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 Focusing on Recognition of Internal Marketing and Job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o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008. 

  25. J. H. Moon, "Organizational Culture,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 in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012. 

  26. J. K. Kim, "Relationships of Emotional Labor to Job Satisfaction and Intent to Turnover among Staff Nurses at Small & Medium-Sized Hospit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Busan. 

  27. J. H. Kim, "The Effect of Job Embeddedness on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 ship Behavior in Hospital Employee-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n Personality Trai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sung University, Busan, 2009. 

  28. E. H Kim, E. J, Lee, H. J. Choi, "Medi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etween Job Embeddedness and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8 No. 4, pp394-401, 2012.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4.394 

  29. J. F. Milliman, "Causes, Consequences, and Mo derating Fctors of Career Plateau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California, 1992. 

  30. K .S. Park, T. Y. You, "The Impact of Career Plateau on Job and Career Attitudes and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Support", The Korean Psycho logical Association, Vol. 18, No. 3, pp. 499-523, 2005. 

  31. J. E. Cha, "A Study for The General Self-efficacy Scale Develop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997. 

  32. W .H. Mobley, "Employee turnover: Causes, co nsequences, and control. Reading", MA: Addison -Wesley Publishing Co, 1982. 

  33. S. J. Moon, "Structural Model of Nurse's Intentions of Changing Workplac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2010. 

  34. K. J. Lee, S. Y. Yoo, "Relationships between Nurses' Ethical Dilemma, Coping Type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7, No. 1, pp.1-15, 2011. 

  35. M. R. Kim, G. A. Seomun, "Relationship among Burnout,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o Resign in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22, No. 2, pp.93-101, 2013. 

  36. K. S. Kim, Y. H. Han, "A Study on Intention to Quit and Job Overload, Role Ambiguity, Burn out among Nurses in General Hospital", Korean Journal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22, No. 2, pp.121-129, 2013. 

  37. K. S. Eo, H. K. Hur, K. K. Kim,Y. J. Cho, E. H. Kim, S. J.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Job Satisfaction, and Intents to Leave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9, No. 2, pp.81-92, 2004. 

  38. P. C. Beecroft, F. Dorey, M. Wenten, "Turnover Intention in New Graduate Nurses: A Multivariate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62, No. 1, pp.41-52, 2008. DOI: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7.04570.x 

  39. E. Y. Doo, J. Y. Lim, K. A. Seomun, I. A. Kim, "An Analysis of Nurse's Perception of Internal Marketing Activities Affecting on Nurse's Turnover Intention, Nursing Task Performance and Nursing Productiv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1, No. 1, pp.1-12, 2005. 

  40. G. S. Kang, "The Effects of Nurses Self-Efficacy and Collective Efficacy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2013. 

  41. Hospital Nurses Association, "Survey on hospital nurse staffing status", http://www.khna.or.kr/, 2012. 

  42. E. H. Choi, J. H. Kim, H. S. Lee, E. H Jang, B. S. Kim, "The Effect of The Intramural Marketing Activities on Nurse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5, pp. 29-41, 2009. 

  43. T. D. Allen, J. E. A. Russel., M. L. Poteet, G. H. Dobbins, "Learning and Development Factors Related to Perceptions of Job Content and Hierarchical Plateauing,"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 20, No. 7, pp.1113-1137, 1999. D O I: http://dx.doi.org/10.1002/(SICI)1099-1379 (199912)20:7 3.0.CO;2-7 

  44. K. H. Park, "The Effect of Career Plateau on IT Service Engineers' Career Satisfaction and Career Withdrawal Intention", The Korea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9, No.4, pp.115-130, 2011. 

  45. Y. J. Kim, S. K. Kim, K. S. Kim, "Human Resource Management", pp. 393-395, Top books, 2010. 

  46. Korean Nurses Association, "Nurse's career development", Korean Nurses Association, pp.39-67, 2013. 

  47. B. P. Foster, S. Shastri, S. Withane : "The impact of mentoring on career plateau and turnover intentions of management accountants", Journal of Applied Business Research, Vol. 20, No. 4, pp.33-43, 2004. 

  48. M. H. Sung, E. J. Keum, H. J. Roh, M. H. Song, "The Relationship among Job Overload, Self-efficacy, Emotional Exhaust and Turnover Intention in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22, No. 2, pp.130-139,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