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경력개발시스템 기대감, 경력몰입, 이직의도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Expectations of Clinical Ladder System, Career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4 no.1, 2018년, pp.67 - 73  

한영희 (남서울대학교 간호학과) ,  김희영 (동신대학교 간호학과) ,  고정아 (동신대학교 한방병원) ,  김은주 (시화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ctations of the clinical ladder system (CLS), career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in nurses employed in small-medium sized hospitals. Methods: Participants were 154 nurses from 3 small-medium sized hospitals in Gyeonggi Prov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경력개발시스템에 대한 기대감을 조사하고 경력몰입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파악함으로 중소병원 간호사의 경력관리방안으로서 경력개발 시스템 도입의 근거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경력개발시스템 적용에 대한 기대감과 경력몰입,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중소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경력개발시스템 적용에 대한 기대감과 경력몰입,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확인하여 중소병원 간호사의 경력관리방안으로써 경력개발시스템 도입의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 중소병원 간호사의 경력개발시스템에 대한 기대감, 경력몰입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파악한 결과를 토대로 중소병원에서 경력개발시스템 도입의 근거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를 위한 경력개발시스템은 무엇인가? 간호사를 위한 경력개발시스템은 임상에서 간호사가 수행하는 전문성을 인정하고 적절한 보상을 통하여 역량이 우수한 경력간호사를 보유함으로써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는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간호사 인적자원관리 제도이다[4]. 1970년대 미국은 심각한 간호사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우수한 간호사를 보유하기 위한 전략으로 간호사들의 임상경험, 교육, 간호역량의 수준에 따라 임상등급을 정하고 전문성을 인정하며 보상하는 경력개발시스템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경력몰입이 저하될 경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전문직 종사자들이 자신의 경력에 몰입할수록 경력 변경 의도나 이직의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21], 중소병원 간호사들은 자신의 직업에 애착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근무하고자 하는 경력몰입 정도가 낮은 편이다[3]. 이러한 경력몰입의 저하는 조직몰입의 저하와 함께 중소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22]. 간호사의 경력몰입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각 병원 간호근무환경에 적합한 간호사 개별적 지원은 물론 조직차원에서의 경력관리에 대한 제도, 경력정체 해결 방안 및 경력만족 증진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23].
경력몰입이란 무엇인가? 경력몰입은 자신의 직업 또는 전문분야에 대한 개인의 태도로 정의되며, 경력분야나 역할에서 업무에 대한 개인적 동기의 강도를 말한다[20]. 전문직 종사자들이 자신의 경력에 몰입할수록 경력 변경 의도나 이직의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21], 중소병원 간호사들은 자신의 직업에 애착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근무하고자 하는 경력몰입 정도가 낮은 편이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Hospital Nurses Association. Hospital nurses staffing state survey [Internet]. Seoul: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6 [cited 2017 July 11]. Available from: http://khna.or.kr/web/information/resource.php. 

  2. Park SK, Jo KM, Jwa YG, Kang DW, Lee YJ. National nursing workforce survey of registered nurses. Seoul: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4 December. Report No.: 11-1352000-001476-01. 

  3. Kang KN.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small-medium sized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18(2):155-165. https://doi.org/10.11111/jkana.2012.18.2.155 

  4. Kim H, Jang KS. Development of a clinical ladder system for operating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3):301-314. https://doi.org/10.11111/jkana.2011.17.3.301 

  5. Riley JK, Rolband DH, James D, Norton HJ. Clinical ladder: Nurses' perceptions and satisfiers. The Journal of Nursing Adminstration. 2009;39(4):182-188. https://doi.org/10.1097/nna.0b013e31819c9cc0 

  6. Drenkard K, Swartwout E. Effectiveness of a clinical ladder program. The Journal of Nursing Adminstration. 2005;35(11): 502-506. https://doi.org/10.1097/00005110-200511000-00007 

  7. Hall LM, Waddell J, Donner G, Wheeler MM. Outcomes of a career planning and development program for registered nurses. Nursing Economics. 2004;22(5):231-238. 

  8. Nelson JM, Cook PF. Evaluation of a career ladder program in a ambulatory care environment. Nursing Economics. 2008;26 (6):353-360. 

  9. Ward CW, Goodrich CA. A clinical advancement process revisited: A descriptive study. Medsurg Nursing. 2007;16(3): 169-173. 

  10. Kwon IG, Sung YH, Park KO, Yu OS, Kim MA. A study on the clinical ladder system model for hospital nurses.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7;13(1):7-23. 

  11. Jung SW. A survey on the recognition of RNs about the adoption of the clinical ladder system. The Korean Nurse. 2005;44 (6):69-82. 

  12. Park KO, Yi M. Nurses' experience of career ladder program in a general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5):581-592. https://doi.org/10.4040/jkan.2011.41.5.581 

  13. Chae SN, Ko IS, Kim IS, Yoon KS. Effect of perception of career ladder system on job satisfaction, intention to leave among perioperativ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5;21(3):233-242.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3.233 

  14. Park KO, Lee YY. Career ladder system perceived by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 16(3):314-325. https://doi.org/10.11111/jkana.2010.16.3.314 

  15. Min AR, Kim IS. Relationship of perception of clinical ladder system with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empowerment based on nurse' clinical career stag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2):254-264. https://doi.org/10.11111/jkana.2013.19.2.254 

  16. Park KO, Park SH, Kim YH, Choi JH. Evaluation of a career ladder program for nurses in a hospital.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2014;11(2):123-131. https://doi.org/10.16952/pns.2014.11.2.123 

  17. Kim MS. Influence of career ladder system on nursing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3. p. 1-115. 

  18. Cho MS, Kwon IG, Kim KH, Kim MS, Cho YA. Validity and applicability of clinical ladder system model for nurses.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7;23(3):281-292. https://doi.org/10.22650/JKCNR.2017.23.3.281 

  19. Han YH, Kim KS. A survey on registered nurses' expectation of the clinical ladder program in small to medium sized hospitals.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Letters. 2014;61: 66-69. https://doi.org/10.14257/astl.2014.61.16 

  20. Blau GJ. The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career commitment.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985;58(4):277-288. https://doi.org/10.1111/j.2044-8325.1985.tb00201.x 

  21. Lee KE. The comparison of impacts of career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job attitudes among professionals.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003;37:799-813. 

  22. Kim MR. Influential factors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the affect of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commitment to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7;13(3):335-344. 

  23. Moon IH. The structural model about impact of nurse's career management, career plateau, career satisfaction on career commit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 tration. 2010;16(2):180-189. https://doi.org/10.11111/jkana.2010.16.2.180 

  24. Blau G, Allison P, St. John N. On developing a general index of work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993;42 (3):298-314. https://doi.org/10.1006/jvbe.1993.1021 

  25. Kim MS. The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commitment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8;14(4):458-466. 

  26. Lawler EE. Satisfaction and behavior. New York: McGraw Hill; 1983. p. 287-301. Cited by Park HS. Relationship be- tween perceived nursing care role orientation, job characteristics, and turnover among nurses.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2. p. 1-67. 

  27. Park HS.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nursing care role orientation, job characteristics, and turnover among nurses.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2. p. 1-67. 

  28. Lee MY, Im SB. Structural model of nurses' career commitment.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2;18 (3):341-353. https://doi.org/10.22650/JKCNR.2012.18.3.3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