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본 온타케 화산의 2014년 분화와 전조현상
The 2014 Eruption and Precursors of Ontake Volcano, Japan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3 no.4, 2014년, pp.405 - 418  

윤성효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 ,  이정현 (부산대학교 환경연구원) ,  장철우 (부산대학교 대학원 지구과학과)

초록

2014년 9월 27일 11시 52분에 뚜렷한 전조현상 없이 분화를 재개한 온타케 화산으로 인해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하였다. 화산 분화 및 분화로 인한 재해에 대한 대비 매뉴얼과 방재대책이 잘 수립되어 있는 일본이지만 급작스러운 분화로 인한 피해를 막을 수 없었다. 그러나 분화 발생 직후 일본 기상청을 중심으로 화산분화예지연락회, 기상연구소, 농업기술종합연구소 등 여러 기관이 신속하게 분화 상황을 파악하고, 상호 긴밀한 협조와 연락체계를 바탕으로 정보를 공유하였다. 이를 통해 통일된 결과를 기상청을 통해 국민들에게 공표하여 화산 분화 상황과 화산 주변의 지역 주민들과 등산객 등 화산에 접근 가능한 국민들이 화산 분화로 인한 재난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일본의 이러한 대응을 통해 현재 분화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는 백두산과 같은 화산이 분화하였을 때 우리 정부에서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해 배울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take Volcano, Japan, began to erupt without any precursors on September 27, 2014, at 11:52 AM, and it caused many losses of life. Although Japan's preparation manual and prevention for volcanic eruptions and volcanic hazards has been well established, it could not prevent damage due to the sudde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모든 자료 는 화산분화예지연락회의 회의를 통해 공유되었고, 이 를 통해 통일된 결과를 국민들에게 공표함으로써 화 산 분화에 대한 국민들의 알 권리를 충족시켜 줄 뿐 만 아니라 화산 주변의 지역 주민들과 등산객 등 화산에 접근 가능한 국민들이 화산 분화로 인한 재난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었다. 본 논문에서는 온타케 화산 분화에 대한 일본 기상청과 화산분화예지연락회의 대응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온타케 화산의 분화 특성 및 일본의 즉각적인 분화 대응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통해 갑작스러운 화산 분화와 그로 인한 재해에 대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 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농업기술종합 연구소에서도 온타케 화산에서 강하한 화산재를 분석한 결과를 기상청을 통해 발표하였다. 이 모든 자료 는 화산분화예지연락회의 회의를 통해 공유되었고, 이 를 통해 통일된 결과를 국민들에게 공표함으로써 화 산 분화에 대한 국민들의 알 권리를 충족시켜 줄 뿐 만 아니라 화산 주변의 지역 주민들과 등산객 등 화산에 접근 가능한 국민들이 화산 분화로 인한 재난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었다. 본 논문에서는 온타케 화산 분화에 대한 일본 기상청과 화산분화예지연락회의 대응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휴면상태였던 화산이 활동을 재개할 때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는 2007년 3월 하순의 아주 작은 소규모 분화 이래 처음 발생한 분화로, 사전에 뚜렷한 전조현상 없이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한 분 화 사건이다. 30~40년 간 휴면상태였던 화산이 활동을 재개할 때에는 통상적으로 24~72시간 전에 마그마의 움직임이나 미세한 지진활동, 온천수 온도 변화, 지열 변화, 화산성 가스의 성분 변화 등의 전조현상이 나타난다(Francis and Oppenheimer, 2003). 그러나 이번 온타케 화산의 경우 이러한 특징의 전조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급작스러운 분화가 발생하여 재해에 대한 대비 매뉴얼과 방재대책이 잘 수립되어 있는 일본에서조차 많은 사망자를 발생시킨 분화로 기록되 었다.
백두산의 분화로 인한 재해 영향 범위권은 어디인가? 지난 2002년 갑작스러운 지진활동 증가를 시작으로 산체의 팽창, 온천수의 수온 증가 등의 활동이 증가함으로써 백두산의 분화 가능성이 꾸준히 재기되고 있는 실정 이다. 만약 백두산이 분화를 재개하여 10세기와 같은 폭발적인 분화가 일어난다면, 백두산 주변의 중국, 북 한 그리고 화산재가 확산되어 이동할 수 있는 영향권 에 있는 일본과 남한 등이 재해 영향 범위권에 속하 게 될 것이다. 엄청난 양의 화산재가 대기 중으로 유 입되어 확산되면 2010년 아이슬란드 에이야프얄라요 쿨 화산의 분화 때보다 훨씬 더 심각한 전 세계적 항공대란도 발생할 수 있다.
2014년 일본에서 온타케 화산 분화로 많은 사망자가 발생한 이유는 무엇인가? 30~40년 간 휴면상태였던 화산이 활동을 재개할 때에는 통상적으로 24~72시간 전에 마그마의 움직임이나 미세한 지진활동, 온천수 온도 변화, 지열 변화, 화산성 가스의 성분 변화 등의 전조현상이 나타난다(Francis and Oppenheimer, 2003). 그러나 이번 온타케 화산의 경우 이러한 특징의 전조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급작스러운 분화가 발생하여 재해에 대한 대비 매뉴얼과 방재대책이 잘 수립되어 있는 일본에서조차 많은 사망자를 발생시킨 분화로 기록되 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oki, H., 1980, A compilation of reports on the volcanic activity and hazards of the 1979 eruption of On-take volcano: Special publication by the research group for the 1979 On-take eruption, no. B-54-3, 168p(in Japanese). 

  2. Aramaki, S. and Ossaka, J., 1983, Eruption of On-takesan, October 28, 1979, in XVIII IUGG General Assembly, Hamburg, Report on volcano activities and studies in Japan for the period from 1979 to 1982, p. 1-7. 

  3. Francis, P. and Oppenheimer, C., 2003, Volcanoes. Oxford University Press, 2nd ed., 536p. 

  4. Global Volcanism Program, 2013, "On-take". Smithsonian Institution. 

  5. GIAJ (Geospatial Information Authority of Japan), 2010, Mountains altitude list in Japan (Gifu prefecture). Retrieved December 18. (in Japanese). 

  6. 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05, National catalogue of the active volcanoes in Japan (3rd edition), 635p (in Japanese). 

  7. 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08a, Report of Coordinating Committee for Prediction of Volcanic Eruption. 96, 18-35 (in Japanese). 

  8. 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08b, Report of Coordinating Committee for Prediction of Volcanic Eruption. 97, 14-29 (in Japanese). 

  9. 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14a, Eruption warning and forecast : Ontakesan (Eruption warning around crater), (September 27, 12:36 am) (in Japanese). 

  10. 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14b, About eruption of Ontakesan that occurred September 27 - raised the eruption alert level of Ontakesan 3 (Iriyama regulation: Mount restrictions) (in Japanese). 

  11. 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14c, Eruption warning and forecast : Ontakesan (Eruption warning around crater), (September 28, 19:30 pm) (in japanese). 

  12. 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14d, Report of Coordinating Committee for Prediction of Volcanic Eruption. September, 28. 1-18 (in Japanese). 

  13. 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14e, Report of Coordinating Committee for Prediction of Volcanic Eruption. Emergency recommendations on strengthening the observation system of active volcanoes in light of eruption disaster of Ontakesan, Novemver 28, 1-4 (in Japanese). 

  14. 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14f, Ontakesan of volcanic activity commentary material. December 1, 16:00 pm (in Japanese). 

  15. 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14g, Historic volcanic activity at Ontake volcano. http://www.jma.go.jp/jma/en/ontakesan/ontakesan_index.html Retrieved 2014-09-29. (in Japanese) 

  16. Kaneko, T., 2014, Observation of eruption status from helicopter at Ontake Volcano. (http://www.eri.u-tokyo.ac.jp/?page_id183&id4816#kaneko) 

  17. Kimura, J., 1993, The Late Pleistocene Ontake volcano : Reappraisal of volcanic activity using volcano-stratigraphy combined with tephro-stratigraphy. Chikyu kagaku, 47(4), 301-321 (in Japanese). 

  18. Kobayashi, T., 1980, The 1979 eruption at Ontake volcano. Report for Grant of the Japanes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Culture "Comprehensice researches on volcanic activity and disaster in the 1979 eruption at Ontakesan.", 4-12 (in Japanese). 

  19. Kobayashi, T., 1984, Crater and caldera on the summit of Kiso-Ontake volcano. Volcanological Society of Japan, Volcanic topography of Japan by aerial photographs, University of Tokyo Press, 132-133, 206p (in Japanese). 

  20. Machida, H. and Arai, F., 2003, Atals of tephra in and around Japan. Univ. of Tokyo Press, 336p (in Japanese). 

  21. Maeno, F., 2014, Ontakesan and Prediction of Volcanic Eruptions Research Center for the ash distribution and ash amount of eruption September 27, 2014 (http://www.eri.utokyo.ac.jp/?page_id183&id4816#maeno) 

  22. Matsumoto, A. and Kobayashi, T., 1995, K-Ar age determination of late Quaternary volcanic rocks using the "mass fractionation correction procedure": application to the Younger Ontake Volcano, central Japan. Chemical Geology, 125, 125-135. 

  23. Matsumoto, A. and Kobayashi, T., 1999, K-Ar ages of the older Ontake volcanic, products, Ontake Volcano, Central Japan : Reappraisal of the volcanic history based on the radiometric data. Kazan, Volcanological Society of Japan, 44(1), 1-12 (in Japanese). 

  24. Nakada, S., 2014, Volcanic ash of the 27 September 2014 eruption at Ontake Volcano. Earthquake Research Institute, The University of Tokyo. (http://www.eri.u-tokyo.ac.jp/page _id183&id4816#nakda1117) 

  25. Ossaka, J., Ozawa, T., Sakai, H. and Hirabayashi, J., 1983, Geochemieal study on the volcanic activity of Kiso-Ontake volcano, after the 1979 eruption. Kazan, Volcanological Society of Japan, 28(1), 59-74 (in Japanese). 

  26. Sekiguchi, T. and Yamagishi, N., 2013, Land condition map of Ontakesan Volcano. Geospatial Information Authority of Japan Report Jiho 123, 61-80 (in Japanese). 

  27. Yamada, N. and Kobayashi, T., 1988, Geology of the Ontake district. With geological sheet map at 1:50,000, Geological Survey of Japan, 136p.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9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