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산물을 첨가한 섞박지의 영양성분 분석 및 관능적 특성
Nutrient Composi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eokbakji Supplemented with Seafood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5 no.5, 2013년, pp.605 - 612  

장미순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안전과) ,  박희연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안전과) ,  남기호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안전과) ,  남현규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안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산물(가자미, 갈치, 낙지, 도루묵, 명태, 전어) 6종을 첨가하여 제조한 섞박지의 레시피를 확립 및 제조하여 저온숙성 14일차에 시료를 취하여 일반성분, 비타민, 무기질, 구성 그리고 유리아미노산 함량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산물을 첨가한 섞박지의 수분 함량은 77.67-90.67%, 조지방 함량은 0.48-4.81%, 조회분 함량은3.11-3.43%, 탄수화물 함량은 1.81-14.08%, 조섬유 함량은 0.61-1.38%범위로 모든 군에서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었으나 조단백질에서의 경우 대조구가 1.59%의 함량을 보인 반면 수산물을 첨가했을 경우 2.34-3.85%로 대조구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칼슘, 인 및 철분의 함량의 경우 전어 섞박지가 칼슘 285 mg/100 g, 인 164 mg/100 g으로 6종의 수산물 섞박지 중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철분에서는 3.5 mg/100 g으로 낙지 섞박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비타민 A의 함량에서는 갈치 섞박지가 62.24 ${\mu}g$/100 g으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비타민 B2에서는 도루묵섞박지가 0.25 mg/100 g, 비타민 C에서는 낙지 섞박지가 8.54 mg/100 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수산물 6종에 대한 섞박지의 주요 구성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glutamic acid, proline, leucine 및 lysine이었고 그 중에서도 glutam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또한 유리 아미노산에서는 hydroxyproline이 52.96-61.99%로 유리 아미노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glutamic acid, alanine, proline 순이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낸 것처럼, 수산물을 첨가한 섞박지는 우리 식생활에서 단백질 급원 식품으로 무기질과 비타민 함량이 일반 섞박지에 비해 높고, 수산물의 첨가가 아미노산 조성 및 함량에도 긍적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관능평가 결과에서도 수산물을 첨가한 섞박지에서 외관, 맛, 풍미, 질감 및 종합적인 기호도면에서 대조구보다 좋은 점수를 얻은 것으로 볼 때, 수산물을 첨가한 섞박지는 영양적으로 우수할 뿐 아니라 일반 배추김치에 비해 담가 먹기에도 용이하여 우리 식생활에서 중요한 영양소 공급원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changes in the nutrient compositions of seokbakji supplemented with seafood during storage at $5^{\circ}C$ for 14 days. We added the seafood at a concentration of 10% (w/w) to salted radish and prepared seokbakji samples. Our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s of moisture, cr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러한 섞박지에 관한 연구는 배추김치에 비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수산물을 첨가한 섞박지에 관한 영양성분을 분석한 연구보고는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각 지역별로 담가 먹었던 수산물을 이용한 김치 중에서 가자미, 갈치, 낙지, 도루묵, 명태 및 전어와 같이 총 6종의 수산물을 첨가한 섞박지에 대해서 이전 연구(10)를 바탕으로 레시피를 확립하여 제조하였고, 각 시료는 저온에서 숙성(5)시키면서 14일째의 시료를 취하여 일반성분, 비타민, 무기질, 구성 및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조사하여 수산물을 첨가한 섞박지의 영양성분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관능평가를 통해서 수산물을 첨가한 섞박지의 상품성도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각 지역별로 담가 먹었던 수산물을 이용한 김치 중에서 가자미, 갈치, 낙지, 도루묵, 명태 및 전어와 같이 총 6종의 수산물을 첨가한 섞박지에 대해서 이전 연구(10)를 바탕으로 레시피를 확립하여 제조하였고, 각 시료는 저온에서 숙성(5)시키면서 14일째의 시료를 취하여 일반성분, 비타민, 무기질, 구성 및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조사하여 수산물을 첨가한 섞박지의 영양성분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관능평가를 통해서 수산물을 첨가한 섞박지의 상품성도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섞박지는 어떤 음식인가? 또한 수산물을 부재료로 첨가하여 담근 김치의 기호도를 살펴본 연구(7,8), 부산 지역의 수산물을 첨가한 김치에 관한 연구(9) 등으로 주로 수산물을 첨가한 김치의 기호도에 중점을 두는 연구가 보고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수산물을 첨가한 배추김치의 영양성분에 관한 연구보고도 있다(10). 섞박지는 원래 김장철 가을무가 맛이 들었을 때 신선한 생선을 소금에 절여 사용하거나 젓갈로 담근 것을 이용하여 담가 푹 익혀 먹는 독특한 음식으로, 주로 멸치, 전어, 갈치와 같은 생선을 이용하여 담그는 것(11)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섞박지에 관한 연구는 배추김치에 비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수산물을 첨가한 섞박지에 관한 영양성분을 분석한 연구보고는 찾아보기 힘들다.
섞박지에 첨가되는 수산물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그 중 무를 주재료로 하여 만든 섞박지는 독특한 맛과 방향, 조직감이 조화를 이루며 제조의 용이성이 좋은 전통발효식품 중 하나이다. 이러한 섞박지에 첨가되는 부재료 중에는 젓갈과 젓갈 대용으로 수산물 등이 첨가되고 있는데 이는 수산물이 젖산균, 비타민, 무기질, 아미노산 등의 주요 영양원으로 뿐만 아니라 항암, 혈압조절, 생체활성 및 항산화 성분 등 생리적 기능성 성분의 급원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도입됨에 따라 김치 부재료로서의 수산물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2). 이처럼 수산물을 사용하여 담근 김치는 오랜 전통을 지니고 있어 1809년 빙허각(憑虛閣) 이씨(李氏)가 저술한 규합총서(閨閤叢書) 에 ‘어육침채’ 및 ‘전복김치’가 소개되어 있으며, 1827년의 임원십육지(林園十六誌)에도 ‘젓갈김치’가 기록되어 있고 최근에는 수산물을 이용한 김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수산물(가자미, 갈치, 낙지, 도루묵, 명태, 전어)을 첨가한 각종 비타민의 함량은 어디에서 높게 나타났는가? 5 mg/100 g으로 낙지 섞박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비타민 A의 함량에서는 갈치 섞박지가 62.24 µg/100 g으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비타민 B2에서는 도루묵 섞박지가 0.25 mg/100 g, 비타민 C에서는 낙지 섞박지가 8.54 mg/100 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수산물 6종에 대한 섞박지의 주요 구성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glutamic acid, proline, leucine 및 lysine이었고 그 중에서도 glutam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Ku KH, Sunwoo KY, Park WS. Effect of ingredients on the its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267-276 (2005) 

  2. Byun HS, Lee TG, Yoou SG, Park YB, Kim SB, Park YH. The control of fermentation conditions of salted and fermented anchovy by homogenates of potato, Solamum tuberosum. Bull. Korean Fish. Soc. 27: 121-126 (1994) 

  3. Jung YK, Oh SH, Kim SD. Ferment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wamaegi added kimchi. Korean J. Food Preserv. 14: 526-530 (2007) 

  4. Sung JM, Choi HY. Effects of alaska pollack addition on the quality of kimchi (Korean salted cabbage). Korean J. Food Preserv. 16: 772-781 (2009) 

  5. Bae MS, Lee SC.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added Styela clava.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573-579 (2008) 

  6. Park JE, Lee JY, Jang MS.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lmoo Mulkimchi containing saltwort (Salicornia herbacea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006-1016 (2011) 

  7. Kim EM, Kim YM, Jo JH, Woo SJ. A study on the housewives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seafoods and fermented seafoods add kimchi. Korean J. Dietary Culture 13: 19-26 (1998) 

  8. Cha YJ, Lee YM, Jung YJ, Jeong EJ, Kim SJ, Park SY, Yoon SS, Kim EJ. A nationwide survey on the preference characteristics of minor ingredients for winter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555-561 (2003) 

  9. Moon GS, Song YS, Jeon YS. A study of traditional kimchi in Pusan and near Pusan area. Korean J. Soc. Food Sci. 12: 74-81 (1996) 

  10. Jang MS, Park HY, Park JI, Byun HS, Kim YK, Yoon HD. Analysis of nutrient composition of Baechu Kimchi (Chinese Cabbage Kimchi with seafood. Korean J. Food Preserv. 18: 535-545 (2011) 

  11. Kim SM, Lim JA. Recipe standardization of native local foods in Gijang region (The second report)-Miyeokseolchi, Molseolchi, Gijangmuk, Seokbakj-i. Korean J. Culinary Res. 13: 220-231 (2007) 

  12.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Method 777, 780, 788.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ry, Washington, DC, USA (1990) 

  13. Yun SI, Choi WJ, Choi YD, Lee SH, Yoo SH, Lee EH, Ro HM.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in soils of shihwa tidal freshwater marshes. Korean J. Ecol. 26: 65-70 (2003) 

  14. Ju HK, Cho HK. Park CK, Jo GS, Chae SK, Ma SJ. Food Analysis. Yoolim Publishing Co., Goyang, Korea. pp. 314-316 (1992) 

  15. KFDA. Food Standards Codex. Korea Foods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pp. 683-696 (2007) 

  16. Lee SH, Kim NW, Shin SR. Studies on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mushroom (Sarcodon aspratus). Korean J. Food Preserv. 10: 65-69 (2003) 

  17. Duncan DB. Multiple-range and multiple F tests. Biometrics 11: 1-42 (1955) 

  18. Jung BM, Jung SJ, Kim ES.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properties of gat kimchi added with oyster shell powder and Salicornia herbacea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188-197 (2010) 

  19. Yoon MS, Heu MS, Kim JS. Fatty acid composition, total amino acid and mineral contents of commercial Kwamegi. Kor. J. Fish Aquat. Sci. 43: 100-108 (2010) 

  20. Chun OK, Ham SH. A study on the contents of inorganic compounds in soft drinks. J. Fd. Hyg. Safety 15: 334-350 (2000) 

  21. NFRDI. Chemical Composition of Marine Products. 2th ed.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Busan, Korea. pp. 25-59 (2009) 

  22. Lee KJ, Yun IJ, Kim HY, Park YH, Ham HJ, Park YH, Joo JH, Lim SH, Kim KH. Analysis of general components and vitamin and mineral contents of the mushroom Agrocybe chaxingu. Korean J. Food Preserv. 16: 549-553 (2009) 

  23. Lee HM, Kwak BM, Ahn JH, Jeon TH. A comparative study on quantifying uncertainty of vitamin A determination in infant formula by HPLC.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152-159 (2008) 

  24. Kim NI. Role of vitamines and minerals on skin care and beauty. Food Sci Ind. 38: 16-25 (2005) 

  25. Henson DE, Block G, Levine M. Ascorbic acid: Biologic functions and relation to cancer. J. Natl. Cancer I. 83: 547-550 (1991) 

  26. Park BH, Cho HS, OH BY.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onion kimchi prepared with jeot-kal and chitosan. Korean J. Food Cookery Sci. 20: 358-364 (2004) 

  27. Kato H, Rhue MR, Nishimura T. Role of free amino acids and peptides in food taste. ACS Sym. Ser. 388: 158-174 (1989) 

  28. Ney KH. Bitterness of peptides: Amino acid composition and chain length. ACS Sym. Ser. 115: 149-173 (1979) 

  29. Yamaguchi S. Roles and efficacy of sensory evaluation in studies of taste. J. Japan Soc. Food Sci. Technol.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38: 972-978 (1991) 

  30. Koo SG, Bae BH, Hue JJ, Miga M, Kang BS, Kim JH, Nam SY, Yun YW, Kim JS, Lee BJ. Inhibitory effect of herbal extracts on skin wrinkle induced by UVB irradiation in hairless mice. J. Biomed. Res. 9: 49-56 (2008) 

  31. Lim JH, Park SS, Jeong JW, Park KJ, Seo KH, Sung JM.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fermented with abalone or sea tangle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450-456 (2013) 

  32. Cho Y, Rhee HS. A study on flavorous taste components in kimchi in free amino acids. Korean J. Food Sci. Technol. 11: 26-31 (197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